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School Reading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질적 분석을 통한 대안학교 독서교육의 내용과 특징에 대한 고찰

  • 이세나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 이성신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7.02.17
  • Accepted : 2017.03.11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education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an alternative education. Amo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an alternative education, five school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in charge of reading education of the school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ntegrate curriculum and reading education based on humanities. Stu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planning and conducting reading programs. Furthermore, there were Library Assisted Instructions. In order to proceed successfully with the reading education, there were several important factors as follows: 1)there was an organized system to support reading education by teachers, schools, and school libraries. 2)students' interests and needs were reflected in designing reading programs, 3)reading programs were adjust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4)reading activities were emphasiz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독서교육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독서교육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5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학교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독서교육의 내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학교의 독서교육 담당자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전사한 후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안학교에서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교과수업과 독서교육을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이 진행되고 있었고, 독서 프로그램 기획, 진행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독서교육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조건들도 드러났다. 우선 교사, 학교, 도서관이 독서교육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독서 프로그램에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가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독서 능력과 필요에 따라 독서교육 내용이 차별화되어 구성되고 있었으며, 독서 후 대화하고 소통하는 활동이 강조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중. 2002.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서울: 박영률출판사. (Kang, Dae Jung. 2002. Alternative Schools are not Schools. Seoul: Parkyoungyul.)
  2. 고병헌. 1998. 한국 대안교육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논총, 12: 250-287. (Kho, Byung Hyeon. 199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School Movements." The Journal of Sungkonghoe University, 12: 250-287.)
  3.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 (별책5) [online]. [cited 2016.9.20]. .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online]. [cited 2016.9.20]. .)
  4. 교육부(2014.3 기준). 대안학교 및 특성화 중, 고교(대안교육) 현황 [online]. [cited 2016.9.20]. . (Ministry of Education. Current state of alternative schools and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nline]. [cited 2016.9.20]. .)
  5. 김규현. 2014. 디지털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14(4): 823-832. (Kim, Gyu Hyun. 2014. "A Study on the Humanities education needs for the digital design profession workforce." Journal of Digital Design, 14(4): 823-832.)
  6. 김성준. 2009.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 독서문화, 1: 31-48. (Kim, Sung-Jun. 2009. "A Study on the Present Aspects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Readi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Journal, 1: 31-48.)
  7. 김수경. 2006.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235-263. (Kim, Soo-Kyoung. 2006. "The True Meaning of Reading and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3): 235-263.)
  8. 김현주. 2011.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1): 229-261. (Kim, Hyun-Ju. 2011. "A Liberal Arts Education of Humanities and Reading Discuss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5(1): 229-261.)
  9. 서진원. 2012. 학교도서관 독서교육방법으로서의 구성주의 학습 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265-289. (Suh, Jin-Won. 2012.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265-289.)
  10. 안지현. 2015.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 정책 분석: 2000년 이후 정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n, Ji-Hyun. 2015. An analysis of School Reading Education Activation Policy: Focused on Policies After 2000s. Master diss. Korea University.)
  11. 이남식. 2003. 독서과목을 통한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Lee, Nam-Sig. 2003. Reading instruction activation methods in subject in Korean arts. Master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12. 이성신. 2010. 근거이론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모델 제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5-28. (Lee, Seongsin. 2010.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l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5-28)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005
  13. 이세나. 2016. 대안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의 독서교육 비교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9(2): 229-251. (Lee, Sena. 2016. "Reading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alternative hig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9(2): 229-251.)
  14. 이재연. 2014. 혁신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경기도 S지역 5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 (Lee, Jae-Yeon. 2014. The study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in the innovative schools: Focusing on five high schools in Gyeonggi-S region. Master dis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5. 이종태. 2001.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서울: 민들레. (Lee, Jong-tae. 2001. Alternative schools and education. Seoul: Mindulrae.)
  16. 조용환. 1998.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1): 113-155. (Cho, Yong-Hwan. 1998. "Ethnographic study of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lternative schools." Anthropology of education, 1(1): 113-155.)
  17. 차호일. 2006. 독서교육의 관점 변화 및 지향점. 한국민족문화, 27: 255-279. (Cha, Ho-Il. 2006. "A Study on the Change of Viewpoint and Pointing Spot in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ology, 27: 255-279.)
  18. 한광희. 2006. 중학교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Han, Gwang-Hee. 2006. Needs Analysis to Vitalize Middle School Reading Education. Master diss. Korea University.)
  19. 한철우. 2005.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독서연구, 14: 9-33. (Han, Chul Woo. 2005. "The directions and the tasks of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4: 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