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치료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현황 및 개발방안에 대한 연구 (The Study about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Formats for Bibliotherapy of the Disabled People)

  • 백재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65-184
    • /
    • 2016
  • 감정적, 심리적 상처와 문제를 독자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독서치료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책(치유서)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자가치료법이다. 일반인과 다르게 장애인은 책이 아닌 대체자료를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실시한다.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소외감, 불안감 등 여러 심리적인 상처를 받거나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 장애인의 독서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장애인도서관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활성화 단계라고 볼 수 없다. 독서치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에의 접근을 도와주는 독서치료 목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대부분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 대체자료 목록, 혹은 병리증상 혹은 상황에 따라 카테고리화된 대체자료 목록은 별도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와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 그리고 앞으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 시범학교의 사례연구 -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in School : In the Case of the Model School)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9-164
    • /
    • 2007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이 독서치료 시범학교로 지정한 중학교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참여 학생은 77명이며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 분리 배치되었으며 각각 15회 실시되었다. 두 프로그램은 각 문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으며, 독서치료 목표와 독서자료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독서치료는 내재화 문제,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발달적 독서치료는 향후 자가 독서치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독서치료 변인에 비추어 본 독서치료 연구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blem and on the Development Plan of Bibliotherapy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Bibliotherapy - Focusing on the Bibliotherapy of Aimed at Improving Self Esteem -)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1-2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학위 논문 15편의 독서치료 연구가 지니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현행 독서치료 연구에서 독서치료가 지닌 문제점을 변인 5가지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할의 부재이다. 둘째, 독서치료의 내담자 변인으로 내담자에 대한 문제 상황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반영되지 않았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으로 독서치료에 대한 내담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키지 못하고 있다. 넷째, 독서치료 자료가 텍스트 자료에 국한되어 다양한 매체활용이 부족하다. 다섯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내담자의 독서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지에 대한 타당성이 부족하다. 독서치료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토대로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독서치료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재 개발 및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독서치료 자료로 적합한 다양한 매체에 대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1-26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계에서 차지하는 독서치료의 위치를 살펴보고, 2000년 이후 한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독서치료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여 도서관 서비스로서 독서치료의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방안으로는 네가지 문제, 즉 독서치료 용어의 문제, 독서치료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수용, 독서치료 교육과 훈련 과제와 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확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독서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질적 심리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of Bibliotherapy and the Examination of it Efficacy)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41-168
    • /
    • 2014
  •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비롯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계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독서치료 방법도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독서치료 영역에서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독서치료에 적합한 심리평가도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독서치료에서 심리평가도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에 앞서 독서치료사가 치료 대상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자료 선정 및 관련 활동을 설계하는 기초가 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질적 심리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면담과 행동평가, 종합평가 보고서 양식을 개발하고, 실제 독서치료 프로그램 장면에 적용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Bibliotherapy for Children and Youth in School Library)

  • 황금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1-57
    • /
    • 2003
  • 최근 우리의 아동.청소년들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병들어가고 있다. 아동.청소년 문제는 결국 그들의 마음속 상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건강한 삶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책을 통한 독서치료가 그 어느 때 보다 시급하다 하겠다. 학교도서관은 사서교사들이 상담교사와의 협력 아래 독서치료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기관이다. 그러나 현재 학교도서관에서 독서치료를 수행하는 곳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마음의 상처에 대한 진원지와 정신문제 유형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 독서치료용 독서자료 개발이며, 셋째 학교도서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이다.

  • PDF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3-245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적용, 평가하여 독서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2006년 2학기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도서관학 특강' 교과목을 수강한 39명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이들 중 사례 5명의 학생들에게 보고서 형식의 '자기평가'를 내용분석한 질적 평가와 자아정체감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 모두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1) 이 프로그램은 독서치료의 원리인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이 일어나 독서치료가 내면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관련 인식·현황 조사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tatus survey and Development about Bibliotherapy in Korea's LIS Fields)

  • 백재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1-395
    • /
    • 2022
  • 전통적으로 책과 독서에 강한 분야인 문헌정보학은 도서와 독서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정·상황·병리 증상 등을 치유하는 독서치료에 있어 주도적이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와 매우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진 문헌정보학 분야에 학문적·실전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인식조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수업을 듣는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여 5개의 주제(도서, 독서치료, 교과과정, 도서관, 기타)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현황은 교육적·실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서치료 관련 교과과정과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독서치료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국내 4년제 대학 가운데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32개의 대학을 바탕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통해 탐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 현황은 국내 1,10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독서목록을 각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독서치료 참여자와 운영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Relation Analysis between Book and Category in Bibliotherapy Catalog)

  • 백재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7-239
    • /
    • 2015
  • 올바른 독서치료를 위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증상에 대한 자가판단과 함께 치유서의 올바른 선정및 접근이 필요하다. 이용자는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치유서에 접근하지만,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자신의 복잡한 상황 및 증상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하나의 단어 혹은 키워드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다.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연령별 카테고리를 제외한 1개 혹은 최대 2개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이로 치유서를 분류하고 있다. 이용자가 복잡한 상황을 가지고 카테고리에 접근하는 만큼, 이용자의 접근 효율성과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1개의 카테고리 보다는 복수의 카테고리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원하는 치유서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초 연구로서 국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과 치유서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대표 독서치료 독서목록을 이용하여 카테고리간의 매핑과 크로스워크를 실시하였고,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서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2003-2010 (A Trend Analysis on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2003-2010)

  • 정수연;이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7-333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한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그 현황과 독서치료 과정, 내담자 문제유형과 문제내용, 독서치료에 활용한 도서 등의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독서치료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임상적 치료적 독서치료의 과정은 도입, 전개, 평가 등의 모든 단계의 적용이 더욱 효과적이다. 내담자의 문제유형과 내용은 심리 사회적 문제나 정신장애 문제로서 사회성 결여,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결여, 우울, 불안, 학습태도 산만 등이다. 임상적 치료적 독서치료를 위한 도서목록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임상 치료적 독서치료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앞으로 임상 치료적 독서치료 연구자에게 연구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