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진흥 활동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독서진흥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romotion Activities to Expand Social Roles of Public Libraries)

  • 이용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9-113
    • /
    • 2006
  •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독서진흥 활동을 통해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 제시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도서관이 직면한 사회적 과제를 분석하고.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각 지역에서는 도서관, 특히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미 공공도서관들의 다양한 독서진흥 활동을 통해 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어 보다 강력한 독서진흥 활동은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와 이를 통한 사회적 기반 확보에 중요한 방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정부, 공공과 민간부문의 다양한 독서진흥사업을 조정할 협의기구 구성, 운영, 법적 기반 마련, 도서관의 자발적인 독서진흥 프로그램 개발추진, 독서 및 책 정보제공 체계 구축과 대중서평지 발행, 독서 캠페인과 독서활동 주도, 가정에서의 독서활동 지원, 각종 독서진흥 관련 시상제도 확대 등 구체적 방안을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영국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Promoting Reading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47-364
    • /
    • 2005
  • 독서율과 독서량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우리나라 성인들의 독서활동은 생활 속의 인터넷 이용비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우 활발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독서율과 매년 증가하고 있는 독서량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독서활동을 계속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오랫동안 꾸준히 높은 국민 독서율을 보이고 있고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독서 르네상스가 일고 있는 영국의 독서진흥 활동을 살펴본다.

독서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s of Public Library for Reading Development)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09-429
    • /
    • 2008
  •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독서관련 행사를 분석하고, 독서진흥을 위하여 독서관련 행사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독서진흥을 담당하는 전담부서를 조직하고 운영한다. (2) 독서진흥을 위하여 도서관주간, 독서의 달 등 절기에 따라 다양한 행사를 한다. (3) 독서진흥을 위하여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한다. (4) 사서교사 자격증이 있는 사서에게 독서진흥 업무를 맡긴다. (5) 독서진흥을 위하여 시청각실 등 다목적실을 마련한다. (6) 독서진흥을 위하여 사이버공간 들을 이용하여 홍보활동을 한다. (7) 독서진흥을 위하여 관련 단체와 협력한다. (8) 독서진흥을 위한 예산을 증액한다.

  • PDF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 이경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3
  •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과 독서회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romotion Act and Reading Circle in Public Libraries)

  • 김승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3-241
    • /
    • 1999
  • 공공도서관은 주민들의 문화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민들이 접근 할 수 있도록 도서관과 관외 봉사 거점을 많이 설립하고 이들을 거점으로 주민들이 독서활동을 할 수 있는 독서회를 조직하고 그 독서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이 독서활동을 활성화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어 공공도서관은 주민을 대상으로 계층별 및 주제별에 따라 또는 주민들이 자신의 취미나 특기에 따라 활동할 수 있는 독서회를 조직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은 관내 모든 독서회를 대상으로 하는 종합적인 총괄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한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독서회원들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개설해 운영하고,‘뉴스레터’의 발행으로 독서회 활동을 정리하면서 관리한다면 훌륭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도서관을 통한 장애인 독서문화 확산 및 활성화 방안 (Improving Strategy of Reading Culture for Printed Disabled People in the Library)

  • 안인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187-212
    • /
    • 2012
  • 장애인 독서문화 활동의 진흥은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해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도서관 핵심 사명을 수행하는 주요한 업무이다. 활성화 방안을 도출을 위해 독서문화 진흥정책과제에서 사용하는 4개 과제 영역을 틀로 사용하였으며,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는 장애인 독서환경조성, 균등한 독서 기회 제공 서비스가 대부분이고, 장애인 독서생활화 및 독서운동 활성화과제는 매우 부족하였다. 독서 생활화를 위한 독서교육, 독서체험, 이용자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장애인 독서운동 확산을 위하여 도서관 홍보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 활동의 모듈화를 통한 중등 학교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의 구조와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ucture and Type of the Reading Programs in the Secondary School Library by Modulized Educational Activities)

  • 소병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3-31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학교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의 층위 구조를 밝히고,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청소년독서문화진흥 사업인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에 수록된 최근 10년간 전국 375개교 독서 프로그램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대다수 중등 학교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은 '브랜드 명칭-독서 활동-교육 활동'의 층위 구조로 이뤄졌으며, '독서 활동'의 내용에 따라 강의형, 관람형, 발표형, 전시형, 제작형, 토론형, 퀴즈형, 체험형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유형은 읽기, 쓰기, 듣기, 보기, 말하기, 만들기와 같은 '교육 활동'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며, '교육 활동'은 모듈과 같이 자기완결성이 있어 전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듈화된 '교육 활동'은 대상 도서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독서 과정에 추가, 보완돼 독서 프로그램으로 실현된다.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Reading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 송민선;장인호;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85-308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어린이.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선진화 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for Children & Young Adults)

  • 황금숙;김수경;장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7-308
    • /
    • 2011
  • 어린이 청소년기부터 체계적인 독서문화 활동을 통해 독서습관을 배양하여 평생교육으로 유도하는 국가적인 독서문화 진흥 방안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독서의 즐거움을 통한 독서의 생활화를 유도하고 건전한 독서문화가 전개될 수 있도록 보다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민 관 협력체계의 제도적 기반 구축을 통한 국가적 차원의 선진적 독서문화 진흥 모델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문헌조사, 2) 사례조사, 3) 설문조사, 4) 전문가 회의 및 공청회 등의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기본 정책 방향 수립, 2)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환경 인프라 구축, 3)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전담조직 구성, 4)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비전, 목표, 추진전략 및 과제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