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립운동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3초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본 3·1운동의 재인식: 3·1운동과 여성, 평화를 중심으로 (New Understanding of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View of World Peace : Focused 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omen's, peace)

  • 심옥주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2권1호
    • /
    • pp.45-68
    • /
    • 2018
  •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 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 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 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 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 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 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 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안동 여성독립운동가 이야기 가치와 지역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탐색 (A Exploration on the Story Value and the Application as Local Cultural Content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Andong city)

  • 임지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16
  • 본 논문은 안동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항일투쟁과 독립운동가 가족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지역공동체를 복원할 수 있는 지역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으로 첫째, 안동 독립운동에 대한 강좌형 체험프로그램 개발, 둘째, 독립운동 전통마을의 테마파크화, 셋째, 지역독립운동 해설사 콘텐츠 개발, 넷째, 지역독립운동 콘텐츠의 축제화를 제안한다.

  • PDF

저자 인터뷰-"국외한인사회와 민족운동"의 저자 윤병석교수

  • 최태원
    • 출판저널
    • /
    • 통권83호
    • /
    • pp.12-12
    • /
    • 1991
  • 민족운동사의 골간을 이루는 항일독립운동을 보다 폭넓게 규명하기 위한 이 책은 서북간도와 만주, 연해주, 미주지역을 중심한 나라 밖 독립운동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외한인사회의 성립과 이를 거점으로 한 조국광복항쟁의 의의를 정립, 민족독립운동사연구를 집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저작이다.

  • PDF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그리고 쟁점 - 무극도 사례를 중심으로 - (Issues Inv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 Case Study of Mugeukdo)

  • 고병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39-71
    • /
    • 2020
  •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와 항일독립운동의 기억을 끊임없이 소환한다. 그 과정에서 소수의 신종교단체들이 항일독립운동의 주체로 호명되지만,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논리는 미약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이 연구의 목적은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을 항일독립운동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이를 통해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들을 성찰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 항일독립운동과 연결된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에 대해 대순진리회의 내부 자료(제II장)와 외부 자료(제III장)를 분석해 향후 과제를 제기하면서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를 연결할 때에 성찰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제IV장). 구체적으로, 제II장에서는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가족을 배경으로 한 정산의 항일의식과 3·1운동 참여 지시, 그리고 무극도의 산업활동으로 구분해 검토하였다. 제III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에 대해 외부 자료들을 활용해 검토한 후 정산과 신자들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교단 내부와 외부 자료를 적극 발굴하는 일, 아울러 천자등극운동과 후천개벽 등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조명하는 일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전자는 무극도 내부와 외부 자료의 교차 검토를 가능하게 자료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후자는 종교적 항일독립운동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 제IV장에서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할 때 성찰할 부분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종교 관련 활동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항일독립운동의 범주 설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환원주의적 접근은 항일독립운동가들이 '신종교 형태'를 취한 이유, 그리고 종교를 가장했다고 평가한 단체들이 해방 이후에 종교적 정체성이나 성격을 유지·지향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정교하게 밝히기 위해 '부수적 차원'과 '목적적 차원'을 구분해서 '그 활동이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는지의 여부'와 '그 활동의 최종 목적이 항일독립인지 종교적 세계관의 구현인지의 여부'를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 장치들을 고려한다면, 종교계나 학계는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발굴하고 축적하는 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러한 관심은 항일독립운동의 근거를 종교적 세계관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정산과 무극도의 여러 활동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정교하게 조명하는 일도 이러한 관심과 노력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 송미숙;배수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5-2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1.2학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2월23일부터 12월 25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13]의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을 분석한 결과, 19개의 하위주제, 10개의 주제, 그리고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독립운동의 흔적 앞에서 각인된 우리의 역사', '투영되는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끓어오르는 분노 그러나 남아있는 희망', '반성 속에 애국심의 꽃이 피다' 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 대학생들이 독립운동역사에 대한 인식제고, 애국심 고취 그리고 간호사로서의 자세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에 대한 정책이 미비해 민간에 의지하고 있는 현실임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일제강점기의 광주학생독립운동 독서회 아카이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ving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Reading Club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장우권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93-618
    • /
    • 2021
  • 이 연구는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독서회의 활동에서 생산된 자료수집과 자료해제를 통한 내용과 서지를 조사하여 독서회의 아카이브 형성과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와 독립운동 관련 기관과 조직 등을 방문, 자료조사, 면담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의의, 3차례 발생, 참여학교와 학생 수, 독서회조직과 활동, 독립운동 참여형태,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록정보, 기록정보자원의 특징, 기록정보자원관리 현황, 기록정보자원의 수집체계와 아카이빙,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스포트라이트 - 3.1운동과 인쇄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3호
    • /
    • pp.44-53
    • /
    • 2013
  • "삼월하늘 가만히 우러러보며 유관순 누나를 생각합니다. 옥속에 갇혔어도 만세부르다 푸른하늘 그리며 숨이졌대요~" 강소천 선생이 지은 유관순 노래다. 삼월이면 어김없이 다가오는 삼일절인데, 삼일절은 인쇄인에게도 특별한 날이다.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은 보성사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해 배포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013년 94주년 삼일절을 맞아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보성사와 인쇄인들에 대해 알아본다.

  • PDF

학생독립운동 지식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The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03-239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와 아카이브적 측면에서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자료수집, 자료해제, DB구축과 아카이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학생독립운동과 지식정보자원 관련 문헌적 고찰과 일제식민지 치하 학생독립운동 시발과 그 운동과정에서 생성된 자료들의 유통과 이들 자료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조사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운동과 투옥 그리고 재판의 과정에서 다양한 문헌정보를 생산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정보자원관리와 아카이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나타내고 진일보한 학생독립운동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일본인 학자가 본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

  • 사다도시마구치
    • 출판저널
    • /
    • 통권241호
    • /
    • pp.2-3
    • /
    • 1998
  • 해마다 광복절 즈음이면 일제시대 우리 민족이 상황을 분석한 책들에 새삼 관심을 쏟게 된다. 우리 민족이 일제 지배를 벗어난 지 반세기를 훌쩍 넘어선 이 시점에도 지난 역사는 여전히 우리에게 넘어서야 할 연구 공간으로 남아 있다. 일제하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학계에서 더욱 활발한 결실과 함께 논의가 진전돼 왔다. 이제 더욱 냉철한 시각으로 우리의 성과물들을 돌아보아야 할 단계다. 한국사를 전공하고 있는 일본의 마구치 사다도시 교수가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를 바라보는 진지한 견해를 밝혀 주셨다. 학계와 독자 여러분이 깊은 관심을 바란다.

  • PDF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 지평의 확장을 위한 중국 신문 사료 연구 (A Study on Chinese Newspaper Records for Broadening Intellectual Horizons of Gwangju Student Movement)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41-264
    • /
    • 2022
  • 1929년 발생한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연구는 2018년 이후로 연구주제를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국외 확산 과정에 관련한 연구들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사료의 부족, 새로운 방법론의 부재 측면에서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국외 전파 과정을 문헌정보학에 기반을 둔 정보 전달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새로운 중국 신문 사료를 발굴하고, 둘째, 2-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신문 16종에서 125건의 중국 신문 사료를 발굴해냈고, 이중 104건이 신규 발굴된 사료이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주장된 최초 보도보다 더 앞선 기사가 발굴되었다. 셋째, 중국의 북경·사천·상해·천진·호남 지방에서 서울의 1·2차 확산 시위와 광주의 사건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이 연구는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의 확장 및 다변화를 꾀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