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ssues Inv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 Case Study of Mugeukdo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그리고 쟁점 - 무극도 사례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5.18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Ever since gaining liberation in 1945, Korean society has constantly recalled memories of Japan's invasion and Korea's anti-Japanese movements for an independent state (AMIS). In the process, a small number of new religious groups were also identified as main subjects within AMIS. However, the logic necessary to connect these religious groups with AMIS was still weak. 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academical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activities of Mugeukdo (無極道) and Jo Jeongsan (趙鼎山) through the lens of AMIS and to reflect on the issues that will arise when linking the religion with AMIS. Regarding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data collected by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about Jo Jeongsan and Mugeukdo's activities linked to AMIS. Later, this paper presents several task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II,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were generally centered on resistance at the family level, Jo Jeongsan's order to particip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Mugeukdo's industrial activities. In Chapter III, I reviewed the contents of Chapter II using Daesoon Jinrihoe's exter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discover and cross-check materials related to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believers. Likewis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highlight the theory of the enthronement of emperor (天子登極說) and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in terms of AMIS. These efforts can make contributions that increase the credibility of Daesoon Jinrihoe's internal data on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and expand the periphery of AMIS as it relates to certain religious groups. Subsequently, in Chapter IV, I present three items for reflecting upon the connection between certain religious groups and AMIS. The first is that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AMIS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religious activities can be included. Second, reductionist approaches make it difficult to explain the reasons why some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AMIS did so while forming 'new religious movements,' and why these groups have maintained their religious identity even after liberation was achieved in 1945. Thir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dimensions to elaborate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religions and AMIS. This means that researchers should be expected to look at whether the activities in question are based on a religious worldview and whether the goal of the activities is the realization of AMIS or the implementation of some aspect of that religious worldview.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mechanisms that make AMIS memorable in Korea, religious groups and religious studies should take greater interest in discovering and accumulating data that facilitates research on these topics. At the same time, effort should be made to find the basis for AMIS within religious worldviews. It can also be made possible through specific interest in further elaboration on the various AMIS-related activitie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와 항일독립운동의 기억을 끊임없이 소환한다. 그 과정에서 소수의 신종교단체들이 항일독립운동의 주체로 호명되지만,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논리는 미약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이 연구의 목적은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을 항일독립운동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이를 통해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들을 성찰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 항일독립운동과 연결된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에 대해 대순진리회의 내부 자료(제II장)와 외부 자료(제III장)를 분석해 향후 과제를 제기하면서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를 연결할 때에 성찰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제IV장). 구체적으로, 제II장에서는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가족을 배경으로 한 정산의 항일의식과 3·1운동 참여 지시, 그리고 무극도의 산업활동으로 구분해 검토하였다. 제III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에 대해 외부 자료들을 활용해 검토한 후 정산과 신자들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교단 내부와 외부 자료를 적극 발굴하는 일, 아울러 천자등극운동과 후천개벽 등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조명하는 일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전자는 무극도 내부와 외부 자료의 교차 검토를 가능하게 자료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후자는 종교적 항일독립운동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 제IV장에서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할 때 성찰할 부분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종교 관련 활동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항일독립운동의 범주 설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환원주의적 접근은 항일독립운동가들이 '신종교 형태'를 취한 이유, 그리고 종교를 가장했다고 평가한 단체들이 해방 이후에 종교적 정체성이나 성격을 유지·지향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정교하게 밝히기 위해 '부수적 차원'과 '목적적 차원'을 구분해서 '그 활동이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는지의 여부'와 '그 활동의 최종 목적이 항일독립인지 종교적 세계관의 구현인지의 여부'를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 장치들을 고려한다면, 종교계나 학계는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발굴하고 축적하는 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러한 관심은 항일독립운동의 근거를 종교적 세계관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정산과 무극도의 여러 활동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정교하게 조명하는 일도 이러한 관심과 노력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성적도해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미상.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3.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4. 「포덕교화기본원리1」,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75.
  5.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약칭: 반민족규명법)>(시행 2004. 9. 23. 법률 제7203호, 2004. 3. 22., 제정 / 전부개정.시행 2005. 1. 27. 법률 제7361호 / 일부개정.시행 2012. 10. 22. 법률 제11494호).
  6.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약칭: 과거사정리법)>(시행 2005. 12. 1. 법률 제7542호, 2005. 5. 31., 제정).
  7.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약칭: 친일재산귀속법)>(제정.시행 2005. 12. 29. 법률 제7769호 / 일부개정.시행 2011. 5. 19. 법률 제10646호).
  8.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서울: 집문당, 1992.
  9. 고남식, 「증산의 도가적 경향과 무극도의 도교적 요소」, 「대순사상논총」 17, 2004.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4.17..004
  10. 고병철, 「일제강점기의 종교 지형과 종교 법규」, 「정신문화연구」 40-2, 2017. http://doi.org/10.25024/ksq.40.2.201706.8
  11. 권동우, 「해방 이후 한국 종교계의 변화와 신종교-공인교 제도와 영성운동, 그리고 신종교의 대응」, 「신종교연구」 28, 2013. http://uci.or.kr/G704-002036.2013.28.28.006
  12. 김방룡, 「정산 조철제의 종교사상」,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7, 2018.
  13. 김탁, 「증산과 정산의 도수사상」,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235
  14. 노길명.김홍철.윤이흠.황선명, 「한국민족종교운동사」, 서울: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
  15. 박인규, 「일제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연구: 차월곡의 보천교와 조정산의 무극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16. 안병욱,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 「역사비평」 93, 2010. http://uci.or.kr/G704-000293.2010..93.012
  17. 안후상, 「태인 무극대도의 민족운동 연구」, 김방룡.김재영.김탁.안후상.서혁기, 「태인 무극대도의 역사 문화적 회고 및 전망」, 정읍: 정읍역사문화연구소, 2019.
  18. 윤영천, 「일제 강점기 한국유이민의 시(詩)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19. 윤이흠, 「일제의 한국민족종교 말살책: 그 정책의 실상과 자료」, 서울: 고려한림원, 1997.
  20. 이만렬, 「민족주의 사학에 있어서의 한국사인식」, 「숙대사론」 10,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1979.
  21. 임종국, 「친일문학론」, 서울: 평화출판사, 1966.
  22. 진정애, 「보천교와 무극도의 신앙대상에 대한 고찰」, 「신종교연구」 25, 2011. https://doi.org/10.22245/jkanr.2011.25.25.167
  23. 최봉룡, 「조정산 도주 일가의 만주행록에 관한 재고찰」,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215
  24. 태극도편찬위원회, 「진경」, 부산: 태극도출판부, 1989.
  25. 홍범초, 「범증산교사」, 서울: 도서출판 한누리, 1988.
  26.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openViewer.do)
  27.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Main.do)
  28.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http://daesoon.org/about/bible.php)
  29.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http://nl.go.kr/newspaper/)
  30.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31. 《경향신문》
  32. 《공립신보》
  33. 《동아일보》
  34. 《매일경제》
  35. 《매일신보》
  36. 《신한민보》
  37. 《중외일보》
  38. 《황성신문》
  39. 「민족문화대백과사전」
  40. <國防保安法>(法律 第49号, 昭和 16. 5. 10.), 「官報」, 東京: 大蔵省印刷局, 1941.
  41. <治安維持ノ爲ニスル罪則ニ關スル件>(勅令 第403號), 大正 12. 9. 7.), 「朝鮮總督府官報」, 朝鮮: 朝鮮總督府, 1923
  42. <治安維持法>(法律第46號, 大正 14. 4. 21.), 「朝鮮總督府官報」, 朝鮮: 朝鮮總督府, 1925.
  43. 帝国地方行政学会 編, 「現行朝鮮法規輯覧. 第4巻」, 東京: 帝国地方行政学会, 1934.
  44. 朝鮮総督府 編, 「土地改良事業の概況」, 朝鮮: 朝鮮総督府, 1932.
  45. 朝鮮總督府, 「朝鮮の宗敎及信仰」, 朝鮮: 朝鮮総督府, 1935.
  46. 朝鮮総督府土地改良部 編, 「朝鮮の水利組合」, 朝鮮: 朝鮮総督府土地改良部, 1929.
  47.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朝鮮: 朝鮮総督府, 1935.
  48. 村山智順, 「朝鮮의 類似宗敎」, 최길성.장상언 공역,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91.
  49. 《京城日報》
  50. 《朝鮮新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