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형 문장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 - 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 (Word Problem with Figures Solving Ability and Error of Boys and Girls - with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

  • 오정윤;노영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53-367
    • /
    • 2007
  • 본 연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제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형 문장제에 집중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형 문장제 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를 조사하고, 남녀학생 사이의 문장제 유형별 문제해결 능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오류 유형의 남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녀학생 모두 '구문에 대한 이해 부족'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적절하지 않은 식 세우기' 오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의 문장제 해결 능력에 있어서는 변화 문제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학생이 우세하였으며, 결합형 문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에 많이 분포한 문제 유형은 평균 이상의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가장 적게 분포한 문제 유형이 가장 낮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

  • PDF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대수적 표상 전환 및 정교화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Algebraic Representation and the Elaboration for Grade 7)

  • 이경림;강정기;노은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07-539
    • /
    • 2014
  • 문자 기호 사용으로 대표되는 대수는 수학 전반에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수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어진 문제 상황을 적합한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문장제에 관한 몇 가지 연구로부터 이러한 전환의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주어진 문장 표상과 기하 표상 각각을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 및 정교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중학교 1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하여 문장으로 기술된 상황과 도형 표현이 추가된 상황을 제시하고 각 상황에서 요구하는 바를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조사한 결과 도형 표현을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하나의 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문항에서 10% 내외의 학생이 부적절한 응답을 하였다. 나아가 그 중 임의 추출한 네 명을 개별 면담함으로써 사고 특징 및 대수적 표상 정교화를 돕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수 표상 정교화 과정은 급진적이 아닌 점진적 개선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수적 표상 정교화를 요하는 문제에 대해 문제 요구 사항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대수적 표상에 대한 설명과 구체적 수치 상황 제시가 정교화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목격하였으며, 아울러 정교화의 경험은 전이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변수에 관한 오개념 등식 설정에 고착된 사고는 표상 전환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수적 표상 전환 및 정교화를 돕기 위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균등분배 상황에서 아이들의 분할전략의 구성 (The Construction of Children's Partitioning Strategy on the Equal Sharing Situation)

  • 김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1호
    • /
    • pp.29-43
    • /
    • 2012
  • 이 논문은 균등분배상황이 문장제나 수식 형태의 나눗셈으로 주어졌을 때, 아이들이 그 문제 상황을 도형으로 표현하고 그 도형을 분할하는 전략이 그 분할 결과를 다양한 형태의 분수로 수량화시키는 작업과 연관해 구성하는 개념적 스키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때 분자와 분모 간, 제수와 피제수 간의 인수와 배수 관계들이 그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아이들의 분할 전략은 다음 순서로 발달했다: 반복적인 이등분 수준${\rightarrow}$ 전체 양 모두 사용하기 수준${\rightarrow}$ 자연수 물건 남기기 수준${\rightarrow}$ 단수 물건 해석/복수 물건 해석 수준${\rightarrow}$ 직접 사상(mapping) 수준. 또한, 아이들이 단수 물건 해석을 복수 물건 해석과 연관시킬 수 있을 때, 그들은 마침내 나눗셈을 분수로, 분수를 나눗셈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 PDF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인지 진단도구 적용 결과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a Mathematics Diagnostic Test taken by Multicultural Koreans in their First or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 조영미;이옥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3-11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 인지 진단도구를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 영역에서의 다문화가정 학생반응의 주요 특징을 찾고 수학교육에 유의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1학년보다 2학년에서 미도달 비율이 높았으며, 다문화가정 학생 중 미도달 비율도 1학년보다 2학년에서 높게 나타났다. 도형과 측정 영역보다는 수와 연산 영역에서 미도달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학생 중 미도달 비율도 수와 연산 영역에서 높았다. 문장제 해결에서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난이도가 있는 수학적 내용과 수학적 사고로 인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여러 약점을 고려하여, 도형 영역에서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균형감 있게 다룰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무정의용어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며, 교재 구성, 평가 문항 작성, 실제 교실 수업 등에서 언어적 요인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