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식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Cognitive Scheme of Movement Verbs (이동동사의 인지 도식에 관한 비교 연구)

  • 오현금;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59-64
    • /
    • 2002
  • 인지심리학 및 인지언어학 분야에서 시도한 어휘 표상, 특히 움직임과 관련된 동사의 인지도식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인간의 언어학적인 지식을 도식적으로 표상 하고자 하는 노력은 언어의 통사적인 외형에만 치중하는 연구에서는 언어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판단하고 의미적인 범주화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 도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미지 도식은 공간적 위치 관계, 이동, 형상 등에 관한 지각과 결부되어 있다. 이미지로 나타낸 표상은 근본적으로 세상의 인식과 세상에 대한 행동방법을 사용하게 하는 유추적이고 은유적인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언술을 발화한 화자는 어느 정도 주관적인 행동의 능력과 그가 인식한 개념화에서부터 문자화시킨 표상을 구성한다. 인지 원칙에 입각한 의미 표상에 중점을 둔 도식으로는, Langacker, Lakoff, Talmy의 도식이 있다. 프랑스에서 톰 R. Thom과 같은 수학자들은 질적인 현상에 관심을 가져 형역학(morphodynamique)이론을 확립하였는데, 이 이론은 요즘의 인지 연구에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R. Thom, J. Petitot-Cocorda의 도식 및 구조 의미론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B.Pottier의 도식이 여기에 속한다 J.-P. Descles가 제시한 인지연산문법(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은 다른 인지문법과는 달리 정보 자동처리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관계에 기초한 수학적 연산작용을 발전시켰다. 동사의 의미는 의미-인지 도식으로 설명되는데, 이것은 서로 다른 연산자와 피연산자로 구성된 형식화된 표현이다. 인간의 인지 기능은 언어로 표현되며,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 사고 행위 및 인지학습의 핵심적 기능을 담당한다. 인간의 언어정보처리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언어정보처리와 관련된 언어심리학, 인지언어학, 형식언어학, 신경해부학 및 인공지능학 등의 관련된 분야의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of Mapping System for the Topographic Specification Analysis (지도 도식 분석에 의한 지도제작시스템의 효율성 향상)

  • 박기석;이재관;문용현;최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11-416
    • /
    • 2004
  • 본 연구는 지도제작시 지도의 표현과 특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최신 정보 취득과 자동화율 향상을 위한 지형도 도식을 고안하였다. 지도 도식은 기존 지형도와 최대한 유사한 형태이며, 단순ㆍ명료한 형태로 제작되도록 하여 수치지도 Ver 2.0(1/5,000)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도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치지도에서 획득하고, 기존 지형도 도식규정에서 표현하는 정보와 비교ㆍ분석하여 지도 제작 자동화에 유리하면서 지도의 미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도식을 고안하였다. 지도제작 자동화 시스템개발에 의한 1/5,000 수치 지도의 시범제작을 통하여 새로운 도식을 적용한 결과 약 7%의 자동화율이 향상되었으며, 대상물 특성에 가까운 도식을 고안하여 지도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최신 정보를 보다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공황장애 환자의 초기부적응 심리도식의 특성)

  • Woo, Na Young;Lee, Byung Wook;Lee, Hong Seock;Jung, Myung Hoon;Yi, Jung Seo
    • Anxiety and mood
    • /
    • v.7 no.2
    • /
    • pp.85-91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Patients (n=35) included people who had met the DSM-IV-TR criteria for panic disorder. The normal control group (n=35) were those people who had no psychiatric disorder and had never experienced panic attack.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ssessed by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form (YSQ-S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Results : The scores on the STAI-S, STAI-T, and BD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vulnerability to harm and illness, and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In the patient group, defectiveness/shame and subjugation schemas were found to predict BDI, dependent/incompetence,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s were found to predict STAI-S, and vulnerability to harm and illness, and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s were found to predict STAI-T. In normal controls, failure and insufficient self-control/self-discipline, failure, and emotion inhibition schemas were found to predict BDI, STAI-T, and STAI-S. Conclusions : Vulnerability to harm and illness and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s may be characteristic schema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The Development of Topographic Specification for Automatic Mapping System (자동 지도제작 시스템을 위한 지형도 도식 개발)

  • Park, Ki-Surk;Lee, Hwa-Jong;Choi, Seok-Keun;Lee, Jae-Ke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73-78
    • /
    • 2004
  • 본 연구는 지도제작시 지도의 특성을 쉽게 인식하고, 자동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형도 도식을 고안하였다. 지도 도식은 단순 명료하며, 기존의 지형도와 최대한 유사한 형태의 지도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을 가지고 1/5,000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도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치지도 Ver 2.0에서 획득하고, 기존 지형도 도식규정에서 표현하는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실무자들과 많은 협의과정을 거친 후, 지도 제작 자동화에 유리하면서 지도의 미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도식을 고안하였다. 또한 지도제작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1/5,000수치지도 Ver 2.0의 시범제작을 통하여 새로운 도식을 적용한 결과 약 7%의 자동화율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지도제작자동화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고, 사용자들이 지도의 특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최신의 정보를 보다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asoning through scheme (도형에 의한 추론 (Schematic Reasoning) : 통시적 사례 연구)

  • Cheong, Kye-Seop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9 no.4
    • /
    • pp.63-80
    • /
    • 2006
  • Along with natural and algebraic languages, schema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mathematical language.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focus on this point in detail. Schema was already in use during Pythagoras' lifetime for making geometrical inferences. It was no different in the case of Oriental mathematics, where traces have been found from time to time in ancient Chinese documents. In schma an idea is transformed into something conceptual through the use of perceptive images. It's heuristic value lies in that it facilitates problem solution by appealing directly to intuition. Furthermore, introducing schema is very effectiv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However we should keep in mind that proof is not replaceable by it. In this study, various schemata will be presented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We will show with emaples from the theory of categories, Feynman's diagram, and argand's plane, that schema is an indispensable tool for constructing new knowledge.

  • PDF

Topographic Map Specification Analysis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Automatic Mapping (지도제작자동화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지형도 도식 분석)

  • Choi Seok 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4
    • /
    • pp.375-381
    • /
    • 2004
  • This study is to improve an automatic rate of mapping system through analysis of topographic map specification. The digital map ver 2.0(1/5,000) has used for this studv and the mapping information is to obtain digital and topographic map. This topographic map specification is compared with information that represented of today. The regulation of a map specification for automatic mapping system planed out $\circled1$ similar specification of topographic map $\circled2$ simplified specification $\circled3$ clearness specification. After this study, the automatic rate of a mapping is up to 7% and the map specification has been easily gen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부적응 도식과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

  • Ji-Hye Lee;Paul Kyu-man Cha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8 no.2
    • /
    • pp.169-190
    • /
    • 2012
  • This research explor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ach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e selection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a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at of 'Impaired limits',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experiential regulation strategy.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PDF

A Derivation of the Typical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in KOREA (한국 대표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 Lee, Won Hwan;Park, Sang Deog;Choi, Song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1
    • /
    • pp.115-120
    • /
    • 1993
  • The study is to derive a typical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TPRIF) by analyzing pre-issued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PPRIF) over principal rainfall observation stations, and to obta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ainfall patterns by evaluating probable rainfall amou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A TPRIF which integrates PPRIF with a single pattern is presented. In deriving probable rainfall intensity, the application of TPRIF wa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PPRIF. The value of R24/Rl which is the dimensionless ratio for rainfall characteristics tends to be inversely proportionate to the regional coefficient n. By comparing these values, the whole country could be divided into about 5 regions. In these five regions, the short-duration rainfall intensity is dominant in inland areas but the long-duration rainfall intensity is dominant in East Sea areas.

  • PDF

Evaluation of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Considering the Locality of Rainfall Pattern Change at Incheon City (국지성 호우패턴 변화를 고려한 인천지역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

  • Choi, Gye-Woon;Han, Man-Shin;Chung, Ye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46-851
    • /
    • 2006
  • 본 논문은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와 이상강우를 고려하여 인천지역에서 사용중인 확률강우강도식에 대한 새로운 확률강우강도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 10분${\sim}$24시간까지의 임의시간 연최대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11개의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 -Smirnov 검정방법, C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최근 강우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고 실제 발생한 강우 중에서 최대 발생 강우량을 고려하여 적정분포인 GEV 분포를 확률 분포형으로 선정하였다. 확률강우강도식은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Talbot형, Sherman형, Japanese형, 통합형 Ⅰ 및 Ⅱ 형태로 산정하였고, 지역내 하수도 및 하천의 지속시간을 감안하여 확률강우강도식을 결정하였다. 또한 정확성을 고려하여 통합형 Ⅰ을 선택하였고 지속시간에 따른 강우강도식의 확률강우와 관측치를 감안한 강도식을 인천지역의 강우강도식으로 제안하였다.

  • PDF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에 매개효과

  • Choe, Pil-Yeol;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67-70
    • /
    • 2022
  • 최근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부터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지능화, 다양화되고 범죄와 폭력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절도, 사기, 장물, 횡령 등과 같은 초범의 재산 범죄가 44.8%(2015)에서 45.1%(검찰청, 2020), 언어 및 신체의 학교폭력 피해자가 45.2%(2015)에서 54.1%(교육부, 2021)로 나타나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심각한 실정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의 범죄와 폭력은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수행과 목표 달성의 도구적 행위이며 고위험군의 외현화 문제행동이다(Cornish & Clarke, 2002). 외현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조절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 25.0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1.871, p<.001). 둘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F=111.594, p<.001).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방 및 감소, 초기 부적응심리도식의 완화를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