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 농지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이집트의 수자원과 관개사업

  • 정상옥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4 no.6
    • /
    • pp.7-11
    • /
    • 2002
  • 사막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집트는 사막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사막을 가로질러 카이로에서 알렉산드리아로 가는 고속도로를 건설하였으며, 도로 인근에 농장개발은 물론 도시개발은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용수의 공급이다. 또한 한정된 수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용수의 절약기법 개발과 농업배수의 재이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육지에서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물의 양을 최대한 줄여나갈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본 고 에서는 이집트의 수자원 대규모 농지개발 개요를 소개하였으며, 사막지역의 개발 방향과 용수 절약기법과 농지배수 재이용을 통한 농지 개발 사업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Forecasting of Farmland Value Increasing Rate and Estimation of Monthly Payment of Farmland Pension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지역적인 차이를 고려한 농지가격상승률예측 및 월평균 농지연금 지급액 추정)

  • Cho, Deokho;Yeo, Changw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1 no.2
    • /
    • pp.91-102
    • /
    • 2015
  • 한국은 2050년까지 주요 선진국 중에서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사회로 전환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대여명의 증가와 저 출산은 고령화를 더욱 악화시키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정부는 2008년에 도시지역에는 주택연금제도를 도입하였으며, 2011년에는 세계 최초로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농지연금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제도는 설계 당시부터 복지상품이라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손실과 수익의 균형에 초점을 둔 금융상품으로 개발되어 실질적으로 노인들에게 크게 인기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지연금제도를 활성화시켜, 농촌노인들에게 보다 더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해 지역 토지시장을 감안하여 지역별 농지가격상승률을 예측하고 연금액을 산출하였다. 또, 지금까지 사용한 년 혹은 분기별 감정가 대신에 월별, 지역별 실거래 가격을 모형에 적용하여 지역토지시장, 고령화 수준 등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연금액을 산출하였다. 할인율자료도 가장 안정적인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을 활용하여 미래농지가격을 예측하고, 이를 유동화하여 월 생활자금으로 지급되도록 하였다. 특히 농지규모가 가장 많고, 고령화 정도가 심각하여 농지연금의 잠재적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상북도와 전라남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이를 전국평균과 비교하여 지역적인 차이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지가격 및 이자율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을 검정하고, 장기농지가격을 예측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경북, 전남, 전국의 노인들의 월평균 지급액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책의 잠재적 수요가 가장 높은 두 지역이 가장 낮은 금액이 지급되는 것으로 추정되어 이는 또 다른 지역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ypes of Green Landscapes in a Suburban City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 Son, Yong-Hoon;Yoon, M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5
    • /
    • pp.101-11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landscapes in suburban cities and identify methods for managing them. The study site is Matsudo city in the outskirts of Tokyo, Japan. All the greenery in Matsudo was categorized into different landscape patterns using spatial analysis and field surveys. Afterwards, assessments of green landscape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s and factor analyses. There are a variety of green landscapes in Matsudo, formed by a number of different reasons such as urban planning, topographical characters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Twenty different green landscape patterns were identified in Matsudo. The survey concluded that green landscape patterns of parks and rivers in Urbanization Control Areas are more attractive than patterns of farmland or forest in residential areas. Three major factors influenced perceptions: legibility, intimacy and the locality on the landscape assessment. Urban farmland and urban forest are two characteristics of suburban cities, and these green landscapes relate to intimacy or localities in a regional imag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a green master plan and green landscape management.

Analysis of Pollutant Loads of Rainfall Runoff From Agricultural-Forestry (강우시 농지-임야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부하량 분석)

  • Yur, Joong Hyun;Kim, Geon Ha;Seo, Jung M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88-892
    • /
    • 2004
  • 농지, 임야지역에서의 강우유출수 수질의 파악은 수자원 수질관리에 있어서 바탕수질(Background water quality)이기 때문에 물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다. 본 연구는 농지와 임야가 혼합된 도시외곽지역에서 강우시에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에 대하여 유역특성이 다른 두 지역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유역은 임야와 농경지가 주를 이루는 지역으로 농지의 비율이 자자 $0.4\%$$35.9\%$인 유역이다. 측정은 건기에서부터 강우기 때까지 각 유역 당 10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 항목으로는 pH, SS, TCOD, SCOD, BOD, TP, TN, $NH_3-N$, $NO_3-N$, $PO_4-P$, Total coliform, Escherchia Coli를 측정하였고, pollutograph, loadgraph을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농지의 비율이 큰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이 모든 수질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S, 유기물, 미생물 항목에서 초기강우세척철상(first flush)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측정 자료에 내한 동계분석결과 SS항목과 유기물 항목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강우에 따른 오염부하량은 누승함수, 2차함수의 형태로 증가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pollutions according to Landuse for a Small Watershed in PALDANG Water system (팔당수계 소하천의 토지이용에 따른 오염물질특성)

  • Song, Chul-Min;Pak,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31-1034
    • /
    • 2010
  • 지난 2008년 11월 중앙정부와 팔당수계 7개 시 군은 수질보전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개발을 위해 2008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이하 오총제)의 의무제 도입을 합의하였다. 오총제의 의무제 도입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각 유역별 토지이용 특성 분석 및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정도의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유역관리의 방향 설정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농도규제에서 좀 더 과학적 수질관리 기법인 총량관리 개념의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도'의 도입에 따라 효율적이며 과학적인 소유역 관리를 위해, 토지이용과 오염물질 유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앞서 언급한 7개 시 군의 각각 주요 하천 3개소를 선정하여 총 21개소를 2009년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 동안 월 3회씩 BOD 및 COD를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그 유역을 전수조사를 통해 토지이용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토지이용에 따른 산림지역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가평군 남양주시로 나타났고,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지역은 여주군, 용인시 및 이천시이며, 농지가 많은 지역은 양평군 여주군으로 나타났다. COD 및 BOD의 배출 정도는 농지와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지역에서 높은 수준(p<$0.05^*$)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유역에서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임지의 토지 이용률이 증가할수록 BOD 및 COD 평균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 PDF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Classification of Neighborhood Parks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Effective Urban Park Management (도시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근린공원의 유형분류)

  • LEE, Woo-Sung;JANG, Gab-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26-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arks by type and to propose management plans for each park typ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used to classify them into five categories. A total of 68 neighborhood parks were classified using their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ith a resulting distribution of 41 parks classified as 'FFR-type parks,' 12 as 'HNR-type parks,' 6 as FFCI-type parks,' 3 as FFA-type parks,' and 6 as 'HNA-type parks.' In the analysis of ecological and usage characteristics for the neighborhood park types, FFR-type parks had excellent park accessibility and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within the park service area. HNR-type parks had high NDVI from their natural green spaces, but their accessibility was low. FFCI-type parks had very low NDVI and green space connectivity, and also had low park accessibility and population density. FFA-type parks had low NDVI and green space connectivity, and very poor accessibility. HNA-type parks had high NDVI and green space connectivity. These findings provide an effective base dataset for use in preparing long-term plans for remodeling and managing urban neighborhood parks.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Farm-returning and Rural-returning : With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actor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족 지지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 Lee, Ji Heum;Ha, Kyu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39-5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ural migration factors,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festyle conditions and support policies reflected against the family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In this study family factor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actors of rural migrati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ving conditions of the farmers and the support policies, whe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satisfaction of migration with an adjusting factor of the family satisfaction which will be further analyse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idents and 23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re demographic attributes being the controlling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djusting variable of the family. As the economic factor increa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generated to be higher in rural migration. As for the degree of preparation, living condition and support policies resulted, great quantity of green nature, safety and agriculture startup support, respectively, indicated a positive eff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migration. From the results, adjustment effect of the family factors on the economic, natur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have appear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policy support, regional stability, and economic gai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to reduce re-migration rate to city.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ion Loads in the Industrial Site of Urban Area (도시유역 공업단지의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 Shon, Tae-Seok;Kim, Mi-Eun;Joo, Jae-Seung;Shin, Hyun-Suk;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7-201
    • /
    • 2011
  •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그동안 하 폐수 처리장 등 친환경시초시설의 건설과 하수관거의 확충으로 점오염을 통제해왔으나, 여전히 하천, 호소, 연안의 수질은 목표 수준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점오염원 삭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다. 비점오염물질은 도로상 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지표상 퇴적오염물질, 농지에 살포된 농약, 축사에서의 유출물 등이 강우시 빗물과 함께 유출되면서 발생한다. 특히, 도시지역에는 대 소규모 공단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징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가 크고 각종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개별 공장이 아닌 이러한 비점오염원 특징을 가진 대 소규모 공업단지(김해시 나전농공단지, 부산시 녹산 국가산업단지)를 선정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