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casting of Farmland Value Increasing Rate and Estimation of Monthly Payment of Farmland Pension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지역적인 차이를 고려한 농지가격상승률예측 및 월평균 농지연금 지급액 추정

  • Received : 2015.04.22
  • Accepted : 2015.06.1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한국은 2050년까지 주요 선진국 중에서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사회로 전환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대여명의 증가와 저 출산은 고령화를 더욱 악화시키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정부는 2008년에 도시지역에는 주택연금제도를 도입하였으며, 2011년에는 세계 최초로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농지연금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제도는 설계 당시부터 복지상품이라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손실과 수익의 균형에 초점을 둔 금융상품으로 개발되어 실질적으로 노인들에게 크게 인기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지연금제도를 활성화시켜, 농촌노인들에게 보다 더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해 지역 토지시장을 감안하여 지역별 농지가격상승률을 예측하고 연금액을 산출하였다. 또, 지금까지 사용한 년 혹은 분기별 감정가 대신에 월별, 지역별 실거래 가격을 모형에 적용하여 지역토지시장, 고령화 수준 등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연금액을 산출하였다. 할인율자료도 가장 안정적인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을 활용하여 미래농지가격을 예측하고, 이를 유동화하여 월 생활자금으로 지급되도록 하였다. 특히 농지규모가 가장 많고, 고령화 정도가 심각하여 농지연금의 잠재적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상북도와 전라남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이를 전국평균과 비교하여 지역적인 차이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지가격 및 이자율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을 검정하고, 장기농지가격을 예측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경북, 전남, 전국의 노인들의 월평균 지급액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책의 잠재적 수요가 가장 높은 두 지역이 가장 낮은 금액이 지급되는 것으로 추정되어 이는 또 다른 지역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oehm, T. P. and Ehrhardt, M. C (1992). Are Reverse Mortgage Suitable Bank Investments? Real Estate Review, Fall, 40-45.
  2. Burt, O. R. (1986). Econometric Modeling of the Capitalization Formula for Farmland Pri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8: 10-26. https://doi.org/10.2307/1241645
  3. Cho, Deokho & Seungkyu Ha (1997). A Study on the Life-Time Housing Model. The Journal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2(1): 143-161.
  4. Cho, Deokho & Seungkyu Ha (2004). Economic Feasibility of Reverse Mortgage Annuity for the Elderly Housing Welfare. Housing Studies Review, 12(1): 175-199.
  5. Cho et. al. (2008). The Adaptation of the Farmland Reverse Mortgage (Farmland Pension), Korean Rural Community Corporation.
  6. Cho et. al. (2009). Building of the Long-Term Forecasting Model of Farmland Price for Introducing the Farmland Reverse Mortgage System.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25(4); 105-123.
  7. Choi, Kyunghee & Deokho Cho (2010).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s for forecasting Mortality Rates for Building the Farmland Pen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3(4): 75-103.
  8. Christopher J. Zakrzewicz, B. Wade Brorsen, and Brian C. Briggeman (2013). Accuracy of Qualitative Forecasts of Farmland Values from the Federal Reserve's Land Value Surve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45(1):159-170.
  9. Kim, Myungjik and Gukhyun Chang (2006). Financial Time Series Analysis (the Second Edition), Gyeongmoonsa (in Korean).
  10. Lee et. al. (2005). Financial Time Series Analysis Using Eviews, Gyungmoonsa (in Korean).
  11. Ma et. al. (2007). Estimating Reverse Mortgage Insurer's Risk Using Stochastic Models, the 11thAPRIAConferenceinTaipei,Taiwan.
  12. Ma et. al. (2008). Development and its Effects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System.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1): 167-182.
  13. Park, Hunjoo and Cheul Park (2001). The Study of Forecasting on the Land Market by the Time Series Model. Housing Studies, 9(1):27-55. https://doi.org/10.1080/02673039408720773
  14. Park, Gil H. & Deokho Cho (2014). An exploratory analysis of payoffs for the lifetime mortgage of farming asset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gric. Econ. 60(9): 406-419.
  15. Shon, Jungsik, Kim, Keunyoung, and Youngsun Kim (2002). The Study on the Forecasting Model of Real Estate Price. Housing Studies, 11(1): 49-75.
  16. Yeo, Chang-Hwan and Deokho Cho (2010). Forecasting the Long-Term Farmland Value for Building the Farmland Reverse Mortgag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2(3): 63-80.
  17. http://en.wikipedia.org/wiki/Reverse_mortgage: 2015.10.09.
  18. http://kosis.kr/metadata: 2015.04.15.
  19. http://sgis.kosat.go.kr/publicsmodel/: 2015.04.10.
  20. http://www.koreatimes.co.kr/www/news/biz/2010/05/123_48264.html: 201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