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구성 요소

Search Result 4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Plan for Wide Road's Streetscape by Simulation of Streetscape's Components - As a Sample Wide Area Road in Busan - (도로경관의 구성요소 제어를 통한 광역도로 경관형성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광역도로사례를 중심으로 -)

  • 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D
    • /
    • pp.79-87
    • /
    • 2010
  • The urban street has been escaped from functional and uniformed arrangement for merely movement to the space which can take the role of cozy and familiar culture. Therefore I tried to prepare a plan for the wide roads having streetscape which reveal area's identity as well as coziness and convenience by grasping the problem and its solution through analysing and deducing various elements with the subject of streetscape among urban landscape components, especially composing wide road's streetscape. First of all, this study made a simulation by deducing components of wide road's streetscape and controlling them with theoretical review of streetscape and consideration of wide road's local characteristic. With the evaluation on the base of them, that following four components could be the representative things of entrance part was confirmed by this study. They were familiar streetscape,symbolic scene as as an entrance gate, continuous and dynamic streetscape, and interesting and pleasant streetscape. And for the middle part, those four components could represent the wide road's streetscapeI were confirmed. They were familiar streetscape, safe and tender streetscape, pleasant and dynamic streetscape, and symbolic streetscape. It seems that the components of the streetscap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utilized as reference data in the case of a future streetscape design conclusively.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treet Environment image Identification - Centering on developmental examples and design factors for establishment of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 (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디자인요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윤봉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83-92
    • /
    • 2002
  • In the 21st century, as localization is reinterpreted as an important part of globalism and as local culture is recognized as a device to increase the competitive power, every city is trying to develop its identity and improve its image while coping with change of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 Therefore, basic research was preformed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and as a result, an ideological slogan " City of Light and Life, Gwangju" and basic factors were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city, focusing on design factors that the city image is comprised of, and establishes a long-term strategy for urban environment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the city. and focuses on case studies for establishment of an image suitable for Gwangju.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urban environment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Gwangju. From the results, further studies can be pursued according to a long-term strategy. strategy.

  • PDF

A Study on the Way to Construction of Integrated Urban Management Center by City Types -Focused on the Development types of City- (도시유형별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방안 연구 - 신도시/기존도시 개발유형을 중심으로 -)

  • Lee, Hyo-Chang;You, J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424-429
    • /
    • 2009
  • 2009년 현재 기완료된 바 있는 화성 동탄 신도시를 시작으로 국내 12개의 u-city가 건설 추진 중에 있다. 또한 39개의 지구가 추진예정 중에 있으며 더욱 많은 지자체들이 u-city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는 u-city의 구성요소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도시통합운영센터는 도시정보를 효율적으로 취합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그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여러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센터의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도시개발 유형과 관련하여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u-city를 구축하는 경우 도시의 기반시설물 구축과 함께 u-city시설물 구축이 동시에 가능하지만 기존 도시의 경우 이미 구축되어 있는 도시기반 시설물에 u-city구축을 위한 시설물과 관련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로 인해 각 유형의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방안에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선 여러 가지 도시특성 중 개발 유형에 따라 도시의 유형을 구분하고 이를 중심으로 도시통합운영센터의 구축 시 고려해야할 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Urban Planning by Sharing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지적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효율적 도시계획입안에 관한 연구)

  • 김감래;최원준;임건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09-512
    • /
    • 2003
  • 도시계획정보는 토지의 사회경제적 이용 가능한 잠재성을 보여주는 반면에 지적정보는 주로 법적 측면에서 토지정보를 다루고 있다. 지적정보시스템은 지적분야의 고유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많은 다양한 정보를 다른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이용,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생산하거나 의사(정책)결정을 지원하는 다목적시스템으로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지적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교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두 정보분야의 이질적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는 정보공유가 불가능하다. 도시계획과 지적분야의 정보공유를 연구의 중심으로 하여 특히 지적분야의 구성요소를 토지계획분야에서 원하는 정보로 변환, 사용하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 PDF

The Effect of Urban Road Vegetation on a Decrea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져감 효과에 관한 연구)

  • Cha, Hye-Jin;L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107-116
    • /
    • 2011
  •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increase urban temperature is roads.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rban roadside vegetation o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For this,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18 spots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in terms of road components including use of roadside land use, roadway, sidewalk, roadside vegetation and vegetation median barrier. The size of the roadside vegetation and related urban road characteristics were also measured. In terms of the effect of roadside vegetation on a decrease in road surface temperature, the roadside land use as a green area or open spac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ize of vegetation median barrier and the size of roadside vegetation. Besides road surroundings, an increase in the green zone such as roadside vegetation and median strip vege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owering road surface temperature. Therefore, a good solution for reduc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would be to increase the area of roadside vegetation and green areas along roads.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Level of the Residents: Focused on 25 Boroughs(gu) in Seoul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 Lee, Woo-Min;Seo, Seung-Yeon;Lee,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351-36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urban planning and policies for the creation of a happy urban environ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tracted the urban environment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were expected to affect the levels of individual happines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ppiness levels of people. To determine the el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ables, urban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ity, a lower population density and a higher level of wal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showed a high level of individual happiness. In terms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more spacious park areas and higher green area satisfaction showed a high level of individual happiness. Finally, regarding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city, social trust was found to affect the happiness levels.

경상도 읍치 경관의 진산에 관한 고찰

  • 최원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3-168
    • /
    • 2003
  • 조선시대 군ㆍ현 읍치의 대다수는 현재 지방 도시의 도심부를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읍치의 과거 공간구조는 지금도 지금도 지방 도시 공간체계의 기본골격을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읍치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 연구가 부진하여 가장 기본적인 읍치 경관 구성요소의 위치나 규모조차 밝혀지지 못한 군ㆍ현이 많은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