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n for Wide Road's Streetscape by Simulation of Streetscape's Components - As a Sample Wide Area Road in Busan -

도로경관의 구성요소 제어를 통한 광역도로 경관형성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광역도로사례를 중심으로 -

  • 김종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9.11.12
  • Accepted : 2009.11.2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urban street has been escaped from functional and uniformed arrangement for merely movement to the space which can take the role of cozy and familiar culture. Therefore I tried to prepare a plan for the wide roads having streetscape which reveal area's identity as well as coziness and convenience by grasping the problem and its solution through analysing and deducing various elements with the subject of streetscape among urban landscape components, especially composing wide road's streetscape. First of all, this study made a simulation by deducing components of wide road's streetscape and controlling them with theoretical review of streetscape and consideration of wide road's local characteristic. With the evaluation on the base of them, that following four components could be the representative things of entrance part was confirmed by this study. They were familiar streetscape,symbolic scene as as an entrance gate, continuous and dynamic streetscape, and interesting and pleasant streetscape. And for the middle part, those four components could represent the wide road's streetscapeI were confirmed. They were familiar streetscape, safe and tender streetscape, pleasant and dynamic streetscape, and symbolic streetscape. It seems that the components of the streetscap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utilized as reference data in the case of a future streetscape design conclusively.

도시가로는 이동을 위한 공간의 기능주의적인 일률적 시설배치를 벗고 쾌적하고 친숙한 문화공간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뀔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로경관을 대상으로 그 중에서도 광역도로의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 및 도출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동시에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가로경관을 갖는 광역도로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가로경관 형성에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가로경관의 이론적 고찰과 광역도로의 입지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광역도로 가로경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이들을 제어하여 시뮬레이션을 작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행한 평가를 통해 진입부는 친숙한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진입관문으로서 symbol적인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연속적이고 동적인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재미있고 즐거운 가로경관의 구성인자로 4가지의 구성인자가 광역도로의 진입부 가로경관을 대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중간부에서는 친근한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즐겁고 동적인 가로경관의 구성인자, 상징적인 가로경관의 구성인자로 4가지의 구성인자가 광역도로의 중간부 가로경관을 대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종환(2001)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있어서의 모듈 시스템 적용의 효용성,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 김도경(2003)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3. 김종구, 谷村秀彦(2000) 다차원척도에 의한 가로경관의 평가,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5권 제3호 pp. 141-151.
  4. 김종구(2001) 가로경관의 선호도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6호.
  5. 김종구, 오승훈(2001) 도로경관의 심리평가와 물리적 공간 구성요소,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1-D호 pp. 23-31.
  6. 송민정, 이윤미(2006) 지역정체성을 살린 가로시설물 개선방안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제21호.
  7. 이세은(2002) 가로시설물 배치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8. 이희정, 황재훈, 박성근(2008) 디자인과 도시 경쟁력, 도시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No. 312.
  9. 최일홍, 정두용, 오민근, 이석현, 윤진욱(2007) 경관법과 도시공간관리, 도시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No. 306.
  10. 한선아(2001)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통합에 의한 가로경관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