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형 한옥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형 한옥주거지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특성변화 (Change of Social Aspect Resulting from the Physical Changes of the Urban Traditional Housing)

  • 이승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17-124
    • /
    • 2006
  • Korean urban traditional housing abandoned by the social apathy promptly disappearing form our sight, or ruining. It tells that the strategies we are using today are impossible to fulfill socio-economic needs of residents here. So it needed to find out the strategies which can change this place better to live in. Consolidating the street parking lots fer car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solutions to the area. By using cul-de-sac, after setting up small unit of communities, we will have chance to have a small public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help to set up our tradition of people's intimacy inside the community. Most people have their own cars, and the need of parking lots becomes more serious. So, a meeting place like public well in the past must replace parking lots.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re-consolidate existing land to obtain appropriate land size for other uses. Today, the use of private space (house, private lots, etc..)and public space(streets, local offices) is very important. NIMBY (Not In My Back Yard) attitude should also be reconsidered. All these negative social aspects come from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thus we should consider them with care and deep understandings. The traditional housing of Korea should not be abandoned as slum, but this should be transformed in terms of the conservation since it is superior in its ecological and energy conservation aspect.

살고 싶은 도시, 지속가능한 공동체 -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을 통해 본 지속가능한 개발과 주거 - (A City Desirable for Living, A Sustainable Community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ousing Viewed through Urban Hanok Residential Areas and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in Seoul -)

  • 김영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240-255
    • /
    • 2016
  • 근대기 동서양의 많은 도시들은 역사유산을 도시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생각하고 개발 또는 개선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특히 급격한 개발과 성장을 경험했던 도시에서 개발과 역사유산의 보존은 서로 상충될 수밖에 없는 문제로 인식되었다. 우리 주변의 도시들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변화의 과정에서 많은 역사와 기억을 잃어버리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속가능성은 도시의 생명력과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근대기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를 겪었다. 이러한 격랑 속에서 유무형의 자원이 도시로 집중되고 개발로 이어지는 순환이 반복되었다. 하지만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도시개발은 삶과 역사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생각해 봐야할 시점이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 도시의 미래는 어떤 모습이고 주거지는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 이를 위해 본 글에서는 근대기 급격한 변화를 겪었던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거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한옥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낙후된 주거유형으로 인식되어 쉽게 재개발의 대상이 되곤 했다. 성곽마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현재 이들 오래된 주거지는 도시의 역사와 공존하며 지속가능한 주거지로서의 가능성을 재평가받고 있다. 즉 재생을 통해 도시의 역사 및 정체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적인 역사도시들은 근대기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격변 속에서도 역사유산을 온전히 지켜왔다. 그로인해 도시에 담긴 다양한 역사적 증거와 유무형의 가치를 지킬 수 있었다. 역사유산을 보존하는 것은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역사문화적 가치를 계승하고 이러한 가치를 시공간을 뛰어넘어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도시는 역사성, 집단성, 현실성을 가지며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 형태 및 환경이 사라지면 그 안에 담긴 내용도 함께 사라지고 단절된다.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역사유산을 보전하면서 도시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관광형 스마트시티의 재난 대비 방법 (Disaster Preparedness Method for Tourism-type Smart City using Metaverse)

  • 김성;박영세;하영석;석광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6
    • /
    • 2022
  • 전주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답게 모든 사적과 여 채가 있는 한옥마을의 건물이 모두 목재와 기와로 지어진 한옥으로 밀집되어 있어서 화재와 지진, 풍수해 시에 소방차나 구조차의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초기 화재 진압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인명피해와 함께 국보와 사적지가 전소될 수 있어 인명과 문화재 보전을 위해 소방시설의 확충과 안전관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재난 대비를 위한 방법으로 소방 드론을 활용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를 활용하여 스마트시티-전주를 구현하였고, 소방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드론 소방서를 제안하였다.

  • PDF

도시형 한옥의 안마당 사용실태에 관한 기초적 조사 -서울 북촌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Application of the Inner Court in Urban Traditional Housing - Focused on the Bukchon Village, Seoul -)

  • 박현옥;김현아;백혜선;이상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9-46
    • /
    • 2006
  • "Urban traditional housing" means a type of urban housing which retain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for ordinary people. It is a form of housing created in the process in which traditional Korean ways of life are applied to swift modernization. In Korea's traditional housing, the "court" functioned as a living space that promoted family bonding. The space of the court still remains in the urban traditional housing. However, rapid popularization of the westernized housing form, i.e., apartments, resulted in standardization and westernization of our housing and living patterns, and as a result, the court in urban traditional housing came to lose its original meaning.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resident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By studying them, this research aims, firstl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ner court, secondly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of the inner court and their use of the space, and ultimately to find various possible forms of our future housing. For this research, twenty six houses in the Gahoe-dong area in which urban traditional houses are densely built up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ner court in current urban traditional housing is a space existing inside a house but directly exposed to outer air at the same time. It is a private but shared space. It contributes to forming a pleasant atmosphere by facilitating ventilation and providing sunlight. In addition, it is a living space that actively reflects the Korean living style that values family life.

  • PDF

도시형한옥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현대적 활용방안 연구 - 내부공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dern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 - Focus on the Change the Interior Space -)

  • 류인혜;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53-161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evaluate urban traditional houses and to propose direc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a way of maintaining historical landscape rather than the value of urban traditional houses as components in expanded urban structure. For these purposes,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s by representative cases and analyzing them exhaustively, and suggested problems in the ci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houses and solution for them. The current conservation system for Urban Traditional House in the Bukchon area is applied to non-residential Urban Traditional Hous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wner's consciousness of conservation because there is no support system for non-residential Urban Traditional House. Accordingly, there should be standardized criteria to maintain the landscape of the Bukchon area in terms of beauty formed by the eleva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 and the continuity of roofs while accommodating various functions. As in total conservation or partial conservation, the interior remodeling of individual houses may be allowed but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appearance composed of the outer walls, fences and roofs of Korean-style houses should be repaired and improved in a way of maintaining the image. In order to utilize Urban Traditional House in the Bukchon area, plan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its location, historicity and tradition. We may expect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faciliti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as alternative cultural spaces. Such use of individual Urban Traditional House should be extended by linearly and areally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 PDF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녹지공간 구성 및 이용실태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for Green Space of the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nearby downtown of Taegu)

  • 여미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5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하
    • /
    • pp.57-62
    • /
    • 1995
  • This is a positive study for researching of the cognition, realities o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future about green spaces of the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nearby downtown of Taegu. This study is constructed to the actual and servey examination, and the subject areas were Sam-Duk-Dong and Su-Sung-D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weller more Preferences anti-artificial and hearing than artificial and visually nature elements. 2) The best plant space was 'Madang', and the kind of best plant was ornamental. The main purpose of plants were admiration and to use as food. 3) The dweller's requirements rather hearing than visually elements. and they preference in indirectly method but they had subconslousness about directly plant plan. Also they want to water space.

  • PDF

도시형 한옥지구의 녹환경 인식구조에 관한 연구 -도시 주택지 녹환경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Green Environment of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s)

  • 정덕규;김준식;김익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53-161
    • /
    • 2001
  • This paper is to clarify a cognitive structure of green environment in the traditional urban residential area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sis; 1) According to the survey of created actual condition of the green environment, the main space was consisted of court(74%).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locations for green environment at the court and the alley are 71, 60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to creat green environment resulted admiration and enjoyment. 2) The degree of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and $\ulcorner$nobleness$\lrcorner$ of the house were increased by creating green environment in a house, and the degree of $\ulcorner$neighborhood$\lrcorner$ and $\ulcorner$familarity$\lrcorner$ were increased by creating green environment out side of house.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image,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has an interrelation with all factors of image. Therefore, the creating of $\ulcorner$agreeableness$\lrcorner$ is a main problem for raising the whole image of the residentia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