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축소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폐광지역 산업도시의 도시축소양상과 도시공간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조치에 따른 폐광지역 축소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Policy for the Industrial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Shrinkage - A Case Study on Shrinking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by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 지은희;한동규;정찬구;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1호
    • /
    • pp.135-144
    • /
    • 2022
  • 이 논문은 폐광지역진흥지구가 지정된 4개의 사례도시를 대상으로 최근 20년간 도시축소 유형을 분석하고 도시축소 실태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공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20년간의 1년 단위 도시축소유형 분석결과, 사례도시 모두 고착형 축소도시로 분석되었으며 최근 40년간 정점인구 대비 30 % 이상의 인구감소를 나타냈다. 공간구조적으로는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시가화면적과 비도시지역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면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비도시지역의 개발행위허가 및 건축허가도 증가추세에 있어 도시공간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 향후 소멸 고위험단계에 있는 군급 도시에 대한 연구와 도시축소 유형의 세분화 및 유형별 실태분석을 위한 다양한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 김민석;변태근;이상호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33-45
    • /
    • 2019
  • 전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하여 주요 선진국에서는 도시축소문제가 도시정책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가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지역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감소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풍기읍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만 감소하는 단순축소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도시 내에서도 중심지마다 공간변화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다핵구조를 갖는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연한 스마트 축소도시를 위한 국내·외 도시전략 비교 연구 (A Comparative Case Study on Urban Strategy for Flexible Smart Shrinking City)

  • 최완영;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34-641
    • /
    • 2019
  • 세계 인구는 2019년 현재 77억 명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모든 도시가 성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늘어나는 인구의 대부분은 편의시설, 일자리 문제로 큰 도시로 몰리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중소도시의 인구감소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특정도시에 있어서는 고용감소, 경기침체와 같은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며 전국의 인구가 특별시, 광역시 등으로 몰리고 있는 추세이다. 일찍이 해외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해결하기 위해 오로지 도시의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략이 아닌, 도시의 축소에 대응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도시들의 인구동태를 파악하고 축소도시로 선정된 도시 사례를 파악하고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같은 맥락에서 해외 사례를 통해 축소도시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선택된 스마트 축소도시의 개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와 해외의 대응 전략상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론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트 축소도시 전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 새로운 대안으로 유연한 스마트 축소도시(FSSC: Flexible Smart Shrinking City) 전략을 제안하여 자원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추세에 따른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 (City Shrinking Simulation followed by a Decrease of Population Trend in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 이다건;윤철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127-134
    • /
    • 2019
  • Recently, the city development policies are being switched to the policies focusing on recession worldwide. Even though South Korea is also facing the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downsized because of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problem, there is lack of solutions and even they are still planning city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prospect of high growth. This study is featuring 4 viewpoints depending on shrinking population trend in 7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which are chosen as downsized cities. It is dealing with population peak, current population, 2030 population, and 2040 population viewpoints. And this study uses downsizing simulation that suggests optimum area that fits population and then shows visual check of the status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The area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expanded more than needs when they are on population peak point. However, they need only 20% to 25% of current area in 2030 and 2040.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alizing the seriousness and facing up to the 'shrinking' phenomena that each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uffer.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presenting the statu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problems in South Korea.

왜곡도 계수를 고려한 GEV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s Considering the Coefficients of Skewness for the GEV Distribution)

  • 김수영;허준행;최민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2호
    • /
    • pp.85-96
    • /
    • 2011
  • 연최대수문량의 도시적 분석에 주로 이용되어 온 확률도시위치는 표본자료와 적정 확률분포형의 적합도를 표시하여 초과확률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 적합도 검정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확률도시위치를 결정하는 도시위치공식은 오래 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왔는데, 특히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GEV 분포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포형보다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GEV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추정하고자 GEV 분포의 순서통계량의 평균 개념을 이용하여 이론적 축소변량을 유도하였다. 또한 다양한 표본크기와 형상 매개변수와 연관이 있는 왜곡도 계수를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도시위치공식을 적용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론적 축소변량과 금회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위치공식에 의해 계산되는 축소변량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위치공식은 GEV 분포의 형상 매개변수가 -0.25~0.10의 범위를 가질 때 이론적 축소변량과 가장 작은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Gumbel 분포에 대한 도시위치공식의 비교 (Comparis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s for Gumbel Distribution)

  • 김수영;허준행;신홍준;고연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365-374
    • /
    • 2009
  • 확률도시위치는 주로 도시적 해석을 통한 연최대홍수량 또는 연최대강우량의 초과확률의 추정치 산정에 사용되며 빈도해석을 통해 선정된 적정 확률분포형과 표본자료의 적합도를 도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수문 및 수자원 분야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추정하고자 Gumbel 분포의 순서통계량과 확률가중모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본크기에 대한 도시위치공식의 기본식을 유도하였고,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Gumbel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검토하고자 Gumbel 분포의 이론적인 축소변량과 본 연구에서 추정한 도시위치공식과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의해 계산된 축소변량 간의 평균제곱근오차와 편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ringorten이 제안한 도시위치공식을 적용한 경우의 축소변량간 평균제곱근오차와 순서별 편의가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소도시 특성과 건축물 시가화집중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경북 지자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hrinkage City Characteristics and the Index of Building Concentration in Urban Area - Related to the Gyeongbuk Local Government -)

  • 정태화;김현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35-51
    • /
    • 2022
  • 본 연구는 해당 지자체의 전체 건축물중 시가화구역 내에 건축물이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이를 '건축물 시가화집중도'라는 용어로 처음 사용하였다. 경북의 각 시군에 대하여 건축물 시가화집중도를 조사한 결과 건축물 시가화집중도가 낮을수록 노인인구 비율이 높으며 지자체의 주민 1인당 일반회계 지출액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건축물 시가화집중도가 도시쇠퇴 정도와 도시재정의 효율성을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축소도시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해양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부산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을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3-285
    • /
    • 2022
  • 도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도시어항은 도시화에 비해 쇠퇴되고 있다. 도시어항 어민들의 어업활동은 축소되고 있으며, 어항의 새로운 변화와 활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어촌계의 고령화, 어항구역 및 인접 대지의 토지활용 등 실질적인 한계점은 어항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암남항 해녀와 낚시 콘텐츠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22년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 시행에 앞서, 암남항의 해양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을 수립함으로서 암남항의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주성분분석에 기반한 상권 활성화 요인 진단 연구 (Diagnostic Study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Factor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정민주;김현우
    • 도시과학
    • /
    • 제12권1호
    • /
    • pp.49-58
    • /
    • 2023
  • 2020년 국내 첫 COVID-19 확진자 발생 이후 감염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감이 조성되고 외출을 기피함에 따라 골목상권에도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같은 골목상권이라도 골목상권의 특성에 따라 경제적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생활권을 중심으로 COVID-19 이후 골목상권 매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매출 영향요인이라 도출된 6개의 특성을 가진 총 42개의 변수를 구성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통해 기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던 변수의 차원을 축소하였다. 최종적으로 매출 영향요인은 12개의 변수로 축소되었으며 7개의 특성으로 재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혼재되어 사용되던 상권 매출 영향 요인들을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추후 매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