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 김민석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 변태근 ((주)유진도시건축연구소) ;
  •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9.11.20
  • Accepted : 2019.12.1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Due to the global low growth trend, urban shrinkage is a major issue of urban policy in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6), 23 out of 77 cities in Korea were diagnosed as continuous or temporary shrinking cities. However, the criterion for diagnosing shrinking cities remain on the simple demographic side, and the spatial shrinkage pattern of the city is not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diagnosed urban shrinkage phenomen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eong-ju, a poly-centric city, by using the population gradient curve, which is one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Yeong-ju turned out to be a shrinking city with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slope of population density increasing. In the case of area of Dong, a sprawl phenomenon in which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BD and the slope of the population density were decreased was shown. And in the case of Punggi-eup, a simple shrinkage phenomenon in which only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BD was decreased was shown. The results show that even within a city, the pattern of spatial change can be different for each centers. In the case of a city with a poly-centric struc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individual diagnosis of not only the entire city but also the detailed area were drawn.

전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하여 주요 선진국에서는 도시축소문제가 도시정책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가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지역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감소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풍기읍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만 감소하는 단순축소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도시 내에서도 중심지마다 공간변화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다핵구조를 갖는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최봉문.권일, 1997, 서울 인구밀도분포의 공간적 변화 분석 및 예측 시뮬레이션, 국토계획, 제32권 6호, pp.49-65.
  2. 강세진, 2009, 인천광역시 내 중심기능의 유형 분류 및 공간적 분포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2호, pp.195-207.
  3. 구형수.김태환.이승욱.민범식, 2016,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4. 김재익.정현욱, 2006, 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 구광역시 사례연구, 주택연구, 제14권 1호, pp.195-213.
  5. 김형기.서경천.이성호, 2003, 도심의 인구밀도곡선 및 스카이라인 곡선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5호, pp.231-246.
  6. 남광우.이성호, 2001, 인구밀도 및 인구잠재력의 공간적 변동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1966-1995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36권 4호, pp.57-76.
  7.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제19권 3호, pp.317-354.
  8. 윤갑식.이갑정, 2013,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의 지역별.규모별 변화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6권 3호, pp.445-457.
  9. 이상준.유완, 1988, 가로망에 따른 인구밀도 및 지가분포의 변화,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제8권 2호, pp.281-284.
  10.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고용동향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11. 이희연.심재헌, 2003, GIS지리정보학, 법문사.
  12. 정창무.이춘근, 2004, 수도권 공간구조의 적정성 분석 - 인구분포를 중심으로, 규제연구, 제13권 1호, pp.101-129.
  13. 최형관.장문현.이민석.김화환, 2018, 정규 격자망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 측정 고도화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4권 1호, pp.143-158.
  14. 최호현.김선범, 2011, 울산시 공간구조의 변화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7권 3호, pp.261-268.
  15. 한상욱.오상진.박병호, 2008, 대도시 인구중심 및 밀도변화 패턴 분석 - 50-100만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3호, pp.67-82.
  16. 허윤경.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2호, pp.111-121.
  17. 황민아.김정은.윤기범.황희연, 2012, 도시 내 방향별 섹터의 지가분포 특성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청주시 도심으로부터 거리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7권 4호, pp.293-313.
  18.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
  19.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http://sgis.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