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적 형성물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With Case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in Busan City-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의 가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로-)

  • Choi, Kang-Rim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137-151
    • /
    • 2021
  •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s have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 preferred place for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for the making of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For that,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 in Busan, about site overview, street spatial composition, building use, streetscape and street furniture.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Stree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pedestrian space and environment. (2) The existing main use and the newly introduced use need to be coexisted. (3) The identity of the street must be maintained through adaptive reuse, etc. (4) The voluntary form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planned making of the public need to be cooperated.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City by enhanced Green-Blue Network (그린-블루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

  • Shim, Jungmin;Park, Woonji;Choi, Yonghu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8-468
    • /
    • 2021
  • 도시의 개발은 불투수면의 증가, 토지이용의 변화, 용수 수요 증가를 초래하였고, 최근에는 기후변화 양극화 현상으로 도심내 물순환체계를 더욱 왜곡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1962년부터 서울의 도심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7.8%였던 불투수율이 2010년에는 50%까지 증가하였다. 토지의 피복상태가 숲과 흙일 때는 강우의 10%는 하천으로, 토양 흡수는 50%, 증발이 40%가량 된다. 보통 토양에 흡수된 물은 토양층에서 머물렀다가 중간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지하수로 전환된다. 그러나 개발로 인하여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된 경우 55%가 하천으로 유입되고 토양으로 흡수되는 양은 15% 정도로 강우가 급격하게 유출되어 빠져나가 버린다. 도시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단순히 치수와 이수의 문제뿐만 아니라 도심의 하천 및 녹지공간에 조성되어 있는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량인 생태용수 확보마저 위협하고 있다. 도심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확보는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자정 능력을 향상하며, 수생생물의 서식환경을 보존에 기여하므로 도심의 자연성 회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도시 생태환경은 녹지의 단절과 파편화로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렇게 단절되고 파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축을 확보하면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 및 띠녹지 등 녹지공간(그린 네트워크, Green Network)을 활용하여 수원 함양이나 수질정화 기능(블루 네트워크, Blue Network)을 부여하면 녹지와 수자원을 연결한 그린-블루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생태용수확보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도심 하천의 자연성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로수와 띠녹지를 활용하여 빗물저장 기능과 침투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에 녹지 및 공원 관리 차원에서 가로수 도시계획이 수립되고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온 현행 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PDF

Planning the New City Based on the Geomancy: A Case of the Design of the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경관풍수에 입각한 신도시의 개념적 설계 : 행정중심복합 예정도시를 사례로)

  • Seo, Tae-Yeol;Ock, Ha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5 s.110
    • /
    • pp.491-513
    • /
    • 2005
  • The Republic of Korea is planning to build the no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new city that relies on the Korean geomancy, oriental viewpoint on man and nature relationship, particularly in Korea. According to the Geomancy which could conceptualize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in the site, the overal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could be symbolized by two flying crane with three Taegueks. In transforming the overall landscape image to urban form, two diamonds which means eternity and strength arises from the western spatial viewpoint, as means to protect and harmonize the human, land and mountain relationship in this sit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site as generative and sacred place in Korean people's mind. On the one hand, through juxtaposing of the two diamonds a geometric structure shows up, on the other hand the main axis of the city could be established from two crane and three Taegueks. On the North-South axis from the core of the symbolic green axis, symbolic things will be located,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s will be Placed on the East-West axis. Peripherals of the central axis also play a role in developing overall land use from image. The buildings and residents could be arranged and located according to undulations and this is based on the oriental theory of geomancy. We can build cultural amenities on the head part of the crane and on the core area.

Design of North Seoul Dream Forest Based on Traditional Village Design Methods (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 Choi, Shin-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6
    • /
    • pp.66-72
    • /
    • 2010
  • Seoul City planned "Dreamland" to be in harmony with the huge woods and park. It is located in the life zone in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as part of an extensive park development plan that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promoted. The space configuration technique of the aesthetics of "Empty" rather than "Full" gives the potentiality to cope with the uncertain changes in the city. Furthermore, the traditional element of the mountain landscape of Seoul was introduced and appropriated as the axis of the landscape for landscape configuration. In that configuration, the images of tree, sky, wind, water and soil are elegantly unfolded like a landscape painting. The purpose was to create a dominant landmark in the city landscape with the figures of Korean mountains and hills which were differentiated from architectural landmarks in the western cities by making nature, which was excluded from the urbanization plans up to now, an important subject for consideration. As a result, this study madethe space in a park including existing yards and streets in a city have the traditional hierarchy by applying the facility arrangement technique and elements extracted from Korean space types and traditional landscape concepts. Moreover, the North Seoul Dream Forest was designed by pursuing diversity and potentiality in the experience of space using a large open field in a city.

Transitions of Urban Parks in Busan noticed by the Chosun Planning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 Kim, Yeong-Ha;Yoon, Guk-Bin;Kang, Young-J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1-15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 of 32 urban parks design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Busan. Particularly, researching included analyizing books, notification, data, and documents relevant to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published by Busan city. As a result, Daejeong Park, Gokwan Park, and Yongdusan Park had been utilized by Japanese resident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planning of urban parks, and 32 parks legally specified in 1944 were planned by considering the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After emancipation, there were an unauthorized building,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district, public office, and school facility in the sites of the park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and reorganization of urban planning. The majority of parkways and small parks downtown were eliminated. However, unexecuted parks that the government had designed on the edge of tow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come major parks downtown through the city's growth. Yeonji Park, Yangjeong Park, and Danggok Park have been being building as a business of parks for a comfortable city, forming downtown along with the Green-Busan Policy. Thus, 32 parks design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made or got out of use reflecting on the phases of the times of modern Korean society. It turns out that these parks need an investigation about condition for land possession and purchase of the site of the parks in order for social common capital.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Hill-slope area using GSSHA model (분포형 수문모형(GSSHA)을 이용한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모의)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Sang-Hyeo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14-1618
    • /
    • 2007
  •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의 증발 및 침투, 유출은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미터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분포 등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에 대한 정밀측정 자료가 있는 설마천 유역 범륜사 사면에 대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의 토양수분 해석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양수분 모의에 사용된 격자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GSSHA(USACE, 2006) 모형이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정밀토양도와 현장측정에 의한 토양매개변수를 반영하여 구축하였고, 강우 및 기상자료는 2003년 1월 1일 ${\sim}$ 2004년 12월 31일의 1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기간 중 2003년은 초기 토양수분값 등 초기조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웜업 (Warm-up)기간으로 설정하였고, 2004년의 모의결과를 토양수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 PDF

Intercomparison of Atmospheric Formaldehyde Measurement Results during the 2002 FORMAT Summer Campaign at Milan, Italy (2002년 여름 이태리 밀란 지역 FORMAT 캠페인 기간 대기 중 포름알데하이드 측정결과 비교)

  • ;;;;;Claudia Hak;Sebastian Trick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87-88
    • /
    • 2003
  • 포름알데하이드는 오염된 혹은 깨끗한 대기 환경에서 편재하는 오염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대기 환경에서 수 ppt의 농도로 존재하지만 오염도가 높은 도시지역에서 여름철 심한 스모그 현상이 일어나면 수십 ppb의 농도를 보이기도 한다. 포름알데하이드는 1차 혹은 2차 대기오염물질이고, 탄화수소의 광화학 반응의 중간 생성물로써 포름알데하이드는 도시지역에서의 광화학 반응의 오염물질의 형성에 기여한다. 따라서 포름알데하이드의 측정은 CO의 지구적 수지(budget)와 다양한 대기 반응 물질 사이의 수지와 회전(cycling)을 이해하고 대류권의 광화학모델을 증명하는데 중요하다. (중략)

  • PDF

Deduction of Water-Energy-Food Nexus technology for preemptive response of resource security (자원안보 선제대응을 위한 물-에너지-식량 연계 기술 과제 도출)

  • Lee, Eul Rae;Choi, Byung Man;Park, Sang Young;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9-10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인구증가, 도시화에 따른 물, 에너지, 식량 등 필수 자원의 수요량 증가로 인한 수급 불균형으로 글로벌 자원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경제성장로 인한 중산층 증가와 도시 인구 팽창에 따른 물, 에너지, 식량 등 필수 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유한한 자원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자원의 대외 의존성이 높아 국제 자원 시장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에너지-식량의 연계를 통한 자립적 자원확보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수자원 자체만의 기존 기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물-에너지, 물-식량 연계신기술 개발과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으로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물관리와 연계한 에너지의 효율화 및 수자원이 갖는 에너지의 회수와 적극적 활용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국내의 경우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이수, 치수, 물순환 건전화 등 주요 물관리 이슈에 대하여 에너지, 식량 분야를 연계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지속가능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원안보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물-에너지-식량의 연계 기술이 필요하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즉 (1) WEF 데이터공유 및 범정부적 의사결정을 위한 다부처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Bigdata기반 부처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공유 (2) 기후변화 적응 자원연계 솔루션 개발 및 넥서스 영향평가 툴 개발을 위한 자원 효율성 증대를 위한 연계 기술 고도화 (3) 국내(미래넥서스시티 versus 지자체자립형넥서스마을), 해외 on-demand형의 미래자원관리 패키지기술 실증을 위한 국내외 Testbed구축 및 운영 (4) 기술의 실현을 위한 제도, 정책의 개선 및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WEF 넥서스 거버넌스 수립 및 개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에너지-식량 분야 상호 연계를 통한 분야별 "생산-가공-유통처리" 효율 30% 개선, 20C SOC 시설산업기반에서 21C 사회 인프라 국민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을 통한 국가 신산업기반 구축, 4차 산업혁명의 Data Technology 분야에서 세계 최초의 공공기반 WEF 연계 패키지 기술 개발 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Theater of the World' and the 'Roman Forum' in Analogical Aspect (유추적 관점에서 본 '포로 로마노'와 알도로시의 '세계극장'에 대한 고찰)

  • Park, Sang-Seo;Lee, Dae-Jun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17 no.2
    • /
    • pp.67-81
    • /
    • 2008
  • Aldo Rossi explained Roman Forum as a significant urban artifact, because Roman Forum analogically showed not only an image of Roman Empire but also a figure of primitive design for its region. Thu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characteristics of Aldo Rossi's architectural works which are based on the theory of 'Analogical city' and the forums, the urban artifacts, was proceeded in this study. Consequently, it was discovered that Aldo Rossi had used his analogical thinking from the forum for his architectural languages such as gable roofs, square windows with depth, columns and so on. His analogical use of organizing spaces, such as courtyard type and pillar corridor type, has also shown that their types came from forum spaces. His analogical aspects of the forum: a space where urban images are analogically formed; were expressed in the 'Theater of Science' with the urban architecture form as the actor and the Theatre as the stage for analogical urban performances. Nevertheless, the expression of primitive design which divides the Roman Forum from other forums was actualized in 'the Theater of the World'. He not only analogically used types from Roman Forum in architectural design but also used boat in Water space, which decided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Venice even before the civilization, to express the primitive design of Venice. Consequently, Aldo Rossi, by aiming the severance from the tradition, provided the possibility of explaining the newest modem type within the historical meaning by forming type which finds its continuance in history through 'the Theater of the World' and through analogical thinking along with the level of modern culture, to our urban architectural atmosphere that has lost its historical meanings.

  • PDF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and Utilization of Archiving Data in Daejeon (대전지역 아카이빙 자료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

  • Choi, Jang-Nak;Lee, S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1-7
    • /
    • 2013
  • The reality which cannot protect existing tangible intangible modern cultural heritage in Daejeon is makes historical value and identity of a city weakened and then, this leads to absence of the founda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history. References as recording inheritance indicates characteristics or identity of the area and they represent the physical mental symbol of the area; images of diverse structures or sceneries with historical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content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which can be utilized as historical sources to verify realness of disappearing modern cultural heritage. Therefor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study on regional archiving can be deemed to be the first stage to bring community spirit, affection and pride to local residents.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not only to maintain realnes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ut also to expect formation of settling and fellowship as well as cultural economical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