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적 형성물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erceptions and Practice on the Buildings of Defensive Barriers : A Study of Belief Systems in Ancient Cities of Myanmar (방어 장벽 구조물의 실제적 인식: 미얀마 고대 도시의 신앙체계 연구)

  • Hmun, Nanda
    • SUVANNABHUMI
    • /
    • v.2 no.2
    • /
    • pp.69-82
    • /
    • 2010
  • 이 글은 미얀마의 고대 도시에서 축조된 방어장벽의 건축물에 나타나는 신앙문화에 관한 연구이며, 여러 고대 도시, 특히 쀼족(Pyu)의 도시였던 베잇따노(Beikthano), 하링(Halin), 떠예킷떠야(Thayehkittaya, Srikshetra) 등지에서 발굴된 유물, 유적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미얀마의 고대 도시에 형성된 전통적 신앙세계를 해명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미얀마에서는 성문, 성벽, 요새, 또는 파고다를 건축할 때에 신앙적 요소가 반드시 개입되었다. 건축물의 축조 토지의 선택에 있어서나 건축물 용도에 따른 재앙의 예방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신앙체계가 적용되었다. 특히, 방어 장벽(예를 들어, 성벽, 성문 등)에서 나타나는 불교경전이나 쇠못이 박힌 철판 및 각종 힌두신과 낫(정령)의 조상(彫像)은 그러한 신앙적 차원에서 도입되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얀마의 고대 도시에 있어서 방어 장벽의 구조물에서도 전통신앙과 힌두교 및 불교가 혼합된 신앙체계가 엿보이며, 나아가 쀼 왕국에 형성된 여러 고대 도시에서 서로 유사한 물질문화와 신앙체계가 널리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Composition and Role of Urban Water System in Connection with Historic City Structure - Focusing on Gyeongju, Gaegyeong, Hanyang, and Suwon Hwaseong -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 Kang, In-Ae;Lee, K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4
    • /
    • pp.99-110
    • /
    • 2021
  •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historical cities of Korea, focusing on Gyeongju, Gyeongju, Goryeo, Hanyang, and Suwon Hwaseong, which were created as new tow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examines the meaning of waterways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keletal structure, focusing on the location of cities, roads, 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nalyzes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water system. We tri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with the structur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city,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tructure, urban development process, and urban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realistic demands in terms of water level and water retention are an important background.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demands related to water space, various planning and technical elements for managing water space wer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ite. First,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urban water system in Gyeongju, Goryeo, Goryeo, Hanyang, and Hwaseong, Suwon, which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destinations, the water system in consideration of drainage and disaster is common, but the water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usability are common. shows the difference. Second,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symbolic element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ity location, and a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ity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and determining the left direction of the city. Third, the natural water system prior to the formation of a city works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urban water system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harmony with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Fourth, the urban water system built on the basis of natural water systems is constructed by linking natural waterways and planned artificial waterways. Fifth, the urban water system is being built in a plann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utility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tructure, such as securing of urban l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reas, composition of functional areas, and land division, in addition to the perspective of drainage system and flood control in consideration of disaster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Design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Kim, Seung-Jun;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63-364
    • /
    • 2022
  • 주민의 안전한 생활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 범죄는 불안감이 가중되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어 범죄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 중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커뮤니티 형성, 범죄예방 정책 수행 및 각종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가인드라인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Urban Stream Improving the Thermal Environment on Urban (도심하천이 도시 열 환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Jin-Ki;Park, Jong-Hwa;Na, Sang-Il;Beak, Sh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0-760
    • /
    • 2012
  • 도심 지역은 인구집중, 토지 피복의 변화 및 교통량 증가 등의 인공열 배출원의 다양화 등의 요인에 의해 주변지역보다도 기온이 높은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에 의해 독특한 도시기후의 특색을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 열 환경에 대한 연구는 도시 열섬의 강도나 현상을 파악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최근 들어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내에 존재하는 수면이나 녹지를 이용한 기후개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천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면서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계의 보고로 인간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어 온 공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하천은 지역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따라 가지고 있는 기능이 다양하다. 그 중 하천의 환경 기능은 많은 열용량을 축적시켜 수면의 온도상승을 적게 하여 하천의 온도는 물론 주변지역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흐르는 물은 대류와 혼합과정을 거치며 열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축열체가 된다. 또한 하천의 물 등은 광의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표면에서는 반사되지 않고 수체 내에 열을 저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도심하천은 도심지에서 높게 형성된 온도를 낮추는 냉각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도심하천이 도시 열완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9년 9월 6일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추출하고, SEBAL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 thms for Land)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면 열수지 성분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도심하천 주변의 온도가 도심지에 비해 $2{\sim}3^{\circ}C$ 정도 낮게 형성되었으며, 잠열은 주변 도심지에 비해 하천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하천 둔치나 하천 주변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나대지 등의 토지피복은 지표면 온도가 높게 형성되어 도심의 heat spot으로 작용하여 열 환경을 악화시키나 도심하천은 cool spot 작용을 하여 도심의 열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w Reduction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Using SWMM-LID Model (SWMM-LID모델을 이용하여 도시 물순환 개선을 위한 유량 저감 효과 분석)

  • Lee, Tae Woo;Woo, Won Hee;Choi, Gy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7-217
    • /
    • 2017
  • 물 순환이란 물이 지표면으로부터 증발하거나 바다로부터 증발하여 습한 공기가 기단을 형성한 후 적합한 조건이 형성되면 강수를 초래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강수는 여러 경로 즉, 증발산, 지표흐름, 침투, 침루 등을 통해 다시 순환과정을 거친다. 최근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기후변화, 홍수지체시간 감소, 첨두 및 유출총량의 증가, 침투능 및 증발산량의 감소 등 자연하천의 유출특성과는 다른 유출특성이 나타나며, 물 순환 체계가 왜곡되어 지하수위는 낮아지고, 하천의 유량은 감소되는 등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 및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법과 조례를 제정하여 저영향개발기법 (LID, Low Impact Development)을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신도시 개발사업 시 왜곡된 도시의 물 순환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저영향개발 기법의 정량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미환경청 (U.S. 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개발한 SWMM모델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해 왜곡된 물순환체계 개선을 위하여 다양하게 설계된 저영향개발기법의 정량적인 효율을 SWMM 모델을 통해 산정하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물순환 회복에 적합한 저영향개발기법의 배치 최적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htahment Using WEP ( : Foucus in Multifuntional Administrative City of Before Developed) (WEP 모형을 이용한 도시 물순환 해석 (개발 전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대상으로))

  • Lee, Yong-Jun;Jang, Cheol-Hee;Noh, Seon-Gji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64-1269
    • /
    • 2008
  • 최근에 이르러 농촌 인구의 도시유입으로 도시의 주거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이는 대도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등 부수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신도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도시 개발은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적, 수문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도시물순환계는 강우가 지표에 도달 한 후 바로 하천으로 유출되는 것과 침투하여 서서히 유출하는 자연경로 그리고 상수도 및 하수도를 통해 하천으로 배수되는 인공적 경로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신도시 개발 전후의 수문순환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발예정지에 대한 장단기의 수문 관측을 통하여 개발 전과 개발 후의 유출특성과 수질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 복합도시 물순환 해석을 하기 위해 대상유역을 100m 크기의 정방형 격자로 구분하고 기상조건, 지표면 조건, 하천, 토양, 지하 대수층, 농업용수 등의 광범위한 입력 자료를 구축한 후 이를 물리적인 기반의 공간분포모형인 WEP 모형에 적용하여 개발 전 홍수 및 유출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수문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1996년에서 2007년 까지 모의 하여 실측자료가 있는 $2006{\sim}2007$년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일부 갈수기 자료를 제외 하고, 전반적인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일부 홍수위에서 금강으로 부터의 배수위 영향으로 인한 차이가 발생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도시유역에서의 수자원 분배와 물자원 관리 등의 적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 PDF

The Policy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Design Study for Street Scened of City (도시의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옥외광고물 디자인 정책 방향 연구)

  • 이중엽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2
    • /
    • pp.71-81
    • /
    • 1998
  • Outdoor advertising signs of sity is recorgnized as the most basic element forming street scenes of city as well as establishing the citys identity in firsthand and secondhand. It has just started by commercial measure but recntly, in the rapid economical growth and diversified social structure a grent number of business have been generated so that is brings an absoluce increage of kind and quantity in outdoor advertising signs. Such quantitative increase has caused now envirenmental city problems so a more effective control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nd sophisticatided and logical design is needed. Thus, I would like to set up the direction with street scenes of city can be form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understanding the concept, special features, and strong, weark points of street scenes of city and outdoor advertising signs. Secondly, in present sitiation analysis, studing and comparing the chracteristic of our present outdoor advertising regulations with those of Japanese regulations. Thirdly performing the reserch upon now advertising signs can be influentia in city scenes and thereafter, issuing possible problem censequan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rol policy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s following (1). Leading differentiation of each reggion for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and scenic problem. (2). Non-realistic advertising regulation are needed to be amended for uping changing outdoor advertising signs. (3). Advertising problems should be settleed through effectiveness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dministration. (4). The problem of advertising agenics should be leaded short term and long term plan. (5). Collection of scenic pollution should be operated for building up a scenic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refore, with these suggestion of clear direction of polish, the improvement of city scenes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followed by activated local autonomy system can be induced so that a more beautiful city scenes can be achiveved.

  • PDF

A Study on Building Maintenance Institutionalization by Comparing with the Foreign Countries' Cases (국내외 건축물의 유지관리 운영실태의 비교분석에 의한 건축물 유지관리 제도화 방안 연구)

  • Yoon, Hyo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6D
    • /
    • pp.857-865
    • /
    • 2011
  • Under the 'Sustainability Paradigm',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more efficient maintenance means more sustainable building. This paper aims at improving present building maintenance system by comparing with the foreign developed countries' systems. The comparing countri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building maintenance. As the results, 4 countries including USA, England, Germany, and Japan become the benchmark. The results show that building maintenance regulations are various by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ough building maintenance policy must be established, first of all, the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y targets are prepared before the enforcement of maintenance regulation. The results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1. Building maintenance must be controled under the condition that a building can guarantee the safety of people and function of it. 2. Building maintenance system should contribute to the desirable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culture.

A Study on Building of City Image through the Design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 Focus on the Design Case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 (대중교통 디자인시스템을 통한 도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 디자인의 아이덴티피케이션 개념적용과 시스템화 방안 -)

  • Yang, Seung-Ju;Kim, Byung-J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89-98
    • /
    • 2006
  • As the concept of city changes city is viewed in the perspective of business to make profits, not in the perspective of physical space. In the case of Korea urbanization processed over the level of 80% and the formation of identity is suggested for the way to improve city competitiveness as of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Seoulentered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perspective of functions and facilities, but its image is evaluated poor because of the lack of cultural competitiveness, tourismattractiveness and service system. Dependency of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public facilities representing city indirectly is very high, but in information service and visual systems of pubic transportation operations and management are not enough and differentiated image and loyalty are hard to find. In 2004 government of city of Seoul suggested modifications, but compared to London, Paris and Tokyo consistent system, the lack of control and management of use environment of design, excessive visual information and destruction of connection are pointed out.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ntroduction of design system is needed to develop identity after applying characteristics and regulations for using to disordered visual stuff. These procedurescan be explained as City Identity Program (CIP) and this study tries to embody city image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As the study method for this the status of public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of London, Paris and Tokyo were searched and compared to that of Seoul. Based on this systematization of symbol marks per public transportation being used right now,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to form identity, relation of design and the strategy of systematization per method and media we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