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A Composition and Role of Urban Water System in Connection with Historic City Structure - Focusing on Gyeongju, Gaegyeong, Hanyang, and Suwon Hwaseong -

  • 강인애 (원광대학교 도시문화연구소) ;
  • 이경찬 (원광대학교 도시공학부)
  • Kang, In-Ae (Institute of Urban Culture, Wonkwang University) ;
  • Lee, Kyung-Chan (Dept. of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21.08.16
  • 심사 : 2021.11.03
  • 발행 : 2021.12.31

초록

본 연구는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조선후기 신도시로 조성된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도시에서 나타난 도시수체계의 구성방법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해보고자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시입지, 도로, 도시시설 배치 등을 중심으로 도시골격구조와 연계하여 물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수체계의 구성형태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도시 내 수공간 경영에 투입되었던 기술적, 계획적 요소와 함께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에서는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부분적인 하천 정비와 인공수계를 도입하여 도시수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특히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의 입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시구조와 도시발달과정, 도시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져 물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치수, 이수 등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현실적 수요가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물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물 공간을 경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적, 기술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형성·발달과정에서 도시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요소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연구대상지로 선정된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수원 화성의 도시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는 배수,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수체계의 구축방법이나 활용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입지의 상징적 요소로서, 그리고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진 도시 입지를 결정하고 도시의 좌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로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의 자연수계는 지형여건과 어우러져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구축되는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를 결정하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로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도시수체계는 자연물길과 계획적 인공수로가 결합되어 도시구조의 일부로서 위계별 수계의 활용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로 도시수체계는 배수체계와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 이외에 도시용지의 확보, 도시시설 배치와 영역 확보, 기능지역 구성, 토지구획과 연계하여 계획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historical cities of Korea, focusing on Gyeongju, Gyeongju, Goryeo, Hanyang, and Suwon Hwaseong, which were created as new tow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examines the meaning of waterways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keletal structure, focusing on the location of cities, roads, 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nalyzes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water system. We tri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with the structur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city,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tructure, urban development process, and urban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realistic demands in terms of water level and water retention are an important background.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demands related to water space, various planning and technical elements for managing water space wer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ite. First,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urban water system in Gyeongju, Goryeo, Goryeo, Hanyang, and Hwaseong, Suwon, which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destinations, the water system in consideration of drainage and disaster is common, but the water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usability are common. shows the difference. Second,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symbolic element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ity location, and a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ity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and determining the left direction of the city. Third, the natural water system prior to the formation of a city works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urban water system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harmony with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Fourth, the urban water system built on the basis of natural water systems is constructed by linking natural waterways and planned artificial waterways. Fifth, the urban water system is being built in a plann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utility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tructure, such as securing of urban l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reas, composition of functional areas, and land division, in addition to the perspective of drainage system and flood control in consideration of disast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R1C1C1008141).

참고문헌

  1. 강우석(2011). 한양과 수원화성의 도읍풍수비교연구. 동방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예명해, 이재환, 김수연(2006). 朝鮮時代 星州邑治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지. 22(3): 165-172.
  3. 최원석(2007).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 대한지리학회지. 42(4): 540-559.
  4. 이상배(2000). 조선시대 남한강 수운에 관한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5(-): 143-166.
  5. 최영준(1987). 남한강 수운 연구. 지리학. 35(-): 49-82.
  6. 김현준(2006).조선시대 청계천의 홍수와 하천정비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p.209-213.
  7. 이정호(2010) 여말선초 자연재해 발생과 고려.조선정부의 대책. 한국사학보. 40(-): 347-379.
  8. 홍성준(2005). 청계천이 종로 주변 도시조직 형성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노명우(2004). 청계천의 도시경관과 서울적 상황. 사회과학연구. 12(1): 206-239.
  10. 유환성(2021). 발천, 신라왕경의 옛물길」경주 동부사적지대 발천 복원.정비를 위한 학술대회 자료집.
  11. 황인호(2009). 신라왕경의 계획도시화 과정 연구. 신라사학보. 17(-): 169-217.
  12. 차순철(2011). 신라왕경과 북천 범람에 따른 상관관계 검토, 신라사학보. 23(-): 145-189.
  13. 최원석(2001).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일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4): 48-64.
  14. 정은정(2018). 고려 개경.경기 연구. 서울: 도서출판 혜안.
  15. 정영화, 이근직(2002). 신라 왕경의 형성과정에 대한 소고. 인류학연구. 12(-): 37-49.
  16. 길지혜, 손용훈, 황기원(2015). 조선시대 한양도성 연지의 입지 및 공간적 특성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 38-51.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38
  17. 강인애(2011).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137-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