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시설물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1초

토석류 발생가능성 및 시설안전성을 고려한 토석류 위험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Impact Map Development of Considering the Debris flow Hazard and Impact Level)

  • 남동호;이석호;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6-296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2차 피해인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의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선행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성이 높은 구간, 즉, 발생기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화 해놓은 것이며, 현재 피해예측지도 및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 및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를 극대화 시키는 인자인 토석유동심(H), 토석유속(V)을 이용하여 토석류피해예측지도를 작성하였으며,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건물 유형별 시설물의 중요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작성된 피해예측지도 및 시설물 중요도를 중첩하여 위험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 PDF

지능형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Network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y Management)

  • 김태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2-181
    • /
    • 2011
  • 최근 u-City, u-EcoCity, Smart City 구축 등을 통해 기존 도시를 혁신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도시시설물관리체계 또한 단순한 DB대장 관리를 넘어서 최신 IT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사전대처를 하려는 다양한 개발들이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시설물 관리체계의 혁신을 위해 도시공간객체의 표준화된 위치기반 ID체계인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를 제시하였으며, 네트워크 기반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시키기 위한 UOID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세종시 테스트베드를 통해 시스템을 시험검증하여 완결성 및 안정성을 확보중이며, 도시공간정보플랫폼의 서비스 모듈로 탑재되어 향후 u-City 등에서 다양한 u-Service에 활용가능하도록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u-City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연구 (A Study of Service Scenario for Urban Facilities Management in u-City)

  • 김태훈;남상관;최현상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9-230
    • /
    • 2010
  • 향후 u-City의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세한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의 구현이 필요하다. u-City에서는 각종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상황을 인식하며,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및 처리, 결과가 제공되어지는 능동형 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으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기존의 DB관리 중심의 UIS(도시정보시스템)와는 차별화된 차세대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되어질 서비스 시나리오 중 공동구관리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도시철도 시설물 장애감소 전략과 효과 분석- 서울도시철도공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Failure Reduction Strategies of the Railway Facilities)

  • 윤성찬;박종헌;김성춘;음성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08-616
    • /
    • 2010
  • 서울지하철 5,6,7,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연장 152km, 148개 역사에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에 대하여 점검과 유지보수를 하고 있다. 장애예방을 위한 철저한 점검에도 불구하고 지하역사의 환경적인 요인, 빈번한 사용으로 인한 기계적인 마모, 시설물 노후화, 시스템 에러, 이용 상의 부주의 등으로 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는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수행해 오던 시설물 점검방법과 유지보수의 틀을 깨고 정량적인 목표관리와 일하는 방식 변화 등을 통해 2010년 6월말까지 장애를 연간 53.4%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도시철도 시설물 점검 및 유지보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했던 장애감소 전략과 각각의 추진성과를 분석한다.

도시내 소규모 단지의 상.하수도 시설물관리를 위한 GIS 기술의 활용 (The Management of Water Supply and Sewerage Facilities using GIS Technique for Urban Local Area)

  • 김충평;김감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9
    • /
    • 1999
  • 도시 기반 시설중 하나인 상하수도는 도시 규모의 확대와 인구의 증가, 그리고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기존 관리 방법에 많은 한계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하수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과 수도관 파손 등에 의한 사고시 신속한 대응능력의 부족으로 행정적인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 GIS에 의한 시설물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설물관리 방법으로 GIS기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설물 유지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끝으로 상하수도 시설물관리에 GIS기법을 활용하므로써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시설물관리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시설물관리의 응용방안을 제시하여 실무자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므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 PDF

방재성능평가 및 방재기준 가이드라인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tandard guideline)

  • 임현택;이경용;안상억;임가균;천호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4-454
    • /
    • 2023
  • 지구 온난화와 무분별한 도시 개발은 농촌 및 자연 지역에 비해 도시에서의 수문 피해를 야기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6~8월에는 태풍과 강우가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도시 지역에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이전과 달리, 2000년대 이후에는 태풍과 강우로 인한 집중적인 호우가 도시 지역의 잠재적 내수침수 위험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이 중요하다는 것은 현실로 다가왔다. 국지적인 호우는 최근 우리나라에 자주 발생하고 있어, 도시지역의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은 급속히 발전한 도시 중 하나로 2010년, 2011년, 2012년, 2022년에 홍수로 인한 도시 침수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크게 발생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개별 시설물에 대한 방재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나, 방재성능평가 기법 미흡에 따른 평가 결과의 신뢰성 부족으로 방재성능평가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시설물뿐만 아니라 유역에 대한 방재성능평가 및 도시 통합적인 면적 개념의 방재성능평가 기법 개발이 필요하다. 도시 지역은 인구와 재산이 밀집되어 있어, 집중적인 호우에 의한 피해 노출 및 홍수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어 지자체별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활용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시·군에 적용되고 있는 도시 방재 시설물의 평가에 대한 현재의 운영 상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재성능평가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시대의 국가지리 정보체계 (8)-도시지하시설물 관리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역할

  • 최병남
    • 정보화사회
    • /
    • 통권111호
    • /
    • pp.57-60
    • /
    • 1997
  • "GIS가 만들어지면 행정 및 국가전략기획, 사회조사 계획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구지역의 도시계획을 입안할 경우 지하철, 전화선, 전기배선망,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을 한눈에 보면서 종합적인 일정을 마련할 수 있다. 대구시에서 구단위 동단위를 확대하면 불과 1cm 단위의 거리에 위치한 정보까지도 검색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이 진작 만들어졌다면 이번 대구 대형참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도 있었을 것이다." 이는 대구지하철공사장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한 후 어느 신문에 게재된 기사중의 일부이다. 이 사고를 바라다보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GIS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떻게 들으면 GIS가 구축되지 않아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다고 하는 말과 같이도 들린다. 이 기사는 사실 틀린 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사내용을 찜찜한 마음으로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GIS가 만들어지면'이라는 말 때문이다. 이런 찜찜한 마음이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어떤 문제가 있고, 지리정보시스템이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LBS 개념을 도입한 도로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oad Management System Introducing Concept of Location Based Service)

  • 이현직;구대성;유지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28
    • /
    • 2005
  • 지자체에서는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복잡한 도시시설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GIS 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도로시설물관리시스템 등의 응용시스템을 개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물관리시스템은 업무에 요구되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으나, GIS DB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도시시설물 GIS DB는 GIS 전문기술자에 의하여 실측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기본적인 도형 빛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구조화편집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구축이 되어짐으로 GIS의 경험이 부족한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실무 사용자가 직접 GIS DB를 유지관리를 수행할 경우 GIS DB의 최신성과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실무 사용자가 손쉽게 GIS DB를 유지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주시의 도로시설물을 대상으로 LBS개념을 도입한 DB 구축방안과 GIS DB의 유지관리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로시설물 DB를 구축하고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실무 사용자가 GIS DB를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응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도시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 강진아;남상관;권혁종;오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58-168
    • /
    • 2009
  • 국가와 도시가 급속히 발전할수록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반시설물들과 관리 체계는 날로 복잡해지고, 이를 체계적으로 건설하고 유지하는 비용과 노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반시설물 중 도시지상시설물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관리하기 위해 센서노드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1차 분석으로 관리 대상 및 방법을 도출하여 센싱 커버리지를 만든 후, 이를 도시지상시설물에 센서노드 설치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2차 분석을 통하여 중복설치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GIS 프로그램을 구현하였으며, 항공사진과의 중첩을 통해 관리의 방법에 현실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변 지형에 대해 센서노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복 설치된 센서노드를 약 50% 제거하였으며, 도로를 따라 센서노드가 골고루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문화, 예술 공원 조성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 어린이대공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Design Developing for the Better Park -Focused on Busan Children's Grand Park-)

  • 홍동식;우상철;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1
  • 도시경관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로서의 도시시설물, 건축물 등의 주변 환경과의 조화는 도시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결정 짖는다. 현대 서울을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도시는 난립된 간판과 도시시설물들이 주변 환경과 조화롭지 못하고 지역마다의 고유색이 사라지고 어느 도시나 비슷하게 획일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도시들은 고유의 도시 정체성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으며, 세계적 수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도시경관디자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 도시경관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국내 도시경관의 체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자료로 사용 가능케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