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대기오염

Search Result 38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도시 대기오염과 선박의 정박지 운영의 인과관계 분석

  • 윤소현;김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6-128
    • /
    • 2023
  • 선박 체선 및 화물 적체로 인한 문제로 정박지 내 선박 이용빈도가 높아져 인근 도시의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 O-2 정박지와 인근 도시의 대기오염물질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The Effect of Urban Air Pollution with operating the large Market in central area of City(1) (대형 유통사업이 도시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1))

  • 박종길;김경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6-237
    • /
    • 2000
  • 오늘날 자동차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류의 연소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며 지역환경조건 - 지역의 지리적 상황과 대기상태 및 대기질 - 과 결합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시의 인구 증가는 도시 기반 시설인 도로망의 확충을 요구하며,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유통업체의 도심으로의 진출은 도시 교통량의 증가 및 차량 정체를 초래하여 도심지역의 대기오염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Review of air pollution modeling in Korea (국내 대기오염모델링의 현황과 과제)

  • 장영기;송동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1
    • /
    • pp.1-14
    • /
    • 1995
  • 우리 사회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공업화와 대도시 인구 집중을 겪어왔다. 공업화는 필연적으로 대기오염배출시설의 증가를 가져왔고 도시의 인구집중은 연료의 사용과 자동차의 증가를 가져와 이들 지역의 대기오염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대기오염배출시설을 관리하고 주변 지역의 영향을 분석하며 도시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 후반부터 대기오염 모델들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활용은 외국에 비하여 늦게 시작되었지만 지난 15년간 대기오염모델은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고 연구도 점차 활발하여 지고 있다.

  • PDF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fields and Numerical Simulations to Research the Formation Process of Photochemical Pollutants (광화학 반응 대기오염의 생성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기상장 모델링의 수행과 기상장 분석)

  • 이화운;이종범;최현정;이순환;반수진;노순아;원혜영;이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45-346
    • /
    • 2003
  • 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다양한 배출원으로부터 다량 및 다종의 오염물질 배출과 그 지역의 도시화에 따른 기후특성과 관련된다. 대기오염물질의 분포 양상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난류 확산 및 수송, 화학 반응, 침적 현상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들을 지배하는 기상인자들에 대한 이해는 대기오염현상을 파악하는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Lalas et al., 1982 ; Liu et al., 1994). 도시규모의 기후 특징은 도시내에 형성된 고유의 기상장이 대기오염물질을 정체시킨다는 것이다(Noto, 1996). (중략)

  • PDF

A 3D Visualization Tool for Supporting Forecasting of Air Cleaning Effect based on Tree Density Map" (수목의 대기오염 개선효과 예측을 지원하는 3D 시각화 도구)

  • Jeon, Hae-Joon;Ji, Hyun-Tae;Park, Jae-Wan;Kim, S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09-1611
    • /
    • 2013
  • 녹색 도시 조성의 주요 요소인 수목(tree)을 대상으로 도시 대기오염 개선수준을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수목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직관적인 도시 대기오염 개선 정도를 판단하는 데 애로가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도구는 대기환경을 개선할 지역별 대기환경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3 차원 모델링과 Google Map 서비스를 매쉬업(mash-up)하여 가상으로 수목을 심고 이에 따른 도시 대기오염 개선효과를 시각화한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개발과 예산수립에 일조할 것이다.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ir Environment Index and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Land Use and Traffic Data In Seoul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 Lee, Won-Do;Won, Jong-Seo;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43-156
    • /
    • 2011
  •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are many efforts to manage it efficiently. As one of the ways to measure the environment in quantitative index,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Air Environmental Index(AEI), which is derived from the U.S. Air Quality Index(AQI), illustrat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study as follows: to find the charateristics of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land-use patterns and daily traffic data that represent AEI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 PDF

The Simulation of Atmospheric Flow Field by Various Gridded Dataset in Complex Topographical Environment (복잡 지형에서의 입력 자료에 따른 대기유동장 수치모의)

  • 이화운;이종범;최현정;정우식;임헌호;원혜영;이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3-304
    • /
    • 2003
  • 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다양한 배출원으로부터 다량 및 다종의 오염물질 배출과 그 지역의 도시화에 따른 기후 특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분포양상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난류 확산 및 수송, 화학 반응, 침적 현상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들을 지배하는 기상인자들에 대한 이해는 대기오염 현상을 파악하는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Lalas et al., 1982 ; Mckendry, 1993 ; Liu et al., 1987). 도시규모의 기후 특징은 도시 내 형성된 고유의 기상장이 대기오염물질을 정체시킨다는 것이다(Noto, 1996). (중략)

  • PDF

A Study on Bulk Deposition Flux of Sulfate and Nitrate in Pusan, Korea (부산지역에서의 Sulfate와 Nitrate의 침적량에 관한 연구)

  • 김유근;박종길;문덕환;황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3-114
    • /
    • 2001
  • 산업화ㆍ도시화에 따라 인구 증가, 교통량 증가 및 도시 구조물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의 대기오염과 열섬 현상 등이 날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들은 광화학 반응을 통하여 2차 오염물질이 생성되기도 하고, 기상인자에 의하여 확산 또는 수송되어 대기오염도가 감소하거나, 중력에 의하여 지표 부근에 침적되어 제거된다. 특히, 건성 및 습성 침적되는 강하먼지는 단위 지역의 대기오염을 파악하거나, 타 지역과의 비교에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중략)

  • PDF

On Dynamics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Averaged Temporally and Spatially Over a Metropolitan Area (시간 및 공간에 대해 평균화된 대도시 대기오염 특성해석에 관하여)

  • 김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3-134
    • /
    • 2003
  • 도시지역에서 관찰되는 대기오염현상은 거의 예외 없이 대단히 복잡한 양상을 띈다. 그 결과 모델링을 통하여 도시지역의 대기오염현상을 정확히 묘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주가변동, 기상변화 등의 다양한 시간(/공간) 스케일을 지니는 복잡한 현상도 충분히 긴 시간(/ 공간)에 대해 평균을 칠할 경우 일반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경향을 보인다.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지역에 대한 관측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대기오염현상 역시 예외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 PDF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the Willingness to Stay in Cities: Evidence from A Chinese Survey (대기 오염이 도시 거주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자료를 중심으로)

  • He Zhang;Tackseung Ju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4
    • /
    • pp.111-125
    • /
    • 2023
  •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and accelerated urbanization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labor force mobility. The choice of city residence and long-term residence intentions of migrants will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on both economic output and societal dynamic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air quality on the long-term residence intention of migrants. By matching an individual-level survey on willingness to stay in the long run and the city-level air quality, represented by PM2.5, we find that the willingness to stay in the long run increases with better air quality. This implies that public policy to maintain good air quality is crucial in keeping those who moved to the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