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녹지

Search Result 60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The role of urban green space in terms of popular values (주민의 입장에서 본 도시 공원녹지의 규제에 관한 연구)

  • 김수봉;앤비어;김용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3
    • /
    • pp.15-28
    • /
    • 1995
  • 공원녹지가 군시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해 학자들은 크게 '주민을 위한 위락공간으로서의 역할' '도시구조를 이루는 한 요소로서의 역할' 그리고 '도시 생태계의 기반으로서의 역할'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주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도시공원녹지의 역할을 그들의 이용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에 기초한 결과의 일부이다. 조사에 의하면, 주민들은 대개 공원녹지를 그들의 위락공간을 위한 장소로서 인식하고 그 역할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도시·조경계획분야에서 크게 논의되고 있는 생태학적 개념에 근거한 도시공원녹지의 '도시내 자연'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 전문가들의 열의에 배해 많이 높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는 위락공간으로서 역할 다음으로 중요도가 인식되고 있는 만큼 도시내 자연으로서의 공원녹지 역할을 높이기 위해서 학자들 사이에 구체적인 논의와 실증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의사와 합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도시공원녹지의 역할에 대해서는 도시주민의 사회적인 변수 특히 성, 교육수준, 임금수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공원녹지 계획시 이들 변수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Economic Valuation of an Urban Green Space Using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VM (이단계 이선 가상가치평가법을 사용한 도시녹지의 경제적 가치평가)

  • Hong, Sung-Kwon;Kim, Jae-Hyun;Jo, Hyun-K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6 s.107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녹지를 1평을 늘리는 것에 대한 시민들의 지불의사금액(WTP)을 이단계 이선 가상가치법으로 계산함으로써 도시녹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WT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종류와 영향력 정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불도구는 기금이었으며, 'fat-tail problem'없이 WTP를 계산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민들은 생활녹지 1평을 늘리는데 약 23,400원을 기부할 용의가 있었다. WTP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연환경태도(NEP), 구조적 제한요소, 소득 및 환경보전을 위해 편리함을 양보할 의사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녹지의 개발 또는 보존과 관련된 정부의 의사결정이나 도시녹지 관련 예산 확충을 요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 Han, Bong-Ho;Kwak, Jeong-In;Park, Seok-Cheol;Hur, J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128-141
    • /
    • 2014
  •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The Changing Role of Urban Green Space in Britain and America (영.미 도시 공원녹지의 역학변천에 관한 연구)

  • 김수봉;앤비어;김용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3
    • /
    • pp.137-149
    • /
    • 1994
  •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도시공원 녹지의 발생은 자연주의 사조와 산 업혁명과 같은 그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한국의 급변하 는 사회정세와 맞물려 변화하는 한국의 도시공원 녹지의 역할도 현 상태에 서 재검토 되어야 할 시점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리뷰(Review)는 영 국과 미국의 도시공원 녹지 발달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각 시대별 도 시공원 녹지의 역할에 크게 영향을 미친 사회 역사적 요인을 분석하여 추 후 한국의 도시공원 녹지 역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요인 분석을 예견케 하는 하나의 본보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 김기호;김수봉;조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77-179
    • /
    • 2003
  • 기존 자연녹지인 앞산, 금호강/낙동강, 와룡산과 대상지내 산재해 있는 공원녹지를 연결하여 환상형(環狀形)의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그린네트워크 조성에 따른 기존 자연녹지와 공원녹지 사이의 연계 방안으로 도시내 오픈스페이스인 학교용지를 선택하고 이를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원녹지의 위치상 1면이상이 도로와 접하고 있어 이를 연계하기 위한 가로공간의 녹화를 추진하여 녹지축을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내 자연녹지 중 도시하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본 결과, 대상지내 그린네트워크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하천변을 녹화하는 계획을 추진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 Shin, Ick-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1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hinese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and analyzed the specificities of them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bringing in or not the relevant Chinese Laws to Korea.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hinese urban green spaces(g.s.) classified by 5 kinds(park g.s., production g.s., protection g.s., attachment g.s., the others g.s.) placed the park and green spaces in the same category unlike the Korean urban green spaces that only distinguishes between park and green spaces. The Chinese Urban Park is classified by 4 kinds(composite park, community park, special park, linear park) at the 'Standard for urban green spaces classification' which is below in rank of the legal system. Second, in case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ratio of urban green spaces in China, the green rooftop landscaping area should not be included as a green spaces area except the rooftop of a basement or semi basement building to which residents have easy access. The green spaces requirements and compulsory secure ratio by 3 habitat kinds(habitat, small habit, minimum habitat) of when to act as a residential plan is regulated. Third, the green spaces system is obligated to establish at habitat green spaces plan and is specified to conserve and improve existing trees and green spaces. The green spaces ratio on reconstruction for old habitat is relaxed to be lower than for new habitat and a gradient of green spaces is peculiarly clarified. The details and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and the minimum area intending for each classes of the central green spaces(habitat park, children park,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are regulated. Especially at a garden style of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interval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houses and a compulsory security for green spaces area classifying into two groups(closing type green spaces and open type green spaces) by a middle-rise or high-rise building are clarified. System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area is presented at a special regulation. Fourth, a general index(area/person) of public green spaces within habitat to achieve by 3 habitat kinds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index on reconstruction for a deterioration zone can be relaxed to be lower to the extent of a specified quantity. A location and scale, minimum width and minimum area per place of public green spaces are regulated. A space plot principle including adjacent to a road, greening area ratio against total area, security of open space and the shadow line boundary of sunshine are also regulated to intend for public green spaces. Fifth, the minimum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underground cables and the surrounding greening trees are regulated as the considerable items for green spaces when setting up the underground cables. The principle to establish green spaces within public service facilities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service contents. It shall be examined in order to import or not the special regulations that only exist in Chinese Laws but not in Korean Law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ain the domestic landscape architect's' sympathy of the research related to Chinese urban green spaces laws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and will be a good chance to advance in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Laws.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 Focuses on Suwon-City -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 Kim, Yea Sung;Kim, Hyun;Ko,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5
    • /
    • pp.31-40
    • /
    • 2014
  •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s in the city is growing each day.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charge of park development works that are having difficulty in developing and managing urban parks due to high land value as well as a shortage in finances. This is even though an urban park is defined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and the law provides park area per person. Civil residents, meanwhile, are using not only urban parks provided by law but also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and school playgrounds because they recognize urban green areas by the concept of use. In this study, accordingly, urban green areas were sorted into two types, urban parks, parks provided by law, and other green areas, and the difference in use pattern and use satisfaction by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According to such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school green areas, and apartment green areas in addition to the current park green areas provided by law when park area per person is calculated, and such calculation of urban green areas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can reduc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urban park policies. It is judged that such results can become a plan against the cancellation of unexecuted urban facilities. The fact that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road satisfaction, access convenience, and convenient movement, are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urban park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urban park accessibilities rather than to quantitatively expand park area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urban parks. Considering that people travel to urban green areas mostly by walking, it is necessary for access convenience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uch as barrier-free and securing walking stability through analysis of routes to urban green areas.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rban Green Spac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한 도시녹지 취약성 평가)

  • Choi, Hyun-Ah;Lee, Woo-Kyun;Park, Su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23-325
    • /
    • 2010
  • 기후변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영향을 평가하여 적절한 적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도시내에서 녹지의 확충과 수목식재는 많은 환경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녹지 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이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GIS기반 공간정보를 형태, 규모면에서 통일한 후 공간 및 시공간모형기반의 평가과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