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기준점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to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공간적 다기준평가 기법을 이용한 도시의 삶의 질 분석)

  • 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4
    • /
    • pp.122-138
    • /
    • 2008
  • A pixel-based approach to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can be regarded as a spatial decision problem under the condition of complexity because it searches the urban space for evidence of hot spots of quality of life based on multiple and differentially weighted evaluation criteria. Such an assessment involves inappropriate scaling of several incommensurate criteria, much unstructured subjectivity in the decision maker's judgment, and the large data handling in a raster GIS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identifying alternative approaches to tackle the ill-structured problem in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roposes and implements a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to evaluate urban quality of life in a raster GIS environment. The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ology is illustrated with a case study of the Atlanta metropolitan area.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may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in an urban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mage Control Point Using Stereo Image Chip (입체 영상칩을 이용한 영상기준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Kim, Hoon-Jung;Kim, Kam-Lae;Cheong, Hae-Jin;Cho, Wo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4
    • /
    • pp.423-431
    • /
    • 2008
  • The control surveying which aims at identifying the coordinate system of satellite images with that of ground is a repeatedly performed essential process to produce digital ortho - photos and it acts as the main factor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hotos by duplicated budgets and redundant works when executing the projects for acquiring basic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high density satellite images. During the experimentation, an appl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producing a stereo image chip by the analysis of DPPDB file structure, the stereo image chip was produced with SPOT and IKONOS images, the analysis of 3D modeling accuracy was performed to secure the required accuracy and to present the optimal number and deployment of the control points, and a 3D modeling was performed for new SPOT images and lastly, 3D ground coordinates were extracted by the observation of the same points through the overlapping with the new images.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proved that the stereo image chip can be used as the ground controls through the accuracy analysis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images and the ground, close results were obtained between the coordinates by the ground survey and those by the 3D modeling using new images and the observation of the same points, positional changes were not found during observing the same points, and the research presented the methodology for improving the process of the control survey by showing the availability of the image controls on the stereo image chip instead of the ground controls.

Accuracy Evaluation of Various Digital Elevation Model including LiDAR DEM (LiDAR DEM 및 여러가지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분석)

  • Lee, Suk-Bae;Kim, Jin-Soo;Kim,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54-259
    • /
    • 2008
  • 지형의 표고값물 격자간격으로 표현하는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분석을 위한 GIS데이터 활용과 휴대전화 중계안테나의 영향권 분석, 정밀지오이드 계산을 위한 지형효과계산 등 여러 가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수치표고모델을 수집하고 또 진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LiDAR촬영을 통한 LiDAR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수치표고모델은 GTOPO30, SRTM-3, 지형도(1/50,000) 독취 DEM, 환경부 DEM, 항공사진에 의해 생성된 DEM, 그리고 LiDAR DEM의 6가지이며, 정확도 분석을 위해 GPS측량과 수준측량이 동시에 실시된 409점의 진주시 3차원 도시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한국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연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26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 정부가 선정한 다수의 도시재생사업 중 수변공간 관련 사업을 선별하여 세부내용을 살펴보고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한다. 도시재생사업에서 거버넌스는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협업을 통한 민간 커뮤니티의 역할과 주민참여는 더욱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Tallon(2013)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네 가지 형태-관주도(top-down), 주민주도(bottom-up), 시장주도(market-led), 지주주도(property-led) 재생을 기준으로 도시재생사업 활성화계획의 세부내용을 분석한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및 시행단계에서 거버넌스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수변공간을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총 20개의 도시재생사업이 도심 내 하천변과 해안가를 활용하여 추진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업의 형태로는 (1) 생태하천복원, (2)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수변관광지 개발, (3) 수변네트워크 녹지 산책로 조성 (4) 항구 기반 수변도시개발 및 도심재생, (5) 섬의 이점을 활용한 수변경관사업, (6) 조선업 침체지역재생 등이 있었다.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은 가장 일반적인 도시재생방식인 '관주도'로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역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은 우선시되고 있었다. 또한, 관계부처 및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 특히, 부산시 영도구와 경상남도 통영시의 도시재생사업에서 협업의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을만들기'와 같은 주민주도의 도시재생방식은 '주민참여협의체'를 통하여 일부 반영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시 도봉 노원구, 인천시 부평구,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시 영도구 등이 해당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한 주민주도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구축하는데는 부족함을 보였다. 더불어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시장주도의 도시재생 접근은 찾아볼 수 없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안정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An Analysis of Energy Loss with Variation of Square Manhole Profile (직사각형 맨홀의 구조 변화에 따른 에너지손실 분석)

  • Kim, Jung-Soo;Jang, Suk-Jin;Yoon, Young-Noh;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37-541
    • /
    • 2007
  • 관거시설의 맨홀에서 수두손실이 과대해지면 관거의 통수능력이 저하되어 배수구역의 침수피해가 발생되고, 우수의 분출 시 맨홀 뚜껑이 유실되어 인명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1990년대부터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역의 침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관거시설 내 맨홀에서의 수리적 에너지 손실에 대한 연구와 보다 구체적인 설계 기준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도시지역의 우수관거 시스템의 우수 배제 능력을 증가시켜 도심지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관거시설의 적정 설계 기준이 필요하며, 합리적인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직사각형 맨홀의 현장조사와 설계기준을 조사하여 수리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선정된 실험조건인 맨홀의 내부형상 변화와 하수도 시설기준상의 맨홀 내의 단차규정에 따른 수리실험을 실시하여 맨홀 내부의 흐름특성의 변화와 에너지 손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조건 변화에 따른 수두 손실계수를 산정하여 직사각형 맨홀 내부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City Size Distribution and Spatial Structure - with Korean Metroplitan Statistical Areas (MSA) (한국 도시의 규모분포와 도시공간구조 분석 - 광역도시통계권을 중심으로)

  • Kim, Dong-Soo;Huh, Mun-Gu;Lee, Doo-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4
    • /
    • pp.549-5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urban structure in Korea. Though there is research regarding urbanization, there is little regard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two issues will be discussed: the measurements of inter-city and intra-city structure in Korea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MSAs), which is newly defined. First, the city size rank rule, widely known as Zipf’s Law, will illustrate Korean the inter-city structure. The city size rank rule gives an idea whether Korean MSAs are balanced or not. In general, Korea has a heavy concentration in the Seoul MSA in terms of population. It could be either that the Seoul MSA is too big or that the Busan MSA is too small or both. If this is the primacy problem, a decentralization policy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a second city problem,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Busan MSA and Daegu MSA are more important. Next, the Korean intra-city structure will be discussed. The evolutions of the MSAs explain intra-city structure by analyzing population density function and the housing price function. Some large MSAs such as Seoul and Busan have experienced urban sprawl, while other MSAs have experienced urban concentration. Th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by the distance from the ARC GIS shows the growth rate of a city. According to the Spatial Mismatch Index between population and employment, the Ulsan MSA, Gwangju MSA, and Suwon-Hwaseong-Osan MSA are more mismatched, while the Daejeon MSA and Incheon MSA are less mismatched. Therefore, these analyses of Korean urban structure are meaningful in developing regional policy.

  • PDF

Estimation of Mass Rapid Transit Passenger's Train Choice Using a Mixture Distribution Analysis (통행시간 기반 혼합분포모형 분석을 통한 도시철도 승객의 급행 탑승 여부 추정 연구)

  • Jang, Jinwon;Yoon, Hosang;Park, D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5
    • /
    • pp.1-17
    • /
    • 2021
  • Identifying the exact train and the type of train boarded by passengers is practically cumbersome. Previous studies identified the trains boarded by each passenger by matching the Automated Fare Collection (AFC) data and the train schedule diagram.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shown to be inefficient as the exact train boarded by a considerable number of passengers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he AFC data - diagram matching technique could not estimate 28% of the train type selected by passengers using the Seoul Metro line no.9. To obtain more accurate results, this paper developed a two-step method for estimating the train type boarded by passengers by applying the AFC data - diagram matching method followed by a mixture distribu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derived reasonable express train use/non-use passenger classification points based on 298 origin-destination pairs that satisfied the verification criteria of this study.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case of Kumchon Gu - Office in Seoul (GIS 기법을 이용한 공공 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 장훈;허준;김민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1-387
    • /
    • 2004
  • 도시주민들은 경제, 문화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주민들의 이러한 요구는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도시의 입지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는 공공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주민들의 복지를 극대화 시켜야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위치결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성 이론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접목하여 입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도별 최적입지를 산출하고,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 입지점의 지도화를 통해 그들의 이동 추이를 추적하며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값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현구청의 입지 혹은 이전할 입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입지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로서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구청사의 입지 적정성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계량적인 입지분석 방법을 검토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를 실제 공공시설적용을 위하여 금천구를 선정하였고, 구청의 도시현황을 분석하고, 도로망, 인구추정을 통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하여 구청사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Twin Trends in Urban Area (도시 분야 디지털트윈 동향 비교·분석)

  • Jeong, Dawoon;Choi, Wongeun;Hong, Seokhyeon;Cho, Kwangje;Park, Jungho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3 no.1
    • /
    • pp.123-137
    • /
    • 2023
  •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digital twin, analyse digital twin cases and suggest implications. The definition of digital twin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purposes but the importance of visualization, monitoring, analysis, prediction and optimization characteristics are accepted. In terms of the concept, digital twin cases are re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implications from a data point of view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digital twin in South Korea are suggested.

The Study on the Procedure to Build Urban Sustainability Indicators -Based on a Case Study in America-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 연구 시설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경기;황희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307-31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구되는 ‘지표’의 개발방법과 절차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지역으로 미국의 잭슨빌, 시애틀, 오레건 지역을, 지표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Maclaren의 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성 지표는 단순한 평가수단이 아니라 그 개발과정을 통해 시민그룹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과 동시에 구성원의 협력과 노력에 입각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강력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를, \circled1 지표개발 주체 형성 \circled2 목표 및 비전의 정립 \circled3지표개발에 따른 기본방침의 설정 \circled4 지표개발을 위한 측정 및 분석 \circled5 예비지표의 발굴과 지표선택기준 마련 \circled6 예비지표 평가를 통한 최종지표의 선택 \circled7 지표에 대한 측정 및 분석 \circled8 지표분석 결과 보고 및 발표 \circled9 지표작업평가 및 새로운 목표 수립 등 9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는 우리 나라의 지역 및 도시단위에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를 설정하는데 준거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