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공간요소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Legibility Factors of Disparate Image Fomation in Urban Space - Focused on Busan Urban Space -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레지빌리티 요소 - 부산시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

  • Hong, Ji Su;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1
    • /
    • pp.227-237
    • /
    • 2019
  • In terms of the concept of space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the modern city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that all spaces are made up of different places based on ident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disparate image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spaces that form the city. And the physical and behavioral factors that respond to the disparate spatial images are derived through legibility measurement. As a result, the urban space in Busan has disparate images such as closure, openness, dynamic + closure, dynamic + openness, quiet space. The following are the legibility factors that make each image stronger. The elements of closure are high-density and high-rise buildings, residence, work, openness appeared as a factor of water space, walking and viewing. Dynamic & Closure is the element of industrial activity, dynamic & openness is open space, water space, swimming element, quiet space image is green space, walking, stay factor.

광안리 도시공간의 해양문화공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95-197
    • /
    • 2014
  • 부산 광안리 일대는 해수욕장과 광안대교 그리고 불꽃축제와 해양레저센터 등을 두루 갖춘 국제적인 관광명소이다. 특히 김해국제공항으로부터 부산에 진입하는 경우 공항에서 연결된 자동차 전용도로가 광안대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지에서 볼 때, 가장먼저 부산의 바다를 보게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광안리 도시공간은 바다와 내륙의 관광명소가 어우러진다는 부산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장소로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그러나 광안리 도시공간이 국제적인 명소로 확고하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공공디자인적 요소들이 있다. 그것은 도시공간의 결절점과 확장성, 광안리를 향한 보행자의 접근로, 해변공간의 구조, 건축물들의 파사드와 같은 것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광안리 도시공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광안리와 그 일대의 도시공간이 향후 세계적인 규모의 행사 수용은 물론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해지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Carbon Emission Model Development using Urban Planning Criteria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도시공간 계획요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모델 개발 - 서울시를 사례로)

  • Kim, In-Hyun;Oh, Kyu-Shik;Jung, Seung-Hy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6
    • /
    • pp.11-18
    • /
    • 2011
  • Urban space is the main contributor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 primary cause of global warming.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planning at a city-level is necessar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arbon emission model which can be used to create and manage urban space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methodologies were utilized. First, urban planning criteria related to population, landuse, and activity level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peculation.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was calculated based on electricity, gas energy, heating, petroleum, and water usages. Third, Seoul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city, and a carbon emiss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lational analysis between Seoul's urban planning criteria and carbon emissions. Thus far,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in urban spaces, but these have been limited to analyzing contributing factors in terms of their total amounts of carbon emissions in the entire city. However, the carbon emission model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urban planing criteria at a detailed scale. This sets our study apart from other studies by demonstrating a specific model in a local setting which can be utilized for lowering carbon emissions at a city level.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Yu, Seu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도시패턴과 탄소배출량의 관계 분석)

  • Kim, In-Hyun;Oh, Kyu-Shik;Jung, Seung-Hy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1
    • /
    • pp.61-72
    • /
    • 2011
  • Greenhouses gas emission due to usage of fossil fuel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global warming. Fundamentally, greenhouse gas is a by-product of economic activity. Since majority of economic activity happens in an urban setting, a countermeasure in an urban setting is needed. Therefore,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form will be investigated for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nd suggesting an urban form with low carbon dioxide emi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first theore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urban spatial patterns related to physical size, usage rate, and activity level. Secondly, Seoul's dam on electricity, natural gas, local heating, petroleum, and water usage and mapping a carbon dioxide emission map. Thirdly,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re analyzed and urban spatial patterns that affects energy usage in urban setting was elucidated, and elicited implications on future directions on urban planning based on our analyses above.

The Spatial Factor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도시열섬효과의 공간 요인 분석)

  • Jeong,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97-99
    • /
    • 2008
  •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특히 도시열성효과에 대한 문제는 도시기후변화의 측면에서 공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나타난다. 현장조사 자료와 위성자료에 의한 연구는 도시의 열 환경이 공간적으로 어떤 분포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열성효과가 도시 내부공간의 열 환경에 대해 공간적으로 나타나는 요인을 평가하고 이의 상관성을 도시 공간분포의 범위에서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인 전주시는 지난 20년 동안 도시환경의 공간 구조적 요인 보다는 도시 열 발생원에 의해 30% 이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공간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rt Space Typ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Based on FBCs (Form Based Codes를 기반으로 한 항만공간 유형화 및 특성분석)

  • Hwang, Sun Ah;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1
    • /
    • pp.255-268
    • /
    • 2017
  • A lot of cit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location, space and environment each other. These characters are the factors showing inherent placeness of each space, and those factors should be reflected sufficiently i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Nonetheless,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not actually reflected in the plan, and this creates a space of unexpected arming. Especially, port area in a port city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culture, history, geography and environment of the city concerned so it must make more creative and unique sp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not only the physical factors but also the social factor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to highlight the place character of the port space. In this paper we are to construct the factors forming the placeness of port space based on the Form Based Codes rising as a flexible urban planning method in order to avoid rigidity of existing use district zoning system, and establish the placeness character of each port area.

A Study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to Improve Urban Landscape Media (도시경관미디어 개선을 위한 디자인 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 Han, In-Kyo;Kim, Gi-Jung;Kim, Ki-Uk;Park, Jae-Young;Lee, Jung-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93-5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도시경관과 결합한 형태로 나타난 제3의 공간인 도시 경관 미디어의 디자인 방향성 제시와 분석틀을 제안하는데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다양성과 독창성은 도시 환경을 미학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문화컨텐츠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도시 경관은 도시 활동의 근원으로써 정보의 공급 역할, 공공의 장으로서 휴식과 나눔의 기능, 담론의 장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공간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경관 미디어 시설물 평가요소 도출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cultural marketing and role of lighting (문화마케팅과 조명의 역할)

  • Kim, Young-Jin
    • Korean Architects
    • /
    • s.513
    • /
    • pp.62-67
    • /
    • 2012
  • 빛은 공간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조형적 요소로서 사용되면서 시각적 감성을 자극하는 하나의 요소로 다양한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빛은 다른 공간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여러 요소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부여한다. 즉, 공간에서의 빛은 새로운 조형성과 공간감을 생성하고 조형적인 빛의 요소로 새로운 공간의 의미를 창조하고 변화시키고 있다. 공간에서 빛은 공간을 특화 시키고 감성적 호소력까지 제고하기 위한 주된 수단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공간에서의 조명효과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간에 나타난 빛의 다양한 조형적 표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공간에서 조명의 새로운 활용가치와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빛을 이용한 미래지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and Urban Planning Elements to Secure Coastal Area Safety and Suggesting the Need for Institutional Reinforcement (연안역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재·도시계획 요소 도출 및 제도 강화의 필요성 제시)

  • Hwang, Sun-Ah;Hwan, Byeong-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2 no.6
    • /
    • pp.518-528
    • /
    • 2018
  • Unlike in the past, port space in modern society not only serves to meet port functions but also other functions such as housing, leisure, and sightseeing. As a result, more and more people are turning into a dense space. Port space, on the other hand, is also a space vulnerable to disasters which can be attributed to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espite the sensitivity if the issue, in Korea disaster prevention and urban planning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safety and disaster preventive measures in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arbor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