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gibility Factors of Disparate Image Fomation in Urban Space - Focused on Busan Urban Space -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레지빌리티 요소 - 부산시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

  • Hong, Ji Su (Pusan National University Urban Engineering) ;
  • Kim, Jong Gu (Pusan National University Urban Engineering)
  • Received : 2018.11.14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9.02.01

Abstract

In terms of the concept of space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the modern city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that all spaces are made up of different places based on ident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disparate image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spaces that form the city. And the physical and behavioral factors that respond to the disparate spatial images are derived through legibility measurement. As a result, the urban space in Busan has disparate images such as closure, openness, dynamic + closure, dynamic + openness, quiet space. The following are the legibility factors that make each image stronger. The elements of closure are high-density and high-rise buildings, residence, work, openness appeared as a factor of water space, walking and viewing. Dynamic & Closure is the element of industrial activity, dynamic & openness is open space, water space, swimming element, quiet space image is green space, walking, stay factor.

도시계획 및 설계의 공간 개념에 있어 현대도시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모든 공간은 차이가 나는 장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시각으로 접근한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도시를 이루고 있는 개별 공간간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질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해 이질성을 띄는 각 공간의 이미지에 반응하는 물리적, 행태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의 도시공간은 폐쇄성, 개방감, 동적+폐쇄성, 동적+개방감, 정적 등의 이질적 이미지를 가지며, 각각의 이미지를 강하게 느끼게 하는 레지빌리티 요소로 폐쇄성에는 고밀 고층건축물, 거주, 업무의 요소, 개방감은 수공간, 산책, 조망의 요소, 동적&폐쇄성은 산업활동의 요소, 동적&개방감은 오픈스페이스, 수공간, 수영의 요소, 정적 이미지는 녹지, 산책, 머무름의 요소로 나타났다.

Keywords

1.서론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의 이론가들의 사상을 살펴보면 차이를 현대도시의 주요 속성으로 상정하고 있다. 기능적, 단선적, 위계적인 근대의 도시구조는 이질성, 불확정성, 우연성 등의 차이를 수용하는 구조를 지향하고, 도시 자체의 기능이나 효율성 보다는 도시의 이미지나 형태를 강조하게 되었다. 또한 공간의 개념에 있어서도 근대적 공간들은 각 장소에서 나타나는 차이들을 계속해서 동질하고 중성적인 공간으로 환원하였다면, 현대도시는 정체성, 장소성을 기반으로 모든 공간은 개별적이고 차이가 나는 장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시각으로 접근한다. 하지만 실제 도시 내 공간들은 그 지역만이 가지는 자원에 대한 개별적인 고려 없이, 전체적인 인상에 대한 평가나 규격화된 제도에 의해 동질화 되거나 특수성이 무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도시의 경관,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자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차이를 인정하는 관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사료된다.

 한편 현대 도시의 발전과정에 있어 이미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 도시 및 지역 등의 공간들은 하나의 브랜드가 되어 이미지나 형태를 강조하며 차별화된 이미지를 통해 그 장소만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이렇듯 현대도시를 이해하는데 있어 사람들의 심리적이고 의미론적인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이미지의 인지를 기반으로 도시 내 공간이 가지는 정체성에 대해 공간과 공간간의 차이를 지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전체를 이루고 있는 개별 공간간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질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해 이질성을 띄는 각 공간의 이미지에 반응하는 물리적, 행태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1.2연구의 공간적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레지빌리티의 관점에서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이질성을 띈 다양한 공간들이 분포되어 있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한다. 부산시는 경관적으로 여러 가지 특색을 가지고 있어 연구대상지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부산시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해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의 도시경관자원의 분류표1)를 참고하고, 부산시의 지형·지리적 여건을 기준으로 공간을 1차적으로 분류한 다음 수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총 14가지의 도시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대항목으로 해안, 하천, 시가지, 산지, 공원, 산업단지 등 6가지 공간으로 분류되었으, 소항목으로 해안은 해수욕장, 수변끝단(기암절벽), 항만, 포구 4가지 공간으로, 하천은 해안확장형 하천, 도심형 하천, 저수지 3가지 공간, 시가지는 상업·업무지역, 고층주거지, 저층주거지 3가지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부산시의 14가지 공간을 대상으로 1)다차원척도(MDS: Multi- Dimensional Scaling)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의 심리적 요인을 밝혀내고, 2)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여 이질성을 띄는 공간의 물리적 요소와 행태적 요소의 레지빌리티가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차원척도는 지각과 선호를 측정하기 위해 ShepardKruskal 등의 심리측정학자들에 의해 상품이 가진 속성이나 응답자의 이상점들 간의 복잡한 다차원 관계를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상에 단순한 구도로 시각화하기 위해 개발한 기법이다. 이 기법은 유사도 및 선호도 데이터를 거리모델2)에 의하여 표현하는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데이터 속에 잠재하고 있는 패턴을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목적과 용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5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KYST를 이용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리커트 척도를 통해 응답자의 주관적인 반응을 종속변수로 하여 질적 연구에 있어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이. 본 연구에서는 5가지 그룹으로 분류된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적 점수를 3점 척도로 측정함으로써 종속변수가 연속형이 아닌 순서형 변수를 가지게 됨에 따라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2.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2.1도시공간 이미지 요소에 관한 선행연구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이질성을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공간을 구성하는 이미지 요소에 관한 기존의 도시 및 건축분야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공간이나 환경, 시설 등의 물리적 측면의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며, 심리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들을 모두 포괄하는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도시 및 도시공간의 이미지 연구로는 케빈 린치를 필두로 Appleyard(1969), Harrison& Howard(1872), Jack L. Nasar(1998)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지 고양 인자 및 선호요소를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논하는 연구들이 선행되었다. 국내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지의 차원을 구분하거나 구성요소 도출에 있어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여 연구범위를 확대하거나 정성적 또는 정량적 방법, 또는 융합적 방법 등 다양화를 시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Kim(2005)은 도시이미지를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로 구분하고, Chen and Koo(2014)는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로 구분하여 각 요소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Kim(2010), Lee and Lee(2012), Kang and Moon(2013) 등은 도시 및 공간의 환경, 인프라, 문화·사 등을 도시이미지의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대부분이 도시의 전체 인상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는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과 공간간의 관계를 차이를 통해 살펴본다는 것과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심리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반응하게 하는 실체적 요소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2.2공간의 이질성의 정의

 도시공간에서의 이질성은 정체성의 개념 중에서 그 공간은 다른 공간과 다르며, 고유한 요소를 가진다라는 개별성에 가까운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질적 공간은 서로 양립 불가능, 양립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여러 공간을 실제의 한 장소에 겹쳐놓는 데 그 원리가 있다(Michel Paul Foucault, 2014). 도시는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도시를 점유하고 있는 서로 다른 공간들이 겹쳐지면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공간구조를 제공한. 따라서 도시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도시 전체에 대한 해석 또는 이미지를 규정하기 전에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들의 관계, 차이를 인정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도시 내 다양한 공간들은 지형·지리적 여건을 대로 개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공간과 공간 사이에 보이지 는 경계를 고 있다는 점에서 공간의 이질성을 설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도시를 하나의 단일한 물체로 하지 , 도시를 이루는 각 공간들이 가지는 이질성에 주목하였으며 각각의 공간들이 가지는 차이를 이질적 이미지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3레지빌리티의 개념 및 이질성과의 관계

 도시이미지는 사람들의 단이미지로써 머릿속에 자리 잡혀 있는 고정관념이자 사회적 인상을 의미하며, 자연, 건축물 등의 물리적 요소에 문화 및 역사, 행태 등의 물리적 요소가 합되어 인간과 주변공간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공간은 시각적 인지에 의해 이미지로 전환되며 현대도시와 같이 도시의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해에 따라 도시 전반적인 패턴과 유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도시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인함에 있어 다른 공간과 뚜렷하게 구별 수 있는 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시각적 료성을 나타내는 레지빌리티와 접한 관계가 있다.

 레지빌리티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도시이미지 연구는 케빈 린치(Kevin Lynch)에 의해 대두되었으며, 공간만이 가지는 특색을 시각적으로 알기 게 하는 레지빌리티의 성분(Table 1 참조)은 도시이미지의 개별성을 극명하게 나타내기에 유용하다. 따라서 공간의 이질성, 이미지의 차이를 설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레지빌리티를 측정함으로써 사람들이 공간을 느끼상을 구체적인 원인을 통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Table 1. Definition of Legibility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이질적 이미지 분석에 있어 정체성을 기반으로 단일 건축물이나 구조물, 도로 또는 수평선, 장이나 공원 등의 , , 면 요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주는 구조를 물리적 요소의 근거로, 도시의 본질적 구성인자로서 인간의 활동 및 행위를 나타내어주는 의미를 행태적 요소의 근거로 하여 진행한다(Table 1 참조).

3.도시공간의 분류 및 이질적 이미지 분석

3.1부산시 도시공간의 분류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한 부산시의 지형은 단일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고 다양한 공간이 역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특색을 가진다. 이는 일제강점기, 한국전, 경제도기를 거쳐 속한 인구 유입으로 인해 도시가 비약적으로 커져 로운 주거지와 그에 따른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있어 계획성 없이 산발적 치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으로 부산시는 지형·지리적 여건에 의한 복합적인 공간구조를 제공하며, 이질적 이미지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지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부산시 도시공간은 경관적으로 게 해안, 하천, 시가지, 산지, 공원, 산업 공간으로 분류되었고, 지도 및 소 등을 수·조사하고, 수차례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총 14가지 대표 공간(Table 2 참조)으로 구분되었다. 해안은 해수욕장, 수변끝단, 항만, 포구 4가지, 하천은 해안과 접해있는 해안확장형과 도심지 내 위치한 도심형, 저수지 3가지, 시가지는 고층주거지, 저층주거지, 상업·무지역 3가지, 산지는 산정,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Table 2. Representative Space Image of Busan

3.2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 분석

3.2.1분석개요

 본 장에서는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적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3.1에서 선정한 부산시 도시공간의 14가지 대표 공간에 대해 유사도 분석(MDS-KYST)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7. 6. 12 ~ 6. 21 10일간 도시·건축계획 관4,5학년 대학및 대학원, 실무자, 연구원 등의 전문가 3)을 대상으로 총 3)전문가들의 경우 도시공간의 유형을 인지하는데 일반 시민들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장시간 집중력을 요하는 설문이기에 보다 효율적인70부의 설문부수 중 61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은 14가지 공간유형을 각각 대표할 수 있는 사진으로 구성하여 피험자들에게 비교(91)하여 보여주고, 가장 유사한 1, 가장 상이한 91등으로 하는 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피험61의 유사성 을 합산한 한 개의 유사도 행을 이용하여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3.2.2분석결과

  KYST 분석의 목적은 각각의 도시공간을 다차원공간에 점으로 표시하고 대상 간 유사성의 대소관계를 점과 점 사이의 거리에 의해 표현함에 있다. , 유사한 공간은 거리가 게 분포되고, 상이한 공간은 대상간의 거리가 어져 분포된다. 이를 통해 서로 이질적인 도시공간의 무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각 공간이 가진 심리적 요인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다.

 우선 모형 측에 대한 반복 정 히스리를 보면 전체적으로 14번의 반복 정을 통해 모형이 측되었고, Stress 0.1로서 보통 수준이라 수 있다. 도출된 2차원의 종 분포 (Table 3 참조)에 근거하여 Figs. 1 and 2 표에서의 분포도를 해석하였다.

Table 3. Similarity Distribution Value

Fig. 1. MDS-KYST Similarity-Dimensional 1

Fig. 2. MDS-KYST Similarity-Dimensional 2

 X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원1의 경우 고층주거지, 상업·업무지역, 저층주거지, 산업단지와 수변끝단, 해안확장형하, 도심형하천, 저수지의 두 그룹으로 나어 인지되었다. 고층주거지, 상업·업무지역, 저층주거지, 산업단지로 인 그룹은 도시공간 중 시가지 및 산업관 영역으로 획일적이며 도에 의한 폐쇄적인 이미지가 게 나타나는 공간이다. 반면 수변끝단, 해안확장형하천, 도심형하천, 저수지로 인 그룹은 해안과 하천 등으로 구성된 수변지역으로 자연적이며 적하고 개방적인 이미지가 강한 공간이다. 따라서 차원1폐쇄-개방으로 해석할 수 있다.

Y축을 기준으로 하는 차원2의 경우 해수욕장, 항만, 포구공원, 산정, 지의 두 그룹으로 나 수 있다. 그룹은 2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해수욕장과 포구는 자연성을 바으로 느낄 수 있고 항만은 인공성을 가지면서 활동적인 이미지를 가지며 공통적인 특성으로는 활동이 일어나는 동적인 이미지가 은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공원, 산정, 지로 인 그룹은 지 및 오픈이스로 개방적이면서도 위요을 가지는 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공간이다. 따라서 차원2동적 공간-정적 공간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차원해석을 바으로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적 분석 게 시가지, 수변지역, 지지역으로 그룹화 되었다. Fig. 3과 같이 고층주거지, 저층주거지, 상업·업무지역으로 시가지는 비교적 고도의 분포를 보이고 있고 인공적이며 비슷형상의 공간구조를 가지는 폐쇄성이 은 공간으로 나타. 항만과 산업단지는 산업 활성화지역으로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이 특색 있게 쳐져 있으며 폐쇄성을 바으로 시러운 분위기의 동적인 이미지가 강한 공간이다. 반면 수변끝단, 해안확장형하천, 도심형하천, 저수지는 수변지역 중 자연적으로 발하였으며 개방적인 이미지가 매우 으며,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공간이 함공존하는 유형이다. 포구와 해수욕장은 개방을 바으로 축제 및 이트로 인한 느껴지는 동적 성향이 강하며, 이에 반해 공원, 산정, 지로 지지역은 매우 정적이면서 개방과 위요 등의 폐쇄성이 합되어 있는 이미지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Table 4 참조).

Fig. 3. Urban Space Disparate Image Results

Table 4. Disparate Image by Urban Space Group

4.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레지빌리티 요소

 본 장에서는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행태적 요소를 레지빌리티의 측정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유사도 분석 과 차원1(폐쇄-개방)과 차원2(동적공간-정적공간)이미지에 정적인 역할을 하는 1)공간 및 시설물, 활동 및 행위에 관한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2)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해 이질적 공간이미지를 형성하는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4.1도시공간그룹별 물리적·행태적 요소 도출

 2장의 이론적 고에서 케빈 린치가 제시하는 레지빌리티의 구조 및 의미의 개념을 대로 이에 부합하는 물리적·행태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1차적으로 Table 5와 같이 도시이미지 구성요소에 관한 문을 통하여 학자들 및 회의 의을 종합하여 도시공간 그룹별 물리적·행태적 요소 도출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도시공간 그룹별 현장답사를 통해 기준에 부합하는 요소를 출하, 도시·건축 관 전공 석·사과정 및 연구원, 실무자를 대상으로 타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종적 요소를 Table 6과 같이 구성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가 출한 도시공간의 그룹별 물리적·행태적 요소에 대한 적합도를 판단하였으며, 2018.09.11 ~ 2018.09.19 9일간 진행되었고, 40부의 설문부수 중 회수된 36부에 대한 의을 수하여 종적으로 조정하였다.

Table 5. Components of Urban Space Images

Table 6. Physical and Behavioral Elements of Urban Spatial Groups

 설문조사과 그룹1폐쇄의 이미지와 관한 물리적 요소로는 고·고층건축물, ·저층건축물, 인공시설물, 행태적 요소로는 거주, 업무, 이동이 도출되었다. 그룹2개방이미지의 물리적 요소로는 오픈이스, 바다 및 하천 등의 수공간, 수평선 및 해안선, 행태적 요소로는 휴식, , , 으로 나타, 그룹3동적공간&폐쇄이미지의 물리적 요소로는 산업시설 및 구조물, 컨테, 항로 및 , 행태적 요소로는 산업활동, 물류이동 등의 운으로 도출되었다. 그룹4동적공간&개방이미지의 물리적 요소로는 오픈이스, 바다 등의 수공간, 및 등대, 행태적 요소로는 휴식, 오락, 수영, 어업활동으로 도출되었, 그룹5정적공간이미지의 물리적 요소로는 오픈이스, , 나무, 등의 , 로 및 등산로, 행태적 요소로는 휴식, 운동, , 으로 나타.

4.2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한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결정하는 영향요인

 앞서 도출된 도시공간의 물리적·행태적 요소에 대한 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해 이질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분석하였다(Fig. 4 참조). 레지빌리티는 그 공간만이 가지는 특색을 시각적으로 알기 게 하는 성격을 가으로써 공간이미지의 개별성을 극명게 나타내기에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행태적 요소가 각 그룹이미지에 어게 영향을 미치는지 레지빌리티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여 립변수로 설정하, 3단계(-보통-강함)로 구분한 이질적 이미지의 심리적 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를 3단계로 구분한 것은 3장의 분석 과 이미 도출된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강도를 구분하여 각 요소의 영향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의 리커트 척도가 등간척도라고 정의할 수 없으며, 순차적 목변수의 형태를 하고 있기 문에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Fig. 4. Analysis Model

설문조사는 도시공간 및 경관, 레지빌리티에 대한 이해능있다고 판단되는 도시·건축을 전공자를 대상으로 2018.10.01 ~2018.10.05 5일간에 거쳐 실시하였으며, 100부의 설문 중 유효한 82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방법은 도시공간의 대표 이미지 라이드를 피험자에게 시간제한 없이 비추어 각 공간의 이미지가 강하게 반영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모델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우도와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이제을 이용한다. ‘모형 적합도 정보의 우도이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0.05)을 가질 경우, 그리고 적합도에서 pearson 이제편차 이제 통계량의 유의확0.05이상이면 가정된 모델이 자료를 한다고 할 수 있다. 분석과 설명력과 적합성이 이와 같은 조건을 모두 만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Wald 그 유의확(p<0.05), Exp (B)를 통해 각 변수의 상대적 영향살펴보았다.

 그룹1폐쇄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는 Table 7과 같으, 물리적 요소의 ·고층건축물(wald=4.069, p=0.044)’과 행태적 요소의 거주(wald=5.151, p=0.023)’업무(wald=4.550, p=0033)’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유의한 영향을 미. 각 요소의 Exp (B)·고층건축물6.827, ‘거주3.541, ‘업무3.265로 나타으며, 이러한 요소의 레지빌리티 정도가 1 단위 가할수폐쇄의 이미지가 6.827, 3.541, 3.265강하게 형성됨을 의미한다.

Table 7. Analysis Result of Closure

 그룹2개방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는 Table 8과 같으, 물리적 요소의 수공간(wald=5.968, p=0.015)’과 행태적 요소(wald=3.882, p=0.049)’(wald=4.752, p=0.029)’대한 레지빌리티가 유의한 영향을 미. 각 요소의 Exp (B)수공간6.882, ‘4.468, ‘5.536으로 나타, 이러한 요소의 레지빌리티 정도가 1단위 가할수개방이미지가 6.882, 4.468, 5.536게 나타다고 할 수 있다.

Table 8. Analysis Result of Openness

 그룹3동적공간&폐쇄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는 Table 9과 같으며, 행태적 요소의 산업활동(wald=7.081, p=0.008)’대한 레지빌리티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Exp (B)2.443으로 나타나 산업활동의 레지빌리티 정도가 1단위 가할수동적공간이면서 폐쇄의 이미지가 2.443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Table 9. Analysis Result of Dynamic & Closure

 그룹4동적공간&개방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는 Table 10과 같으며, 물리적 요소의 오픈이스(wald=4.483, p=0.034)’수공간(wald=4.595, p=0.032)’과 행태적 요소의 수영(wald=4.070, p=0.044)’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유의한 영향을 미. 각 요소의 Exp(B)오픈이스5.425, ‘수공간5.970, ‘수영4.535로 나타으며, 이러한 요소의 레지빌리티 정도가 1단위 가할수동적공간이면서 개방의 이미지가 5.425, 5.970, 4.535 강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0. Analysis Result of Dynamic &Openness

 그룹5정적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는 Table 11같으며, 물리적 요소의 (wald=5.273, p=0.022)’와 행태적 요소의 (wald=3.913, p=0.048)’(wald=5.639, p=0.018)’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유의한 영향을 미. 각 요소의 Exp (B)를 보면 4.943, ‘4.404, ‘2.996으로 나타으며, 이러한 요소의 레지빌리티 정도가 1단위 가할정적공간의 이미지가 4.943, 4.404, 2.996느껴짐을 알 수 있다.

Table 11. Analysis Result of Passive

4.3종합

 본 연구의 분석과를 종합하면 Table 12와 같다. 부산시의 도시공간은 폐쇄’, ‘개방’, ‘동적&폐쇄’, ‘동적&개방’, 정적5가지 이질적 이미지를 가진다고 도출되었다.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물리적·행태적 요소의 레지빌리티를 측정함으로써 심리적 요인의 근거가 되는 구체적인 요인을 밝 수 있었다.

Table 12.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고·고층건축물로 이루어진 거주 및 업무 공간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을수폐쇄의 이미지가 강하며, 반대로 바다나 하천 등 수공간과 산 및 조을 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으면 개방의 이미지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었다. 항만이나 산업단지에서 이루어지는 산업활동은 동적이면서 폐쇄을 강하느낄 수 있는 요소로 용하고, 오픈된 구조의 해수욕장 등의 수공간과 수영은 동적이면서 개방의 이미지를 강하게 느낄수 있게 한다. 으로 산, 나무, 등의 지공간에서의 산에 대한 레지빌리티가 을수정적공간의 이미지가 강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5.결론

 본 연구는 도시를 이루고 있는 개별 공간간의 차이에 주목하여 심리적 측면에서의 이질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질성의 실체적 원인을 레지빌리티 측정을 통해 각 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물리적, 행태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에 경관적으로 여러 가지 특색을 가지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도시공간을 총 14가지로 분류하고, 다차원척도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이질적 이미지를 가지는 공간을 5그룹으로 었다. , 5그룹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공간의 물리·행태적 요소를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가 이미지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레지빌리티 정도를 측정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 부산시의 도시공간은 고층주거지, 저층주거지, 상업·무지역으로 폐쇄성이 은 공간, 수변끝단, 해안확장형 하천, 도심형 하천, 저수지로 인 개방은 공간, 항만과 산업단지의 동적이면서 폐쇄성을 가지는 공간, 포구와 해수욕장은 동적이면서 개방을 가지는 공간, 공원, 산정, 지로 인 정적인 공간 등의 5가지 이질적 이미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각 도시공간그룹의 이미지를 강하게 인하게 하는 레지빌리티 요소를 살펴보폐쇄성은 고·고층건축물과 거주, 업무 등의 요소, 개방바다 및 하천 등의 수공간과 산, 등의 요소, 동적&폐쇄성은 산업활동의 요소, 동적&개방오픈이스와 수공간, 수영 등의 요소, 정적 이미지는 산, 나무, 등의 지와 산, 등의 요소로 나타.

 본 연구에서 도시는 단일한 형상이 아닌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들에 의해 이질적 이미지가 아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공간의 이미지에 은 영향관계를 가지는 구체척인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간계획의 우선적인 단계로써 공간의 이미지와 이미지를 강하게 형성하게 하는 레지빌리티 요소를 고려한다면 그 공간만이 가지는 특색을 강조한 공간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 내 공간이라는 다소 미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도시별, 국가별 등의 거시적인 범위에서의 이질적 이미지 분석 또한 학적 측면에서 매우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References

  1. Byeon, J. S. (2005). A Landmark Model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Image,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 Chen, T. and Koo, B. K. (2014). "The Effect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Nanjing, China City Image."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5, pp.501-518 (in Korean).
  3. Hong, J. S. (2015). "Analyzing the city image by derived ingredients and components of the legibility focused on Busa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2, pp. 63-78 (in Korean). https://doi.org/10.17208/jkpa.2015.02.50.2.63
  4. Hong, J. S. (2017).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disparate image of urban space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6, pp. 1077-1085 (in Korean). https://doi.org/10.12652/KSCE.2017.37.6.1077
  5. Jon, L. (1994). Urban design. The American Experience, New York: VNR Company.
  6. Joo, S. H. (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1, No. 1, pp. 1-10 (in Korean).
  7. Kang, H. S. and Moon, J. I. (2013). " How City Image Attribute Effect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Focus on Pine City GangNeung."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28 No.2, pp.23-40 (in Korean).
  8. Kim, B. S. (2010). "Development of Urban Tourism: hrough the Improvement of City Image."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13, No.3, pp. 354-380 (in Korean).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354
  9. Kim, C. L. (2003). SAS&MDS conjoint analysis. Jayu Academy (in Korean).
  10. Kim, J. G. (2000). "A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5, No. 3, pp. 141-151 (in Korean).
  11. Kim, N. J. (2005). A Study on the Elements of City Brand Image and Influences, Seongnam, Ph.D. Dissertation, Kyungwon University (in Korean).
  12. Kwon, J. G. (2012). "Empirical study on effective factor of city brand identity formation by city image type."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ol. 4, No. 10, pp. 15-26 (in Korean).
  13. Kwon, Y. G. (2013). The 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on Urban Streets : Research on Insa-dong and Daehak-ro within the framework of mixed-method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4. Lee, J. K. and Lee, K. S.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urban tourism Behavior patten on urban image influence upon Visi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Vol. 50, pp. 127-149 (in Korean).
  15. Lee, J. M. (1998). "The concept of 'culture' and 'environment'in urban cultural geography."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Vol. 33, Special Edition, pp. 677-684 (in Korean).
  16. Lee, S. B. (2016). A Semiotic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Meaning andthe Emotion of Landscape Image focus on the case of slow city Joan, Ph.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in Korean).
  17. Lee, S. M. (2011). A Study on Establishing the Evaluative Model of Cityscape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Planning,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in Korean).
  18. Lim, S. B. (2003).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33-247 (in Korean).
  19. Lynch, K. (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20. Michel Paul Foucault (2014). Les Heterotopies, Moonji Publishing Company (in Korean).
  21. Park, S. H. (2008). A Study of Landscape Image Analysis about Cultural Space in Civic Center, Seoul, Ph.D.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