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 지역

검색결과 924건 처리시간 0.025초

DDC 지역구분표의 변천과정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193-21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ea table of twenty editions of the DDC in order to identify what major changes have been made chronologically. The summaries about which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edition order about the change processes of the most extensive area table of the DDC auxiliary table are as follows. 1. It is from the 17th edition that area table appeared as a special auxiliary table in DDC for the first time and the method of classifying areas like from 930 to 999 which is regional history in history class was tak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independent area table. 2. The entry numbers in which the area table was applied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the 18th edition but the applied entry number was rather decreased in the 20th edition especially the number was mainly decreased in history class, this i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entry was classified by area table without enumerating each regional history in history class except for the basic area since the 17th edition but recently at least the area of over national unit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enumerating the entry in regional history within history class. 3. The relocation or revision of area table was made according to the literary warrant of the relevant area by perio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and the request of related organization or classifiers of the area rather than by the topographical features therefore the revision was made chiefly about the highly interested Europe Northern America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4. The entry numbers which were expanded according to area indicate that gradual improvement for the international feature as the revision of edition is repeated is made but because of the expansion of Northern America,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regional disproportion is represented by the occupation of 56% in the entire entry numbers of the United States in case of the 20th edition. Lastly, the reasonable reform plans of area table will have to be grop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above and the consideration about th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area table of DDC and the other main classification systems.

  • PDF

통합형 지방교육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방안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Archives through Integrating Museum, Archives and Library Functions in Gyeongsangnam-do)

  • 우지원;설문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3-180
    • /
    • 2015
  • 교육기록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창이며, 따라서 교육기록물관리기관은 지방의 교육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이 연구는 경상남도를 사례로 교육청 단위의 통합형 교육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통합형 교육기록물관리기관은 박물관, 기록관, 도서관의 기능이 통합된 '교육 라키비움'을 의미한다. 먼저 지방 교육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필요성을 조사하고, 해외 사례로 토론토 교육청 박물관 아카이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육 라키비움' 모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모형에 근거하여 경상남도에서의 설립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 기록물 및 부지 기부 의사를 밝힌 박연묵교육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한 설립을 추진하기 위하여 교육청과 박연묵교육박물관 기록물 현황 및 환경 조건을 분석하고 새로운 기록물관리기관의 비전과 역할, 조직과 인원구성을 제안하였다.

계통 연계형 가변속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주입을 통한 PCC 전압 변동량 실시간 보상 (Realtime Compensation of PCC Voltage Variation by Injection of Required Reactive Power in a Grid Connected Variable Speed Wind Turbine)

  • 임지훈;송승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9-74
    • /
    • 2010
  • 풍력발전기가 계통에 연계되어 운전 중 바람의 변동에 따라 유효전력이 변동하면 연계지점에서는 전압변동이 발생하며 풍력발전기의 연계 위치 (PCC, Point of Common Coupling) 에 따라 그 값은 변동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계통 연계 지점의 전압변동이 이상 전원에서 PCC지점까지의 등가 선로 임피던스와 풍력발전기 출력 전류의 곱에 비례함을 보였으며 이러한 전압변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무효전력 요구량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하였다. 만일 풍력발전기 출력단 인버터의 용량 제한에 의해 무효전력 주입량에 한계가 있거나 전압변동 허용범위가 주어진 경우에는 그에 따라 무효전력 주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가변속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단 인버터에 사용하면 수시로 변동하는 유효전력에 따라 무효전력 요구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함으로서 PCC전압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서해 도서지역에 설치된 소형 풍력발전기 및 전력 시스템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Matlab과 PSCAD/EMTDC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사서의 직업사회화 영향요인 (An Ethnographic Study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Librarians)

  • 김갑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1-430
    • /
    • 2009
  • 본 연구는 사서의 직업사회화에 관한 총체적인 행위이론을 도출하기 위한 질적 다방법연구의 한 접근으로, 문화기술연구법을 적용하여 사서의 직업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정보제보자는 학부에서 문헌정보학(도서관학)을 전공하고, 현재 서울과 경기지역의 공공, 대학, 학교, 전문도서관에서 5년 이상의 정규직 경험을 가지고 있는 16명의 현직 사서 및 사서교사들이다. 자료수집은 개별적으로 3회의 개방적 및 반구조적인 심층면담 및 1회의 부분적 참여관찰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직의 직업사회화의 영향요인으로 '대학의 전공교육', '사회적 변화', '업무', '인간관계', '이용자', '도서관 조직풍토', '사회적 인식', '전문성 향상 노력'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들 요인을 통합하는 문화적 주제는 '사서직에 대해 몰인식(沒認識)하는 현실을 인내하면서 현직 유지하기'로 나타났다. 이 '인내하기'는 제보자들이 학교에서 배우고 실무에서 재인식한 사서직의 가치와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인식되는 가치와의 격차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불이익, 몰인식, 피해의식에 대한 사회화 대응전략이기도 하다.

식물상 자료에 기초한 한반도 도서 지역의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flora data)

  • 김현희;미즈노 카즈하루;김다빈;이호상;공우석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92-403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Ten species,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Eupatorium rugosum, Hypochaeris radicata, Lactuca scariola, and Paspalum distichum were present on 68 islands. These ecosystem-disturbing invasive alien plants appeared extensively on the islands of Gyeonggi province and Jeollanam province. The proportion of the plants on the inhabited islands (41 places, 2.15 species on average) was higher than that on the uninhabited islands (27 places, 1.07 species on average).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was closely related to human activity. The distribution of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32 islands) and Rumex acetosella (31 islands) was the widest, and there were distinct distribu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es. In the island area, the physical environment is poor compared to the mainland, and the native space is limited. Therefore, when invasive alien species enter and settle on the island, the native island plants can be damaged more than those on the mainland.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f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island region can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egion.

한국 남부의 쌍화산대 가능성: 지화학적 근거 (A Possibility of Dual Volcanic Chain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Evidences from Geochemistry)

  • Jong Gyu;Jin Seop;Maeng Eon;Kyonghee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4호
    • /
    • pp.249-260
    • /
    • 2000
  • 한국 남부에서 섭입 해구의 방향과 나란히 쌍으로 발달한 화산대가 발견된다. 경상분지와 영동-광주 함몰대의 화산암류는 거의 나란한 양상을 보이며, 이들은 각각 동일한 섭입 체계에 따르는 첫 번째 화산대, 두 번째 화산대이다. 경상분지와 영동-광주 함몰대 화산암류의 불호정성 원소 함량은 호를 가로지르는 변화를 뚜렷하게 보인다. 즉, 첫 번째 화산대 (경상분지 및 남해안 도서지역)용암들의 불호정성 원소 함량은 두 번째 화산대 (영동-광주 함몰대)에 비해 더욱 결핍되며 두 번째 화산대에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호를 가로지르는 변화를 보이는 것은, 탈수과정 동안 유체상과 공존하는 고체상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화산대의 불호정성 원소의 함량, Zr/Y 비, Rb/K 비는 첫 번째 화산대에 비해 더 깊은 깊이에서 더 적은 정도의 부분 용융, 그리고 용융 과정에서의 잔류 석류석에 기인할 것이다.

  • PDF

화산도서에서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Groundwater Flow Analysis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in Volcanic Island)

  • 최윤영;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611-62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귀포유역의 지하수 유동시스템 해석을 위해 MODFLOW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양수량 측정자료를 통한 투수량계수 및 저류계수를 초기치로 선정하여 시행착오법을 통한 대상유역의 최종 매개변수를 얻을 수 있었고 모델의 모의 발생을 한 결과 지하수유동시스템에 대한 적용성이 잘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서귀포 유역은 지형지질을 고려한 관측치 해석, 이(1996)의 연구결과 및 모의발생을 통한 결과로 볼 때 지하수두 분포는 표고 400m이내에서 안정된 지하수 함양에 의한 용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부정류상태하에서 지하수 유동경로 해석을 위하여 수두분포의 결과치를 이용한 유속벡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속벡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지역은 II, III 및 Ⅵ지점이었으며 지하수 유동경로는 I, II, III, IV, V, Ⅵ 및 Ⅶ지점의 각 방향으로 분산되어 유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에 따른 독서유효성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Reading Practice of Teenagers)

  • 김명희;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9-104
    • /
    • 2018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 모형을 제시하고 협력적 독서방식이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지역, 61개 중 고등학교에 68개 독서클럽을 조성하고 연구집단을 독서미흡집단, 독서양호집단, 독서혼합집단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을 4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독서유효성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독서유효성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독서미흡집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독서행동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독서유효성의 변화는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병원 내 도서관의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ervice for Patients and Carers in the Library in Hospital)

  • 신영지;이석형;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49-1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병원 내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해 수행하고 있는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향후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 내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 내 도서관의 의무적 설립을 위한 법 제정과 병원 내 도서관의 규모, 장서, 인력 등에 대한 기준이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병원도서관을 의무적·자발적으로 설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대표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운영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