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교육

검색결과 1,688건 처리시간 0.021초

신문기사에 나타난 인공지능 담론에 대한 주제범주 분석 (Analysis of Subject Category on Artificial Intelligence Discourse in Newspaper Articles)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1-47
    • /
    • 2017
  • 이 연구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에 관한 사회적 담론에 어떤 주제적인 특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 사회에 알파고 충격이 있었던 201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18개월 간 조선일보와 한겨레에 보도된 신문기사를 분석대상의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전체 525건의 신문기사에 나타난 1,210건의 메시지들에 대해 주제범주를 코딩하였다, 구분한 주제는 7개 대범주, 62개 중범주, 그리고 하위의 소범주 주제들로 구성되었다. 인공지능의 담론을 구성하는 대범주는 AI 연구, AI 적용영역, AI기업(사업), AI 시대, AI 쟁점, 알파고 사건, AI 기타의 주제들로 파악되었다. 대범주로 코딩된 메시지들의 내용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주제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담론을 구성하는 주제범주의 범위와 내용이 다양하고 복잡하였다. 둘째, 안전하고 유용한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소멸의 문제, AI의 오류나 오용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 등과 같은 사회정책적인 쟁점들의 해결이 중요하다. 셋째, 인공지능의 시대에서 인간의 역할,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제의 혁신도 난이도가 높은 쟁점들이다.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격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igital Divid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강인서;김혜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33-352
    • /
    • 2020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dot}$박사 학위논문을 통해 본 한국 차문화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Research Trends of Tea Culture on the related Thesis & Dissertation in Korea)

  • 박준식;이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48
    • /
    • 2005
  • 이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2003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차 관련 석${\cdot}$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학위 종류별 논문의 발표연도별 차문화의 영역별로 출판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차문화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모두276편이 출판되었으며, 이중 석사학위 논문이 232편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출판시기별로는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다가 2000년에 이르러 급격히 증가하였다. 분야별로는 차의 효능 및 효과에 관한 논문이 178편$(64.4\%)$으로 절대 다수를 점하였고, 이 중에서 의${\cdot}$약학적 관점의 논문이 148편으로 $83\%$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다구, 제다, 차문화 일반의 순이었다. 차를 문화적 관점에서 보는 다도, 다례는 합쳐 $6.9\%$에 불과했다. 최근에는 다도교육이나 마케팅 분야의 논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 PDF

디지털 정보시대의 전거통제 (II): 국내 목록 데이터 베이스의 일본 학술지명과 단체명 연구 (Authority Control in the Digital Age: A Study of japanese Journal Titles and Corporate Names in the OPAC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1-17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주요한 목록 데이터베이스들에서 일본 학술지명 및 발행 기관ㆍ단체명의 다양한 표기와 접근 방법을 살펴보고 전거통제를 통한 표목의 표준화와 이용자 지원이 수행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회전자도서관 연세대학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속간행물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과 과학 기술분야의 학술지명 및 관련 단체명의 표목의 형태, 다양한 독음과 표기방식을 갖는 비표준형과의 링크를 검토하였고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의 '학술지종합목록'과 비교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국내 목록에서 (1) 편목규칙 적용의 일관성 결여, (2) 단체명 표목처리를 위한 적절한 전거통제의 결여, 및 (3) 학술지명 및 단체명들과 다양한 이름 형태들 사이의 참조나 링크의 결여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소규모로 수행되었으나, 학술지 목록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편목 실무의 전면적인 개선 및 표준형 표목과 다양한 형태들의 링크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거통제의 적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경향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 Related to Private Security)

  • 양승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94-901
    • /
    • 2013
  • 이 연구는 민간경비 분야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민간경비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경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특정 학문이나 대상의 경향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연결중앙성과 인접중앙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결중앙성과 인접중앙성의 경우에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와 같은 개인적인 요소들이 경비업법이나 경비원의 교육훈련과 같은 민간경비의 제도적 정책적 문제보다 더 많이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민간경비 분야 연구 경향에 있어 제도적 정책적 연구보다는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이 국회도서관 내 검색된 연구결과물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으며, 추후 그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좀 더 보완 확대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Teachers'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in the Korea and U.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7-149
    • /
    • 2011
  •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적정 수준의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학교 현장에 배치하기 위해서 교사 양성과 자격, 임용에 관한 사항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법령에 의거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에 배치한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주교육부와 교사인증기관에서 Praxis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교사 임용시험은 1차, 2차,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차 시험은 교과 전공 지식을 평가한다. 반면, 미국의 교사자격시험인 Praxis는 I, II, III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Praxis II는 교과 지식과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는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를 위한 자격, 임용 제도를 고찰하고, 한국과 미국의 객관식 시험 문항을 비교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미국과 한국의 참고봉사 교육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reference educ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정춘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53-28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reference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reference education in America and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reference services, and the names, problems and changes of reference courses are stud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ames of reference courses are various. In America, On-Line Services or Information Services are used in general, but in Korea, Reference Services are widely used. 2. In America, some library schools have only subject literature courses including business, law, music, etc. instead of basic reference courses. 3. Only one reference course is given by most schools in America and in Korea. However, a few schools which have no graduate courses provide two reference courses in Korea. 4. Analysis of textbooks used in reference courses shows that Reference Research by Joon-Shik Park, Reference Services and Reference Sources by Ock-Soon Noh are used in general. In addition,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by Katz is used. 5. Lecture methods are generally used in teaching reference courses, but reviews of reference materials in library, class presentation, and case study method are also used. It is desirable that role playing and pathfinders' used in U.S. are introduced to our schools. 6. Analysis of library user instruction courses in Korea shows that 7 of 11 universities have the courses,, only one university teaches library user instruction as a part of reference courses, 3 universities don't. 7. Analysis of opinions about the directions for reference education shows that changes of reference courses names, expansion of courses contents, emphasis on communication technique, changes of teaching methods, proper combination of theory vs. practice, an increase in electronic reference education and training of subject specialist are needed.

  • PDF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 (Paradigm Shift of Digital Divide and Intellectual Digital Divide)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1-114
    • /
    • 2020
  •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지적 정보격차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정보격차의 요인들을 기반으로 정보에 대한 지적 능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함을 실증하였다. 특히 정보격차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되어 온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은 여전히 양적, 질적 정보격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에 있어서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인 자살의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Elderly Suicide in Korea)

  • 홍시명;강영실;김헌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52-5761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노인자살 관련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자살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인터넷 학술정보 사이트인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KISS(한국학술정보(주)), Nanet(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199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논문 287편을 검색하였으며, 이 중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국내 논문 18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들은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변수별 빈도와 백분율로 구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자살 연구들은 주로 사회복지영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연구 개념과 키워드는 기존의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지표들(자살생각, 우울, 스트레스)이었다. 그러므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독거노인, 빈곤노인, 자살시도 고위험군인 남자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기록물정보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data for Archival and Manuscripts Control)

  • 김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79
    • /
    • 2001
  • 본 연구는 기록물을 관리할 수 있는 국제 표준에 맞는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한국 교육사회연구소의 콜렉션 관리에 활용하고 아울러 기록물정보관리의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기 위해서 기록물의 목록 규칙과 관련된 네 가지 종류의 자료 측 국제표준기록물기수레[ISAD(G)], 미국 기록물/필사본 기계가독목록 (USMARC AMC). EAD 및 Ebind를 참조하였다. 시스템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시스템의 개선점 및 향후 콜렉션을 포함한 다양한 기록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평가해 보았다. 평가 분석 결과는 향후 시스템을 갱신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제안된 시스템을 도서관이나 기록관 현장에 바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는 작업 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