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표지규칙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224 seconds

An Extent Estimation Caused by Road Sign Using Graphic Theory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도로표지의 혼란정도 평가)

  • Chong, Kyu-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2
    • /
    • pp.157-164
    • /
    • 2012
  • Road signs serve guide informations for efficient traffic control and are regulated by Road Sign Regulation. But few road managers break the regulation because of civil complaint and cause driver's confusion. Also, as promote the road name guide signs and the new road signs on expressway, the driver's confusion being increased. This study analysis factors of driver's confusion, calculates limited information on road signs and specifies modes of driver's confusion caused by road signs. The traffic accident data during 3 years is calculated in order to see how much intimate connection between the road sign confusion and the traffic.

Public information signage design for driving in perspective of improving contextual visibility (주행 공공 안내표지판의 맥락적 시인성 향상을 위한 표지판 디자인 연구)

  • Lee, SaYa;Cho, IkHyun;Kim, ChaeHee;Lee, JoongSup;Kim, SeungJun;Lee, EunJong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4
    • /
    • pp.63-70
    • /
    • 2021
  • Public Signs guiding drivers on the road should help make decis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at the point. Currently, the road marking rules revised by the law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ype of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and weight of expression compared to existing road signs to be based on road name addresse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revised road signs changed based on the road name were effective in perspective of perception-cognition-understanding-projection and examined whether they provided appropriate information for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esent an improved design, evaluate the degree of visibility compared to existing road name-oriented signs, and a qual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uitability of the sign cont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more suitable driving information and measures to increase intuitive visibility can be reviewed.

A Study on Field Investigation System for Road Sign Management (도로표지 관리를 위한 현지조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Woo, Je-Yoon;Koo, Jee-Hee;Chong, Kyu-Soo;Lee, Sang-Chul;Kim, Dong-Hw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65-70
    • /
    • 2002
  • 도로표지는 도로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방향, 거리, 경로 안내 등 기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공하여 도로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도로 부속시설물이다. 이 시설물의 설치 기준인 도로표지규칙의 일부 기준이 미흡하고 운영 및 관리담당 기관이 일원화되지 않아, 전문적 도로표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도로표지의 통합적 전문적 관리와,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신속하고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조사시스템을 도출하기 위하여 도로시설물의 조사를 위한 여러 방법과 시스템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한 도로망도를 추출하고 DGPS 측량을 실시한 도로망도를 이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 조사 시스템을 공간정보, 속성정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표지판등록 및 GPS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와 경로탐색용 네비게이션,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GPS로 구성된 하드웨어로 구성하여 현지조사에 사용하였다. 현지조사 작업은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조정으로 도로표지의 사진을 촬영하고,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였다. 현지조사 시스템은 지도의 축척에 맞는 정확도로 조정이 가능하며, 도로표지 조사뿐만 아니라 교통표지 및 그 외의 도로시설물의 조사에도 활용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한다면 실시간 정보의 수정 및 입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Road Sign Framework Development for Rural Highway System (지방도 도로표지의 안내체계개선(안내지명 선정을 중심으로))

  • Choi, Kee-Choo;Hong, Won-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6
    • /
    • pp.17-26
    • /
    • 2003
  • 주간선도로의 ITS 사업 등 동적정보의 제공이 최근 도로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지방부의 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는 아직도 안내기능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지방부 도로를 대표하는 지방도는 연장에 있어서 모든 도로를 통해서 최장이며 고속국도,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함께 복잡한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로의 대종을 차지하는 지방도는 아직도 정적정보제공기반도 취약하다는 것이며, 증가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길 찾기의 기능이 가장 미흡한 도로가 지방도이다. 이러한 지방도의 경우 같은 위계의 지방도 간에도 노선연장 및 지역적 차이가 크며, 노선의 연속성 또한 미약하다. 이러한 지방도 도로안내체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선별 적절한 안내지명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명을 통해 도로안내 및 표지간의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로표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에 있어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도로가 아닌 지방도는 장거리 통행을 위한 위계 높은 도로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규칙의 지방도 안내지명 선정에 대한 선정원칙을 재검토하고, 지방도의 적절한 안내지명 선정을 위해서 타 노선과의 연계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노선연계 유형을 기반으로 노선별 거점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안내지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각 노선별 거점을 중요지와 주요지로 구분하여 정의, 선정하여 안내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내지명서정요령 및 틀을 통해 지방도내의 및 지방도와 기타도로와의 연계성이 더욱 고조되고, 안내체계의 효율성의 증대가 기대된다.

Recognition of Classification of Traffic Sign Images Using CNN (CNN을 활용한 교통 표지판 이미지 분류 인식)

  • MunJeong Kim;Sinrock Chae;EunKi Hong;Min Hwangbo;Yoo-Ji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17-31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자동차가 각 국가별 교통 규칙 및 도로 표시를 이해하고 정확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Deep Neural Network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도로교통공단(koroad)에서 제공하는 교통안전표지 일람표 이미지를 학습하여, 차량이 자율주행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학습 시스템으로 도로교통표지판의 인식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량이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 및 고령운전자를 위한 지원 역시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river's Preferences of Prividing Direction Information in Road Signs (방향표지 정보제공 방법에 대한 운전자 선호도 연구)

  • Chong,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69-76
    • /
    • 2015
  • Although traffic information has been actively analyzed using big data, it has not been used as much with the consideration of driver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oad signs can directly affect the driver. Road signs must provide the optimal information that enables drivers to reach their destinations with ease as well as information suitable for navigation systems. However, present road sign rules provide standardized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road type or siz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providing road information that will help drivers determine their behavior. First, the minimum character size that can be used on a road sign for each design speed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visibility and decipherability of a road sign. Instead of conventional diagram-based direction guidance, a scenario using split-based direction guidance was crea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vided information, a three-dimensional simulated road environment was constructed, and a driving simulator was used for the test. At a simple plane intersection, the driver was not greatly influenced by directional guidance, but at a complex,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the driver preferred summary-based directional guidance, which is instinctive guidance, over diagram-based guidance.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s, a secondary verification test that applied split-based guidance at a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confirmed that the driver had no problems in making decisions.

A Study on Korean-English Legend Configuration for Guide Signs (안내표지의 국·영문 문안 배치 연구)

  • Lee, Jae-Young;Choi, Keech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1D
    • /
    • pp.17-24
    • /
    • 2011
  • In recent, the enhancement of guide signs system for expressway were studied. And newly suggested signs in that research show left-right bilingual (Korean/English) configuration of 2 destinations whereas existing signs showed top-bottom configuration. However the new configuration have not been evaluated with discreet examination. In this study, several bilingual configuration designs are developed and evaluated with human factors experiment. Therefore the design with the shortest legibility time were chosen as a best design. As a result, the fact that the change of Korean/English configuration shows different results of the legibility time was confirmed. The guide sign with left-right bilingual (Korean/English) configuration of 2 destinations showed less legibility time than that of the existing signs with top-bottom configuration.

Controlling Dynamic Vehicles in Driving Simulation (드라이빙 시뮬레이션에서의 동적 차량 제어)

  • Cho, Eun-Sang;Choi, Kwang-Jin;Ko, Hy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 no.1
    • /
    • pp.37-47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the algorithms for generating ambient traffic in driving simulation. Each ambient car is modeled as an autonomous agent that obeys the traffic rules by sensing the traffic lights, road signs, lanes, and other cars around. The algorithm is localized to the area where the car driven by the participant is currently located. Therefore the complexity of the algorithm does not depend on the size of the road network, allowing a huge environment to be simulated with no extra overhead. To avoid monotony, we produce artificial fluctuations in the behavior by employing various form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The resulting behavior of the ambient cars is quite realistic. Experiments indicate that it is hard to tell whether an ambient car is computer-controlled or human-controlled.

  • PDF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Methods and Range of Autonomous Vehicles and Human Vehicles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의 인지 방식과 범위의 차이에 따른 교통안전시설 설치 및 운영 개선방안 연구)

  • Hyeokjun Jang;Eunjeong Ko;Eum Han;Kitae J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311-326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using a microscopic simulation by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method and range of autonomous vehicles and human vehicles. In this study, the existing 『Traffic Safety Sign Installation·Management Guidelines』 was reviewed, and safety signs among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hanges in vehicle behavior. Subsequently, for the classified facilitie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raffic sign was changed through simulation experiments, and the optimal location was inferre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is study confirmed how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based on the visibility of human drivers affect road efficiency and safety in mixed traffic flow with autonomous vehicles and human-controlled vehicles. The optimal location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revising the guidelines on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edestrian crossing (횡단보도설치취소소송에서의 소송요건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홍성필;박영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79-192
    • /
    • 2002
  • 주차금지, 일방통행. 본 논문에서의 횡단보도와 같은 교통표지는 개별적 행위로서 행정행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행위를 추상적으로 규율하는 특성을 지닌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횡단보도의 설치여부는 지방경찰청장의 재량 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 경찰이 횡단보도를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의 횡단보도를 폐지하는 경우 관할 경찰청은 물론 관계 행정청에 이를 설치 혹은 폐지해달라는 민원이 매우 많아 일선 경찰공무원 등이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으며 급기야는 본고에서 검토할 사례의 경우와 같이 행정소송을 통해 뜻을 관철하고자 하는 경우까지 생겼다.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이 이제 처음 나왔지만 시민의 권리의식의 향상에 따른 소송의 증가경향으로 미루어 앞으로 이와 유사한 문제제기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행정소송에 대한 최근 대법원판결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와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즉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적법성과 관련한 소송에서 가능한 본안심리를 통해 국민의 권익구제의 기회 내지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과 현재 원고적격의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앞으로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원고적격의 범위 역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방향에서 법규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횡단보도의 설치 및 폐지에 따른 경찰 등 관계 행정청의 관심과 신중을 촉구하였다. 또한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처분성과 관련하여 횡단보도의 설치행위와 같은 일반적인 명령을 항고소송의 대상으로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면 이른바 독일에서의 일반처분이라는 개념을 무리하게 받아들여 이를 행정행위의 한 유형으로 한다거나 우리 판례와 같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법적 효과"를 미치는 명령이라는 명확치 않은 기준에 의하여 처분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일반적인 명령과 개별적인 행정행위를 구분하고 명령에 대하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