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평가

Search Result 2,6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Road Plan using Information Measure Technique and GIS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도로계획의 평가)

  • Na, Joon-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39-246
    • /
    • 2007
  • 공공시설 중 도로계획의 경우 건설과정 및 건설 후의 소음 및 오염 등의 환경 사회적 비용 및 주행성 안전성 등 요소의 평가 등을 수량화가 어려운 대표적 비용으로 들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량화가 어려운 비용 효과들을 포함하여 고려한 도로노선계획결과를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량'이라는 통일된 단위로 표현하고, 기존 시설물과의 관계로부터의 '정보편익' 개념으로 평가하였다. 정보계측기법은 인간은 언어를 통하여 모든 사물을 정보로 표현하므로 '정보'라는 통일 된 단위를 사용하여 모호한 가치를 평가해 보고자 하는 방법이며, 따라서 공공시설의 계획과정에서 최적해를 찾기 위한 비용, 편익 및 환경 사회적 요소 등의 정량화되기 어려운 가치를 평가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건설시 발생하는 비용과 직접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계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도로 주변 시설간의 편익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편익모형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실제 도로계획 사례에 적용한 결과 비용과 직접효과만을 고려한 시설정보계측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설계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시설정보편익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계획 평가에서 고려할 수 없었던 요소들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odel for Highway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2차로 도로선형 설계일관성 평가기준 개발)

  • Lee, Su-Il;Lee, Su-Beom;Kim, Jeong-Hyeon;Kim, Jang-Uk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02a
    • /
    • pp.306-314
    • /
    • 2007
  • This paper is to develop a model for evaluation of highway alignment design considering the driver's behavior in order to enhance the highway safety. Under the conditions, this research included a new evaluation criteria development and an analysis on how to change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roadway alignments, to evaluate safety. The vehicle spacing and speed deviation are suggested as new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criteria model can be used to compare the anticipated safety performance of two or more geometric alternatives for a proposed highway improvement.

  • PDF

Analysis on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 of Construction Phase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s (도로건설사업 시공단계 성과평가 프레임워크 연구)

  • Mun, Junbu;Lee, Kangwook;Yun, Sung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801-809
    • /
    • 2023
  • Road construction projects have a long duration so cost overruns and schedule delays are occurred. However,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can manage and prepare for this in advanc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road construction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during under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performance assess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prepare for similar project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to evaluate construction phase performance and present a performance management plan using road construction information. Also, This study conducted time adjustment between the start and the finish of the project and developed performance metrics based on absolute and relative indicator. This study analyzed the cost, schedule, and changes of the road project construction process, showing the possibility of advanc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how to use it when planning new road construction projects.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Using High-precision Maps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차로 이탈 경고장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Uck, LEE;Duck-Ho,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4
    • /
    • pp.181-199
    • /
    • 2022
  •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was derived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car and the location of the high-precision map using a high-precision map.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mood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for the installation of road markings in Korea were analyzed, a high-precision map was constructed to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an evaluation system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y. Evaluation of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s using high-precision maps can be quantified and applied to various road environments through accurate location-based comparative analysis and reduced manual post-processing work time to confirm evaluation results.

Precise Road Map Objects Analysis for Autonomous Driving Test Case Construction (자율주행 단위시험환경 구축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객체분석)

  • Park, Jong-bin;Kim, Kyung-won;Lim, T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9-270
    • /
    • 2022
  •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 평가, 성능 평가, 안전성 평가 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평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제 주행을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현실의 도로 상황을 고려한 단위시험환경들을 조합 구성한 통합시험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단위시험환경은 도로망 구성, 장애물, 표지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밀도로지도를 기반으로 주행차량수, 보행자, 기상환경, 동적 이벤트 요소 등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위시험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정밀도로지도 처리 방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밀도로지도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설계하고, 정밀도로지도 객체분석을 통해 시험환경의 특성 및 상호 유사성을 파악한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배포한 정밀도로지도를 사용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했으며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확인했다.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향후 자율주행 학습을 위한 단위 및 통합 시험환경 구축 및 법규 및 규제 대응 서비스 시나리오의 구성에 활용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f Air Dispersion Models, in Roa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도로환경영향평가 시 대기확산모델의 적합성 연구(CALINE4와 CAL3QHCR 모델을 중심으로))

  • 김아름;구윤서;전의찬;강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5-306
    • /
    • 2003
  • 현재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체사업 가운데 도로사업을 통한 환경영향평가의 비율은 60%이상으로 다른 영향평가에 비해 상당한 부분이며, 또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총 오염물질 중에서 도로상의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최대로 70%까지 차지한다. 위와 같이 도로상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파악하기위해서는 도로 주변에서의 현지측정을 통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나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하여 도로상의 오염물질의 영향을 예측한다. (중략)

  • PDF

Autonomic Responses of Passenger caused by Rough of Roads (도로표면의 기복에 따른 자동차 탑승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 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김유나;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33-437
    • /
    • 1999
  • 본 연구는 도로표면의 기복 또는 굴곡의 변화가 자동차 탑승자에게 미치는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도로를 각각 30 km/h의 속력으로 정속 주행하면서 ECG, GSR, Skin Temperature 의 생리변화를 3분간 측정하였고, 주행 후에는 각각의 도로 주행시 느꼈던 감성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지로 검정하였다. 건강한 5명의 지원자가 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도로표면의 기복의 변화로부터 유발되는 감성에만 집중하도록 요구하여 다른 간섭효과로부터 유발되는 감성의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정차에 비해 각 도로 주행시 피험자는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도로 순서로 불쾌도와 긴장도가 증가하였다고 주관적 평가를 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도로 순서로 평균 R-R 간격이 점차 감소하였고, GSR의 진폭은 증가하였으며, 피부온도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도로표면의 기복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평가결과와도 일치하였다.

  • PDF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Model and Analysis of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Appraisers for Scenic Roads (경관도로의 평가모형 구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 Kim, Hyeong-Cheol;Jo, Eung-Rae;Jang, Seu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31-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n evaluation model and to select evaluation factors for designing scenic roads and designating existing roads as scenic roads. The definition of a "scenic road" contains the purpose not just of travel or access but visiting itself. The value of a scenic road can be enhanced through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road or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objective scenic road selection and evaluation, the authors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is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The weighting value was 0.382 for the value of landscape along the road, 0.154 for the value of landscape in the road, 0.269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and 0.196 for the management of the 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