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복구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ep-learning-based GPR Data Interpretation Technique for Detecting Cavities in Urban Roads (도심지 도로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GPR 자료 해석 기법)

  • Byunghoon, Choi;Sukjoon, Pyun;Woochang, Choi;Churl-hyun, Jo;Jinsung, Y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5 no.4
    • /
    • pp.189-200
    • /
    • 2022
  • Ground subsidence on urban roads is a social issue that can lead to human and property damag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in advance and repair them. Underground cavity detection is mainly performed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s.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s a massive amount of GPR data needs to be interpreted, and the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skills and subjectivity of experts. To address these problems, researchers have studied automation and quantification techniques for GPR data interpretation, and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we described a hyperbolic event detection process based on deep learning for GPR data interpretation. To demonstrate this process, we implemented a series of algorithms introduced in the preexisting research step by step. First, a deep learning-based YOLOv3 object detection model was applied to automatically detect hyperbolic signals. Subsequently, only hyperbolic signals were extracted using the column-connection clustering (C3) algorithm. Finally, the horizontal locations of the underground cavities were determin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hyperbolic event detection using the YOLOv3 object detection technique achieved 84% precision and a recall score of 92% based on AP50. The predicted horizontal locations of the four underground cavities were approximately 0.12 ~ 0.36 m away from their actual locations. Thus, we confirmed that the existing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 is reliable with regard to detecting the hyperbolic patterns indicating underground cavities.

Comparative Study of Bridge Maintenanc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Japan, and Korea (교량 유지관리 프로그램과 보수보강 공법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 Jeong, Yo-Seok;Min, Geun-Hyeong;Lee, Il-Keun;Youn, Il-Ro;Kim,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5
    • /
    • pp.114-126
    • /
    • 2021
  • This paper compared bridge maintenance in United Stated, United Kingdom, Japan, and Korea. Bridges play an essential role in transportation network and in the economic production process. To provide a desirable level of service to the public within limited budgets, it is required to provide effective bridge maintenance activities (e.g. inspection and repair/rehabilitation) at acceptable level of bridge service. A number of bridges are expected to age rapidly in Korea, which will be the excess burden of government. Since several countries have experienced a number of deteriorated bridges because of aging, the countries aforementioned in this study have already developed comprehensive bridge maintenance programs such as inspection practice and repair/rehabilitation technique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and to compare useful knowledge on bridge maintenance and bridge crack repair/restoration of deteriorated concrete bridge in the four countries. Finally, recommendations that will serve as guidance to transportation agencies for potential enhancements to bridge maintenance and bridge repairs are presented.

Case Studies on Countermeasures and Failure Types of Gneiss Slopes (홍천지역의 편마암 절토사면 붕괴유형 및 대책사례)

  • Yu, Byeong-Ok;Jang, Hyeon-Ik;Kim, Gyeong-Seok;Na, Gwang-Hui;Han, Won-Jun;Kim,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35-45
    • /
    • 2006
  • 강원도 홍천일대의 지역은 경기육괴의 편마암이 주암종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대규모의 홍천단층이 지나고 있다. 과거 이 단층대 부근에서 건설된 도로건설시에 발생된 많은 절토사면의 붕괴를 통해 그 원인 파악 및 차후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은 붕괴를 토대로 붕괴의 원인 및 대책방안을 파악하고자 한다. 홍천일대의 사면붕괴를 유발시키는 원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 지질구조적인 요인을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사면방향으로 발달하는 편마암내에 발달하는 엽리면을 따라 붕괴가 발생되는 사례가 있고 둘째는 단층파쇄대 및 단층대를 따라 붕괴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대별할 수 있다. 두 번째의 요인은 비교적 규모가 큰 사면붕괴를 유발하게 되고 막대한 복구비용이 수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단층의 수반에 의해 발생되는 절토사면은 대책방안으로 사면경사완화 방안, 앵커 및 억지말뚝과 같은 보강방법에 의해 안정화를 시키는 사례가 주를 이루었으며 차후 이 일대의 건설공사시에는 단층대의 방향 및 규모에 대한 조사를 세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tical Study for Determining Optimum Section and Trench Range on Soft Counter Weight Fill (연약지반상 압성토의 최적단면 및 측구위치 결정을 위한 해석적 연구)

  • Park, Jongcheol;Chang, Yongchai;Baek, Incheol;Jung, D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4 no.1
    • /
    • pp.51-58
    • /
    • 2015
  • The counter weight filling is a technology to accumulate soils on the side of berm with a proper width and heigh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This study aims to assess a feasibility of the counter weight filling in the construction of pavement roads for recovery of shear failure during the construction. An effective counter weight filling section was suggested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ive counter weight filling section is two-fold (x2) higher than the ratio of width in counter weight filling : embankment height and one third (1/3) to the ratio of height in counter weight filling : embankment height. Also a range of effective trench crossing the counter weight filling required when a trench crossing counter weight filling is installed was suggested by supplying a proper distance between the counter weight filling section and cross-sectional trench.

Development of Database System(DB/SLOPE) for Management of Cut Slope in Highway (고속도로 절토사면 관리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프로그램 개발)

  • 유병옥;황영철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1 no.3
    • /
    • pp.206-216
    • /
    • 2001
  • Many failures in cut slopes occur during and following road construction. Failures are caused, in part, by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ock mass including its geologic structure. The stability of rock slopes is closely related to factors that include the type of rock, development of geological structures,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and the shape of the geologic featur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rock mass in the evaluation of rock slope stability. In spite of investigation from many slope failures, these information data were not systematically stored and not efficiently utilized. In this study, a Database system named DB/SLOPE was developed using Oracle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cut slopes. The developed database system can be used to estimate of slope stability and to predict of slope failure.

  • PDF

Overseas Design Introduction of Road Rehabilitation Project in Keshim~Faizabad, Afghanistan (아프가니스탄 케심-파이자베드간 도로복구사업 해외설계 사례)

  • Jeong, Dong-Ho;Kim, Woo-Sun;Kim, Gee-Baek;Jeong, Won-Joon;Lee,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569-580
    • /
    • 2008
  • If slope height was more than 20 meter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stereographic projection and limit equilibrium at this slope. We proposed reduction of slope face angle and reinforcement of rock bolt depending on analysis. Blasting design : Standard pattern based on result of local test blasting was made for blasting design. Vibration criterion was set for less than 3.0mm/s because of outworn buildings and inhabitants opinions. Production blasting and Controlled blasting has been done as Construction standard pattern. After Vibration Monitoring has been done, so that we can control of complement. "Bidding Document" and AASHTO 2001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ere so for design criteria of earthwork but they were different actual design criteria and left something to be desired in Afghanistan. Therefore, although "Bidding Document" and "AASHTO 2001" were basic design criteria, domestic design criteria was reflected in this design criteria for complement by discussion with supervisor. Drainage design : For stability ratio, ditch of arch block and stonework was designed by rainfall data for the 13 years and discussion with supervisor. Pavement was designed as flexible pavement. Because these days in Afghanistan postwar repair works, especially urgent repairing of roads and newly making of roads, are very highly in progress, I think that Afghanistan is the region about which our construction technical experts should have great concerns.

  • PDF

Study on Corresponding Water Level to Inundation of Ungaged Point using 1D Hydraulic Analysis Mode (1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미계측 지점 침수대응수위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Keuk Soo;Kwak, Jae Won;Ro, Young Sin;Park, Yo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8-338
    • /
    • 2017
  •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 복원사업, 또는 하천재해예방 사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하천정비사업은 홍수재해예방, 생태하천 복구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정비사업은 공원, 캠핑장, 주차장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의 친수공간 조성은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에 대응하는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중소규모의 유량에 대한 홍수위험도도 함께 증가시켰다. 친수공간 및 교량하부도로 등 저수위에 대한 홍수취약구간의 홍수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험지점의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지점에 대해 수위관측을 실시하여 홍수예보시스템에 의해 홍수예측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수공간에서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의 지형정보가 인근의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 및 홍수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구역내 위치한 친수공간에 대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수위관측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의 침수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부에 대해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목표로 하는 친수공간에 대한 유량별 수위에 대한 침수도표를 작성하였다. 본 방법론과 이에 의해 작성된 친수공간의 침수도표는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침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Autonomous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형 교통정보 응용에 대한 연구)

  • Oh, Am-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6
    • /
    • pp.827-83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event secondary traffic accidents with high severit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s through analysis of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detectors and various algorithms used to detect unexpected situati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meaningful present that analyzing the 'unexpected situation that causes secondary traffic accidents' and 'Existing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ccordingly presenting a solution that can preemptively prevent secondary traffic accidents, 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that enables accurate information collection on all sections of the roa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reached 97% based on 95%, the data transmission speed averaged 209ms based on 1000ms, and the network failover time achieved targets of 50sec based on 120sec.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Types for the Management of River Project (하천사업 공사관리를 위한 공종 표준화 방안 연구)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6-486
    • /
    • 2021
  • 국가에서는 수해예방 및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하천사업을 수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하천정비 및 재해복구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나, 체계적인 공사관리와 산출물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을 통해 하천공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총 공사비, 참여업체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정관리 및 예산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부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하천사업 공종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을 통해 건설공사의 공종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제2장 하천공사' 내에는 사석, 돌망태, 하천호안공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 하천공사 공종 표준화를 진행하게 될 경우 공종별 공사 세부정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현재 하천을 관리 중인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 하천사업을 수행 중인 기관의 시스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하천사업 공종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등기 수립된 지침 및 기준을 통해 건설토목공사 시의 공종을 조사·분석한 후, 하천공사 준공보고서 및 감리보고서 등 공사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공사에 주로 수행되는 공사들에 관한 종류를 도출하였다. 이후 건설토목공사 공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하천공사에서 주로 수행되는 공종을 도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사업 공종의 경우 향후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지반침하의 사전 예측을 위한 지하수 관리방안)

  • Chae, D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8-58
    • /
    • 2020
  • 최근 급속한 지하공간의 개발로 인해 도로함몰 등 지반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이에 대한 안전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됨에 따라, 원인규명 및 대책방안을 두고 다양한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개발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 내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출될 경우 지반함몰이나 붕괴로 이어져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지반침하를 감지할 수 있는 경보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개발과 관리기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 개발 시 적용되는 지하수 관리 매뉴얼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계측관리 부분에 관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측 관리 및 행정 절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지중에서 발생하는 토립자의 이동, 공동발생 및 지반함몰의 거동은 근본적으로 지하수의 이동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그 규모는 유출지하수량의 발생규모와 상관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계측 관리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지중 굴착 시 계측되는 유출지하수와 지하수위를 연계하여 분석하여 기준을 마련하였고, 추가로 지하수 내 탁도 값을 측정하여 이를 더하여 서로간 상관성 분석을 통해 기존 지하수위 계측자료의 관리기준을 보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에서의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계측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위험도가 감지될 경우 공동발생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방안이 제시되며, 문제 발생 지점의 범위를 국한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지하수법의 개선과 행정적 절차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하공간 개발 시 지하수 관리의 개선으로 사전에 지반침하를 예측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설산업 현장의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성하여 미래 지향적인 토목현장 및 국민에 대한 신뢰도를 재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