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명 주소 인식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방윤식;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23
    • /
    • 2016
  •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음성 기반 도로명 주소 인식 및 주소 검증 기법 (A Method of Recognizing and Validating Road Name Address from Speech-oriented Text)

  • 이건수;김중연;강병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39
    • /
    • 2021
  • TV홈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 과정에서, 전화망을 통한 배송지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동시에, 서비스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자동화 적용 대상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음성으로 기록된 배송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및 검증하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방법은 음성 기반의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첫 번째 기능은 한글 발화문으로 부터 원래 주소의 표기 형태로 올바르게 변환하는 것이고, 두 번째 기능은 음성 녹취 과정에서 주소의 구성 요소별 순서 변화 혹은 동일 구성 요소의 중복 발화 같은 주소 잡음을 처리하는 것이며, 마지막 기능은 띄어쓰기 처리를 통한 최종 주소의 가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 주소 DB와 행정안전부의 주소 DB를 사용하였으며, 통화에서 획득한 주소 발화로부터 도로명 주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주소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의 구현 결과물은 STT를 통한 발화 인식 결과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이용한 표준 입출력으로도 입력 채널을 확장하여, 주소 검증이 필요한 비음성 기반의 서비스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방법은 주소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 잡음에 강건하게 동작했지만, 요소 생략의 경우 오작동 경향이 존재했다. 이는 생략된 요소에 의해 하위 요소의 지역을 명시하지 못하는 경우 처리하지 못한 모호함 때문이었다.

사물주소 부여대상 확대 방안 연구 (A Study on Extending of the Addressable Object of Address of Thing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75-87
    • /
    • 2024
  • 사물주소는 공법 상 주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행정력 측면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위치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도로명주소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더 유연하고 세밀하게 위치표현이 가능하므로 도로명주소와 함께 전 국토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부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 도로명주소법, 건축법, 주소정보기본도작성·관리규정 등의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명주소와 사물주소를 비교한 결과 사물주소체계가 가진 근원적인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제도척 측면과 부여대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물주소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주소부여대상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통일을 통해 상하위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고, 둘째 건축법 상건물 중 거주에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에는 사물주소로 통일하여 부여하며, 셋째 사물주소 부여대상을 지형지물의 유형별로 주소정보기본도의 등록사항을 구분함으로써 이종의 공공데이터와 연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부여대상 측면에서는, 첫째 특정 시설물에는 모두 사물주소가 부여되어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범주의 모든 시설물에 부여해야 하고, 둘째 아무런 시설물이 없어도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우편 물류 환경에 새주소 체계 도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Impact and Correspondence for Introduction of New Address System in Postal Logistics Environments)

  • 박정현;김호연;박종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16-2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도로명과 건물 번호에 기초한 새주소 체계를 우편 물류 환경에 도입하므로 발생되는 문제점과 영향 요소를 기술하며 각각의 영향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을 모색한다. 새주소 체계는 우편물의 접수 및 구분 및 배달 과정에서 모두 영향을 주며 현재의 정보 시스템이나 우편물 구분 장치에도 직.간접을 영향을 주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관리하는 우편 주소 관리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고, 아울러 기존의 지번 주소와 새주소의 매칭 테이블 구축 및 집배구 수작업 구분 환경 개선 등이 요구되며, 중.장기적으로는 새주소 DB 구축을 통한 우편물 구분 장치의 새주소 인식 기능 개선 및 새주소 체계에 적하한 우편번호 및 집배구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

  • PDF

간판의 정보화를 위한 표준 데이터 모델 설계 (Design of Standard Data Model for the Informatization of Signboards)

  • 권상일;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7-209
    • /
    • 2020
  • 간판은 점포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과 크기로 건물에 설치되어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잦은 점포의 개업·폐업과 부족한 관리 인원으로 간판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옥외광고물 관련 시행령의 간판 표시방법을 분석하여 간판 표준 데이터의 속성 요소를 정의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인 간판 인식 기술을 통해 간판의 물리적 정보를 얻고, 맨눈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 행정안전부의 건물통합정보, 도로명 주소를 통해 간판 표준 데이터의 속성 요소를 정의하였다. 간판 표준 데이터는 호환성을 위해 XML 형식으로 설계하였고, XML의 무결성을 위해 XSD를 정의하여 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판의 정보를 공간적 특성에 의해 표준화하기 위하여 국가 공간정보 표준에 따라 데이터 제품 사양과 메타데이터를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간판의 정보화를 위한 표준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