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뇨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배뇨곤란 대상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cenario-Based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Urination on Nelaton Knowledg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안준희;황은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57-63
    • /
    • 2021
  • 본 연구는 배뇨곤란 환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수집하였으며 J시내에 위치한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간호 대학생 75명을 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8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test, independent t-test와 paired-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순도뇨 자신감(t=4.60, p<.001)과 단순도뇨 술기능력(t=3.46, p=.001)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뇨곤란 사례기반 교육은 단순도뇨 자신감, 단순도뇨 술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 중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배뇨장애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Voiding Dysfunction After Hemorrhagic Stroke Patients)

  • 문학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02
    • /
    • 2015
  • 본 연구는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배뇨장애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연구로서 환자의 나이와 출혈 부위는 배뇨장애와 관련성이 없었으며 출혈량이 많을수록, 입원기간이 길수록, 유치도뇨 기간이 길수록 GCS점수가 낮을수록 배뇨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뇨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치도뇨 유지기간만이 유의하였으며, 유치도뇨 기간이 1일씩 늘어날 때마다 배뇨장애가 발생할 확률은 1.18배씩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유치도뇨 동영상 촬영을 이용한 토의식 동료평가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 천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on nursing students using videos filmed during the catheterization procedure. Method: The study was a structured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ilmed performing foley catheterization. After the procedure, the group video review followed and peer feedback was provid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ttitude and self 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deo-aided peer feedback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psychomotor skills.

구조화된 객관적 임상수행평가 모듈개발 활동이 도뇨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Method using the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on Urinary Catherization)

  • 엄미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9-430
    • /
    • 2018
  • 본 연구는 배뇨간호에서 간호학생의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모듈개발 활동의 교육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이다. OSCE 모듈개발 활동에 참여한 실험군은 전통적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단순, 유치도뇨에 대한 지식, 수기술, 학습만족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OSCE 모듈 개발 활동이 간호학생들의 간호수기술과 이에 따른 지식 습득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OSCE 모듈개발 활동을 간호수기술교육방법론으로 추천함과 동시에 추후 다양한 실습교육방법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Re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and Confidence)

  • 정명숙;권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295-302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재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지식, 태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3학년 34명이었다. 실험처치 및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 14일부터 12월 29일까지 시행되었다. 재교육 전과 후에 간이혈당 검사를 포함한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술 및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지식, 태도, 자신감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교육 전에 비해 재교육 후의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수행능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p<.001), 피하주사 및 유치도뇨 수행 자신감(p<.001)도 재교육 후 유의한 증가를 보여 융복합기반 재교육 프로그램이 졸업 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후속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근거기반 도뇨관련 요로감염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반영 현황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 김윤희;장금성;정경희;최자윤;양진주;박순주;박현영;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44-357
    • /
    • 2017
  •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간된 기본간호학 교과서 14개로써 이론서 7개와 실습서 7개로 구성되었고,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5개의 도뇨관련 요로감염예방 실무지침으로부터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91개 권고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기본간호학 이론서와 실습서의 총 반영률은 각각 23.0%와 15.2%이었다. 이론서에 반영률이 가장 높은 영역은 도뇨관 유지 영역이었고 실습서는 도뇨관 삽입 영역이었다. 반영률이 50%이상인 개별 권고문항은 총 91개 중 16개이었고 이중 도뇨관 유지에 관한 권고문항이 8개(50.0%)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지만 상반되게 기술된 개별 권고문항은 총 9개 이었고, 요실금 관리를 위한 도뇨, 도뇨관의 정기적 교환, 도뇨관 제거 전 방광훈련과 회음부 간호의 순이었다. 향후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개정할 때 오류내용이 우선 교정되어야 하고 근거기반 실무지침 권고내용에 대한 반영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수용개작방법을 활용한 간헐도뇨 간호실무지침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 on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ization by Using Remake Process)

  • 정인숙;정재심;서현주;홍은영;박경희;정영선;최은경;권경민;유양숙;이연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3호
    • /
    • pp.285-29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ng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ization (IUC) related complications using guideline remake process. Methods: Guideline remake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loped by Gu et al (2012) which consisted of three main phases and 9 modules including a total of 24 steps. Results: Newly developed IUC guideline consists of introduction, overview of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summary of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references, and appendices. There were 50 recommendations in 5 sections including assessment, equipments, catheterization, complications management, and education/consult. Three recommendations (6%) were graded A, and five (10%) and 41 recommendations(82%) were B and C,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UC remade-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evidence-based nursing and therefore, this guideline is recommended to be disseminated and utilized by nurses nationw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IUC and to decrease the IUC related complications.

배뇨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재활대상자의 잔뇨량, 도뇨횟수, 배뇨불편감, 요로감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Residual Urine,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Urinary Discomfort,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 송영애;이정희;정지영;김난지;양이은;신채원;조문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2-141
    • /
    • 2016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the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urinary disord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23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Nov. 25, 2013 to Nov. 25, 2014 in acute rehabilitation inpatient wards. For the final analysis, 35 patients' data were utilized 17 in the control group and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eveloped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was continued for 7 days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logging urination, monitoring timely voiding, assisting urinary elimination, and stimulating urination using sound. The data were analyized using the SPSS-win (version 21). Results: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the urinary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residual urine and the occurr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rinary elimin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urination disorder could be useful in decreasing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the urinary discomfort.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김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41-249
    • /
    • 2018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서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의 활용이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행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C대학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48명(실험군 75명, 대조군 73명)이 참여하였다.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만족도, 유치도뇨 및 단순도뇨의 수행력과 수행자신감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경구투약의 수행력 및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급변하는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