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가사상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 「심기리편(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aoism Theory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ynasty)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9-32
    • /
    • 2014
  • 조선 도가사상 연구는 지금까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조선시대 5권의 "노자" 주석서와 2권의 "장자" 주석서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선전기의 도가사상 전개를 고찰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개국초기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정도전의 "심기리편"과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에서 임란 이전까지 200여년 간의 사료 안에서 도가 사상에 대한 언급을 발췌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정도전과 권근은 도가를 '도덕이 없는 양생술의 추구'로 비판하였다. 도교와 불교의 비판 위에서 성리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조선왕조실록"에서 도가는 세 가지 단계로 변용(變容)된다. 첫째는 '노자'를 장생의 사술, 신선의 방술, 도교의 최고 신으로 환치시켜 이단시하고 배척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1차적인 배척의 논의에서 벗어나 도가사상의 핵심으로서의 "노자"와 '신선술' 및 기복신앙의 대상이 되는 '도교 신'인 '노자'와 분리해서 보려는 단계이다. 셋째 3차 논의는 "노자"의 정치술과 처세술에 대한 존숭으로 드러난다. 즉 조선 전기 도가 사상은 건국초기에서 15~16세기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강력한 벽도불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전개된다. 이러한 점은 조선 전기의 도가를 단순히 성리학의 도통관에 따른 이단논리로 해석할 수 없는 지점이다. 건국 초기의 벽이단론에서 도가에 대한 온정적 태도를 취하게 되고, 유학과 사상적으로 융합되는 처세술과 정치술을 수용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노자(老子)'는 비도덕적인 장생불사(長生不死)의 탐욕을 가진 이단(異端)에서 유교국가의 처세술과 정치술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은 조선 후기로 가면 도가서(道家書)에 대한 적극적 해석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최인호의 『상도』에 나타난 동아시아 사상 (The East Asian Ideology in Choi In-ho's Novel, The Way of Merchant)

  • 음영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58
    • /
    • 2017
  • 본 연구는 동아시아 담론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최인호의 "상도"을 연구한 것이다. 요약하자면, 인간의 욕망을 극대화한 근대적 삶은 개인에게는 소외된 삶을 가져왔고, 국가 간에는 냉전이데올로기에 따른 여러 분쟁을 낳았다. 최인호의 "상도"에 나타난 도가사상은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중국고대 천관에서 본 도가의 사상 (Taoism in Ancient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T'ien(天))

  • 임정기
    • 철학연구
    • /
    • 제139권
    • /
    • pp.191-211
    • /
    • 2016
  • 본 연구는 학파 중심의 사상사 연구에서 벗어나, 시간의 흐름에 동반하는 지식의 변화 속에서 도가사상의 흐름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노자"와 "장자"의 도와 천을, 그 당시의 천 사상위에서 이해해보고자 하고 있다. 그 당시의 천에 대해서는 "맹자"에 나타나는 천을 기준으로 했다. "맹자"에 나타나는 천에는 두 가지 모습이 있는데, "노자"와 "장자"의 천에도 두 가지 모습의 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노자"와 "장자"의 천의 두 가지 모습을, "맹자"의 천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을 검토했다. 그리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은 왕충의 천론을 밝히고, "노자"와 "장자"의 천론이 후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다. 또한 왕충의 천론과 "노자"와 "장자"의 천론의 관계를 밝히는 과정에서, 거꾸로 "노자"와 "장자"의 천론이 그 이전의 천론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가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와 함께 "노자"와 "장자"의 도의 모습도 밝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도교(道教)와 신도(神道)의 신인관계(神人關系)에 대한 비교 분석 -<일인지하, 2016>,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God-man Relations of Taoism and Shinto implemented in Animation Films, and )

  • 한저;이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26
    • /
    • 2018
  • 중국 도교와 일본 신도는 동아시아 고유의 종교 사상이자 정신세계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두 종교는 각각의 독특한 창세신화를 바탕으로 신들의 유래와 인간에 대한 해석, 그리고 신과 인간의 관계를 신화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전래되고 있다. 도교는 자연에 삼라만상을 이루는 천사상, 무상한 자연 속에서 장생 할 수 있는 신선사상, 노장자의 도가사상이다. 신도는 모든 물체 안에 영이 존재한다고 믿는 원시자연종교의 형태로써 일본인에게 자연은 경외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도교의 신선사상과 신도의 자연 신에서 신인관계의 차이점이 존재하며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도교와 신도의 신인관계는 애니메이션에 차용되었으며, 극의 서사와 상상력을 드러내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교와 신도의 신인관계가 연출된 애니메이션 영화를 중심으로 사례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노자사상(老子思想)과 미스 반 데르 로에(Mies van der Rohe)의 건축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Lao Tzu's Philosophy on Architectural Ideology of Mies van der Rohe)

  • 이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92-99
    • /
    • 2014
  • Quantum theory of Niels Bohr received the Nobel Prize in Physics was rooted to the Oriental thought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陰陽五行', and architect Frank Lloyd Wright is also known as Lao Tzu's thoughts on the best architectural theory. Thus, the western architecture and oriental thought is very similar to the concept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Mies van der Rohe is closely contact with Lao Tzu's Taoism, that is 'The greatest has no boundary 大象無形, Tao Te Ching chap.41' or 'The way to be is not to be 有道者 不處, Tao Te Ching chap.24'. Henc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German architect Mies van der Rohe's 'almost nothing' and the Chinese philosopher Lao Tzu's 'Taoism'.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 고찰 (A Study on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Eastern World Ideology)

  • 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9권2호
    • /
    • pp.1-15
    • /
    • 2019
  • 본 연구는 서비스철학 정립을 위해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인 한국 대표 사상의 서비스철학성 연구에 이어, 동양 주류 사상인 중국과 인도 사상의 서비스 철학으로서의 정합성을 탐색하였다. 서비스철학의 기존 기본구조와 운용모델을 심화하여 제시하고,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도출하였다. 동양 주류사상은 중국사상과 인도사상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인도는 고대 사상이 중심이고, 중국은 고대 및 중세사상을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서비스철학은 서비스의 구조에 대한 사상, 서비스의 운용에 대한 사상 등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를 심화하였다. 서비스의 본질적 특성은 관계성, 쌍방향성, 수평성, 조화성인데 이를 반영한 서비스구조는 유무상생, 즉 제품과 서비스의 상생구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비스의 발전과 운용원리는 정반합의 기본 운용구조를 가지되 그 운용사이클이 신속하고 발전적임을 밝혔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을 제시하였는데, 중국 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대표 사상인 도가 유가와 묵가를 분석하고, 후대의 신유학과 외부에서 유입되어 발전된 중국 불교 사상까지 분석하였다. 인도 사상은 고대 베다의 철학사상, 우파니샤드의 철학, 대표적 불교철학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국과 인도 주류 사상의 큰 흐름에서 서비스철학과의 부합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중국 도가의 무 사상, 유가의 정명론과 인 사상, 묵가의 겸애사상, 인도 바가바드기타의 카르마요가 사상, 불교의 연기사상 등이 모두 서비스 구조 및 운용 철학과 부합한다. 향후 서비스철학의 구조와 운용원리를 보다 구체화하고 큰 사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며, 그리스 로마 및 독일 철학을 중심으로 한 서양 대표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 연구도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미래 경제사회 발전을 견인하는 사상적 기반으로서 서비스철학 정립이 필요하다.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임라산(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 서설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 조한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297-329
    • /
    • 2010
  • 이 논문은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하야시라잔(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정리한 정리형 논문이다. 필자는 '박세당의 『신주도덕경』과 하야시라잔의 『노자초해(老子抄解)』비교 연구'에서 주목했던 점은 첫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 둘 모두 당면한 시대의 사상적 도그마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이 지향한 공통적 사유, 곧 '기성의 질서를 넘어서'라는 사상적 도전 과정에 그들의 『노자』 주석이 그 역할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노자』 해석은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장 이해도 임희일의 연장선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라잔은 『노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장자』에 대해서는 유가적으로 해석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결국 하야시라잔에게 있어서 '임희일의 노장 이해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도가 사상 수용은 일차적으로는 '『노자』 수용'을 의미하며 좀 더 세밀하게 지적한다면 '도가 일반'이나 '『노자』 일반'이 아닌 특정한 하나의 관점 곧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를 수용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임희일 주석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 그는 『노자』와 『장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유가 경전이나 임희일의 주석을 답습하는 간접적 해석 방식을 지양하고 유가와 도가의 사상적 공유지점을 '수신치인(修身治人)'으로 지목하고, 이어서 『장자』「제물론」 성심(成心)의 개념적 내포를 성선론적 성(性)의 개념적 내포와 동치시키는 보다 직접적 방식을 통해서 도가 경전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희일이나 하야시라잔이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수용했던 것과 달리 박세당은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와 『장자』를 수용했다고 비교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서독(書牘)에 나타난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의 사상(思想) 연구(硏究) (A Study on Junghui Kim's Concepts in Seodok(書牘))

  • 권혁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279-304
    • /
    • 2008
  • 본고는 완당(阮堂)의 서독(書牘)에 나타난 사상을 살피기 위하여 "역(易)" 실학(實學)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그 경향에 대하여 논구하였으며, 완당의 도가사상을 파악하는 관점에서 서독에 표출된 도가적 의식도 고찰하였다. 완당의 사상적(思想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위한 "역(易)"의 활용이다. 완당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백성의 생존과 직결되는 음식남녀(飮食男女)였다. 완당은 "역(易)"으로 '수기(修己)'를 하고 "역(易)"을 활용하여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번째는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한 '동서불분(東西不分)'의 경세치용(經世致用) 의식과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자연관이다. 완당은 그 당시의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적극 수용하였으며, 나라를 위하여 서양의 기술을 모방이라도 해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세 번째는 완당의 '무위(無爲)'와 '불언(不言)' 의식이다. 완당은 평소에 저술(著述)이라는 작위(作爲)를 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러한 의식은, 질시와 모함 속에서도 완당의 목숨을 부지(扶持)시키고 양신(養身)으로 연결되도록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는 자연순응(自然順應)과 자연회귀(自然回歸) 의식이다. 이는 그의 농사(農事) 소원과 정치관에서 나타나는데, 임금은 의리(義理)와 예절(禮節)로 백성을 속박하지 않아야 하며 '인정(人情)'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하였다. 요컨대 서독에 나타난 완당(阮堂)의 사상(思想)은 두 흐름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하나는 무위자연(無爲自然) 불언(不言) 자연회귀(自然回歸) 의지를 통한 보신(保身)이다. 다른 하나는 수기치인(修己治人)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인정(人情)을 따른 덕치(德治) 등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 연찬이다. 그런데 '보신(保身)'은 고도의 '수기(修己)'라고 할 수 있으며, 수기치인(修己治人) 등은 백성의 편안한 삶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집약하면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즉 완당의 사상적 특성은 융합된 유가 도가사상을 기저로 하고 있으며,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을 목표로 하여, 시대와 학문의 변화를 살펴서 수용 이용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ll}$동의보감(東醫寶鑑).내경편(內景篇)${\gg}$의 도교사상(道敎思想) 고찰

  • 성호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268
    • /
    • 2000
  • 1613년허준소간적(年許浚所刊的)${\ll}$동의보감(東醫寶鑑)${\gg}$불지시의사학종사자적연구과제(不只是醫史學從事者的硏究課題). 인위(因爲)${\ll}$동의보감(東醫寶鑑)${\gg}$병불시단순적의서(?不是單純的醫書), 이차서구유료도가내단사상급역학사상등철학사고지고(而此書具有了道家內丹思想及易學思想等哲學思考之故). ${\ll}$동의보감(東醫寶鑑)${\gg}$소출간적나시대수연성리학점굴료수위(所出刊的那時代雖然性理學占掘了首位), 단시차서소구적도교색채비임하의서갱농후(但是此書所具的道敎色彩比任何醫書更濃厚). 내경편적체계시피(內景篇的體系是被)${\ll}$황정경(黃庭經)${\gg}$영향적(影響的). 작위수련서(作爲修鍊書), ${\ll}$황정경(黃庭經)${\gg}$시도교주요경전지일是道敎主要經典之一). 비서인위인체즉시신적세계(比書認爲人體卽是神的世界), 인체적각기관우시저사신소주적안댁(人體的各器官又是這些神所住的安宅). 내경편이차(內景篇以此)${\ll}$황정경(黃庭經)${\gg}$위자爲資), 구성료기본체계급기주요내용(構成了基本體系及其主要內容). 우기시(尤其是), 내경편접수도가역학사상이설명천인상응(內景篇接受道家易學思想而說明天人相應). 즉(卽), 내경편접수(內景篇接受)${\ll}$참동계(參同契)${\gg}$주급(注及)${\ll}$회남자(淮南子)${\gg}$등도교문헌리소재적(等道敎文獻裏所載的)'발생론(發生論)', 인이음양오행적정기래해설만물여인지상응관계(因而陰陽五行的精氣來解說萬物與人之相應關係). 차정기계승위내단사상적정기신론(此精氣繼承爲內丹思想的精氣神論). 정여기(精與氣), 기여신(氣與神), 신여정시재우불단지호상접촉호상융화적관계상(神與精是在于不斷地互相接觸互相融化的關係上). 필자인위내경편이정기신론위주(筆者認爲內景篇以精氣神論爲主), 장의서인진료도교수련적경계(將醫書引進了道敎修鍊的境界). 단시(但是), 본론문불지간분석연구내경편소인적(本論文不至干分析硏究內景篇所引的)${\ll}$황제내경(黃帝內經)${\gg}$등의서포함적도교관(等醫書包含的道敎觀). 요시리해(要是理解)${\ll}$동의보감(東醫寶鑑)${\gg}$소인의서적사상기원급기내용(所引醫書的思想起源及其內容), 대연구내경편급(對硏究內景篇及)${\ll}$동의보감(東醫寶鑑)${\gg}$전편적철학성취유흔대적방조(全篇的哲學性就有?大的幇助). 차시필자요계속요연구적과제파료(此是筆者要繼續要硏究的課題擺了).

  • PDF

수치지도 도로사상의 위치정확도 측정방법 (A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al Accuracy of Road Objects in Digital Topographic Maps)

  • 박수홍;구자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19-131
    • /
    • 1999
  • 국내 1:1,000과 1:5,000수치지도의 제작이 완성단계에 이르고 다양한 목적에의 활용이 예상됨에 따라 제작된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제작자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측면에서도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는 사용목적에 따른 판단의 기준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존 수치지도 위치정확도 측정방법은 대부분 표본점의 추출에 의한 통계량 분석에 기초하고 있으며, 최근에 소개된 선형사상의 위치정확도 측정방법도 실폭으로 표현되는 국내 수치지도 도로사상의 정확도 측정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도의 도로사상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를 개발하고 모든 과정을 상용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사례지역으로 서울시 강남구 일부지역을 선정하여 도로사상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