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독(書牘)에 나타난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의 사상(思想) 연구(硏究)

A Study on Junghui Kim's Concepts in Seodok(書牘)

  • 투고 : 2008.11.20
  • 심사 : 2008.12.20
  • 발행 : 2008.12.30

초록

본고는 완당(阮堂)의 서독(書牘)에 나타난 사상을 살피기 위하여 "역(易)" 실학(實學)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그 경향에 대하여 논구하였으며, 완당의 도가사상을 파악하는 관점에서 서독에 표출된 도가적 의식도 고찰하였다. 완당의 사상적(思想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위한 "역(易)"의 활용이다. 완당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백성의 생존과 직결되는 음식남녀(飮食男女)였다. 완당은 "역(易)"으로 '수기(修己)'를 하고 "역(易)"을 활용하여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번째는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한 '동서불분(東西不分)'의 경세치용(經世致用) 의식과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자연관이다. 완당은 그 당시의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적극 수용하였으며, 나라를 위하여 서양의 기술을 모방이라도 해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세 번째는 완당의 '무위(無爲)'와 '불언(不言)' 의식이다. 완당은 평소에 저술(著述)이라는 작위(作爲)를 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러한 의식은, 질시와 모함 속에서도 완당의 목숨을 부지(扶持)시키고 양신(養身)으로 연결되도록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는 자연순응(自然順應)과 자연회귀(自然回歸) 의식이다. 이는 그의 농사(農事) 소원과 정치관에서 나타나는데, 임금은 의리(義理)와 예절(禮節)로 백성을 속박하지 않아야 하며 '인정(人情)'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하였다. 요컨대 서독에 나타난 완당(阮堂)의 사상(思想)은 두 흐름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하나는 무위자연(無爲自然) 불언(不言) 자연회귀(自然回歸) 의지를 통한 보신(保身)이다. 다른 하나는 수기치인(修己治人)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인정(人情)을 따른 덕치(德治) 등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 연찬이다. 그런데 '보신(保身)'은 고도의 '수기(修己)'라고 할 수 있으며, 수기치인(修己治人) 등은 백성의 편안한 삶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집약하면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즉 완당의 사상적 특성은 융합된 유가 도가사상을 기저로 하고 있으며,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을 목표로 하여, 시대와 학문의 변화를 살펴서 수용 이용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raws out the contents related to "Yuk(易)" Silhak(實學), and discusses the tendency in order to review the ideas shown in Wandang's Seodok(書牘). Also, it studies Taoism expressed in Seodok in terms of figuring out Wandang's Taoism. The features of his thoughts are following. The first one is the use of "Yuk(易)" for Soogichiin(修己治人). What he considered most important was Eumsiknamnyu(飮食男女) linked directly to the people's life. He maintained that a country must be ruled by doing Soogi(修己) with "Yuk(易)" and by making use of "Yuk(易)". The next one is both a view of Gyungsechiyong(經世致用) of Dongseoboolboon(東西不分) and a natural view of Iyonghooseng(利用厚生), standing on Silsagusi(實事求是). He actively accepted new learning and concepts those days, and he asserted that Western techniques should be even imitated for the sake of the nation. Thirdly, his view of Moowi(無爲) and Boolun(不言). He didn't use to do any Jakwi(作爲) of Jeosool(著述). This kind of view seems to save his life and be connected to Yangshin(養身) even though others tried to keep a jealous eye on and entrap him. Last, his concept of Jayeonsooneung(自然順應) and Jayeonhoigui(自然回歸). It is shown through his wish of farm work and his politics, saying that a king ought not to bind the people with faithfulness and propriety, and that he ought to rule the nation with humanity. In sum, Wandang's ideas shown in Seodok can be divided into two streams. One is Boshin(保身) through Moowijayeon(無爲自然), Boolun(不言), and Jayeonhoigui(自然回歸). The other is a pursuit of his studies for the purpose of Dukchi(德治) followed by Soogichiin, Kyongsechiyong, Iyonghooseng, and Injung. Here, since Boshin can be said to be advanced Soogi, and Soogichiin and others are connected directly to people's comfortable life, they can be integrated to Soogiianbaeksung(修己以安百姓). In other words, his thoughts were based on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Taoism, and he aimed at Soogiianbaeksung by accepting and using to take a look at the change of period and learn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