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Eastern World Ideology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 고찰

  • Kim, Hyunso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okmin University)
  • 김현수 (국민대 경영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9.04.08
  • Accepted : 2019.06.14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philosophy of Eastern mainstream thought in order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Following a prior study the "stud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we explored the service philosophy of the Eastern mainstream ideology of China and India and it's coherence. The existing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al model of service philosophy were presented in depth and the service philosophy of Oriental mainstream thought was derived. The philosophy of service can be presented as an idea of the structure of the service and as an idea of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It suggested compatibilit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Asian mainstream ideas, and analyzed them mainly in China and India. Indian ideas revolved around the ancient philosophy of Veda, Upanishads philosophy, and representative Buddhist philosophy. It also showed that a major trend of mainstream ideas in China and India was found to be compatible with the service philosophy.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refine the structure of service philosophy and develop the principles of operation into larger ideas in the future, and a study of conformity of service philosophy in representative Western ideas, focusing on Greek, Roman, and German philosophy, is also required.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an ideological base that drives futur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서비스철학 정립을 위해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인 한국 대표 사상의 서비스철학성 연구에 이어, 동양 주류 사상인 중국과 인도 사상의 서비스 철학으로서의 정합성을 탐색하였다. 서비스철학의 기존 기본구조와 운용모델을 심화하여 제시하고,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도출하였다. 동양 주류사상은 중국사상과 인도사상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인도는 고대 사상이 중심이고, 중국은 고대 및 중세사상을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서비스철학은 서비스의 구조에 대한 사상, 서비스의 운용에 대한 사상 등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를 심화하였다. 서비스의 본질적 특성은 관계성, 쌍방향성, 수평성, 조화성인데 이를 반영한 서비스구조는 유무상생, 즉 제품과 서비스의 상생구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비스의 발전과 운용원리는 정반합의 기본 운용구조를 가지되 그 운용사이클이 신속하고 발전적임을 밝혔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을 제시하였는데, 중국 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대표 사상인 도가 유가와 묵가를 분석하고, 후대의 신유학과 외부에서 유입되어 발전된 중국 불교 사상까지 분석하였다. 인도 사상은 고대 베다의 철학사상, 우파니샤드의 철학, 대표적 불교철학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국과 인도 주류 사상의 큰 흐름에서 서비스철학과의 부합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중국 도가의 무 사상, 유가의 정명론과 인 사상, 묵가의 겸애사상, 인도 바가바드기타의 카르마요가 사상, 불교의 연기사상 등이 모두 서비스 구조 및 운용 철학과 부합한다. 향후 서비스철학의 구조와 운용원리를 보다 구체화하고 큰 사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며, 그리스 로마 및 독일 철학을 중심으로 한 서양 대표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 연구도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미래 경제사회 발전을 견인하는 사상적 기반으로서 서비스철학 정립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Berns, G. (2006), Satisfaction, BookSum
  2. Hawking, S. (1998), A brief History of Time, Kachi Publishing
  3. Jung, C. Y. (2016) Tr., Upanishads, Mujigaedarinumu Press
  4. Kil, Heesung. (1984),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Minumsa
  5. Kim, Hyunsoo. (2019), A Study on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ol.9, No.1, March 2019, pp.1-16 https://doi.org/10.18807/JSRS.2019.9.1.001
  6. Kim, Hyunsoo. (2018), New Management of Management, Kookmin University Press,
  7. Kim, Hyunsoo. (2017),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s the Service Economy Philosoph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ol.7, No.3, Sept. 2017, pp.105-118 https://doi.org/10.18807/jsrs.2017.7.3.105
  8. Lal, P. (1994), The Bhagavad Gita, Lotus Roli Books
  9. Lamprecht, S.P. (1963), Our Philosophical Traditions, Kim Taegil, etc. Tr., Eulyou Culture Co.
  10. Lao-Tzu (1982), Tao Te Ching, Ki Keun Chang Tr., Samsung Publishing Co.
  11. Lee, Changil, et. al. (2018), Cosmology and Human being of Neo-Confucianis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ess
  12. Lee, K. D. Tr. (2005), The Analects of Confucius, Sungkyunkwan Univ. Press
  13. NAVER Knowledge Encyclopedia(2019a), New-Confucianism,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4.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2019b), Four Noble Truth,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5.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2019c), Twelve Yun-Ki, Si-gong Encyclopedia of Buddism, Si-gong-sa
  16.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2018d), Yu-Sik Ideology, Doosan Encyclopedia,
  17. Pung, U. R. (2017),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Park, Sungkyu Tr., Kachi Publishing Co.
  18. Ryu, K. H. (2015), The Bhagavad Gita, U-Tube Lecture, Platon Academy
  19. Yang, Haerim (2012),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Jipmundang

Cited by

  1. 서양 대표사상의 서비스철학성 연구 vol.9, pp.3,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19.9.3.001
  2. Service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vol.11, pp.2, 2019, https://doi.org/10.1007/s12927-019-0006-5
  3. 신경제사회 중심사상으로서의 서비스철학 연구 vol.9, pp.4,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19.9.4.001
  4. 신경영학 프레임워크 연구 vol.10, pp.1,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20.10.1.001
  5. 새로운 경영으로서의 현대 서비스경영 모델 vol.10, pp.2,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20.10.2.091
  6. 서비스경제시대의 신경영자 모델 연구 vol.10, pp.3,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20.10.3.01
  7. 현대 경영자로서의 본질과 성향 연구 vol.10, pp.3,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20.10.3.023
  8. 철학기반의 서비스경제시대 인재상 연구 vol.10, pp.3, 2019, https://doi.org/10.18807/jsrs.2020.10.3.119
  9. 서비스경제시대 인재상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vol.21, pp.2,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