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표준화

Search Result 1,71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atabase metadata standardization processing model using web dictionary crawling (웹 사전 크롤링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메타데이터 표준화 처리 모델)

  • Jeong, Hana;Park, Koo-Rack;Chung, Young-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209-215
    • /
    • 2021
  • Data quality management is an important issue these days. Improve data quality by providing consistent metadata. This study presents algorithms that facilitate standard word dictionary management for consistent metadata management. Algorithms are presented to automate synonyms management of database metadata through web dictionary crawling. It also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data by resolving homonym distinction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the web dictionary crawling process.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metadata data qua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passive management. It can also reduce the time spent on registering and managing synonym data. Further research on the new data standardization partial automation model will need to be continued, with a detailed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automatable tasks in future data standardization activitie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building of lear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기계학습 활용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 구축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JungY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0
    • /
    • pp.205-212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CPU / GPU,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deep neural networks,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chine learning has been extended to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of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social network services, web pages, and public data is accelerating the use of machine learning. Learning data sets for machine learning exist in various formats according to application fields and data type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ocess data and apply them to machine learning.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a method for building a lear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in accordance with standardized procedure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requirement of learning data set according to problem types and data typ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the reference model to build lear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This paper presents the target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and a standard development strategy for building learning data set.

지상파 DMB 국내표준화와 국제표준화

  • Kim, Dae-J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5
    • /
    • pp.80-84
    • /
    • 2008
  • 지상파 DMB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인 Eureka-147 표준에서 규정한 스트림 모드를 통하여 MPEG-4 AVC 비디오 압축 데이터, MPEG4 BSAC오디오 압축 데이터, 그리고 대화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MPEG-4 BIFS 데이터를 MPEG-4 S와 MPEG-2 TS로 다중화한 후, RS(204, 188) 및 길쌈 끼워 짜기에 의한 추가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적용된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초기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오디오 방송이었으나, 국내에서 이동 수신에 탁월한 DMB의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동영상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을 표준화한 규격이다. 모바일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표준 방식은 정보통신부에서 2003년 결정되었고 세부적인 표준 규격초안은 차세대방송포럼에서 만들어져 TTA DMB 프로젝트그룹에서 제안되어 심층적인 토론을 통해 2003년 10월 1차 버전이 제정되었다. 국내표준은 개정과 후속표준을 제정하였고 국제표준화가 추진되어 2005년 6월 유럽표준으로, 2007년 12월 ITU국제표준으로 제정 반영되었다. 본고에서는 독자들은 직관적 이해력을 돕고자 시배열 표로 지상파 DMB송수신 정합표준에 대한 국내표준화 추진 현황을 정리하였다.

A Study on OLE/COM-based GIS Data Provider Component Development Toward Application System Development (응용시스템 구축을 위한 OLE/COM 기반의 GIS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민수;김광수;오병우;이기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2
    • /
    • pp.175-190
    • /
    • 1999
  • Recently , as GIS technology is rapidly improved and stabilized, there are some needs to reuse pre-developed and powerful GIS technology. GIS standardization based on components and open interfaces becomes a way to solve those reusability of previous GIS technology. This GIS standardization currently focuses on building the GIS Data Infrastructure that is being deployed globally. Especially, OpenGIS consortium which is mainly made up of international GIS leading vendors is announcing some GIS abstract specifications and implementation specif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how could we design and implement the OLE/COM-based data provider component based on various DBMS or file systems, how could these data provider components be used for enterprise UIS(Urban Information Systems) and how could various formatted GIS data be shared in one system. Also some problems practically caused by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data provider component are listed up and some solutions are given. Furthermore, design and analysis of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was reformed through the data provider component development task and this UML methodology is able to indicate a standardized model for newly developed data provider component.

  • PDF

Data Structure Quality Management for efficient CRM (효율적인 CRM을 위한 데이터구조 품질관리 방안)

  • Lee, S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1-5
    • /
    • 2007
  • 고객 데이터 중심의 통합을 근간으로 하는 CRM을 추진하면서 데이터 품질은 필수적인 선결과제로 인식되고 있어, 데이터 품질 개선을 위해 데이터, 데이터구조, 데이터관리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품질 개선을 위해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구조에 대한 품질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제시한 모델을 적용하여 기존 시스템의 관리 항목을 현저히 감소시켜 데이터구조의 품질을 개선하고 데이터구조 표준화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과 표준화 동향

  • 정태식;주범순;정해원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8
    • /
    • pp.73-82
    • /
    • 2004
  • SONET/SDH 전송망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은 10Gb/s급인 OC-192에서 40Gb/s급인 OC-768 로 발전하였으며, 이더넷 (Ethernet)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은 1998년 1기가비트 이더넷 기술이 표준화된데 이어 2002년에 10기가비트 이더넷기술의 표준화가 완료되었고 조만간 후속 기술로서 40Gb/s또는 100Gb/s급의 이더넷에 대한 논의가 대두될 것으로 예측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Communication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통신설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Kim, Gil-Dong;Shin, Jeong-Ryol;Lee, Woo-Dong;Kang, Se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e
    • /
    • pp.99-102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 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 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B)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통신 설비는 위치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통신 설비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Signal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신호장치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Kim, Gil-Dong;Shin, Jeong-Ryol;Lee, Woo-Dong;Kang, Se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e
    • /
    • pp.130-133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D)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신호 장치는 위치 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신호 장치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Study on Data Standardization for Predicting Climate and Environment Change (기후환경 변화예측 위한 데이터 표준화에 관한 연구)

  • Kim, Mu-Jun;Kim, Kye-Hyun;Nam, Gi-Beom;Kim, N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50-354
    • /
    • 2010
  • 전 세계적인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해수면 상승과 생태계 변화가 발생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적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와 지구환경시스템의 대기, 수권, 생물권, 지표면 동 각 권역간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고려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와 환경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환경시스템의 변화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피드백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분석 자료의 원활한 공유와 연계를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기후/환경 연구 분야의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의 의미, 명칭, 정의 등에 대한 원칙의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환경 변화예측 연구 자료의 원활한 공유와 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후/환경 변화예측 연구 분야의 자료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자료 관리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관리할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기후/환경 연구 분야의 데이터 표준화를 수행하였고 표준단어, 표준도메인, 표준용어를 정의하였다. 데이터 표준화 결과는 기후/환경 변화예측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있어 데이터의 의미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에서 데이터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개념적 엔티티의 속성설계 단계부터 데이터 표준을 적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 PDF

A Survey on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Service Sector in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정보유통부문 표준화 현황분석)

  • Lee, Yun-Seok;Seo, Tae-Sul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2
    • /
    • pp.40-5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standardiz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KISTI, and collect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with nine departments of the Information Services Sector of the KISTI, data were collected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fty KISTI databases and their operation, tasks to be first standardized include Classification of ST resources, Metadata, Date modeling, Data format, DBMS, ST terminology, and Retrieval protoc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