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생태계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Implement Smart-Eco River (스마트 에코 리버 구현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적용)

  • Kim, Sunghoon;Jang, Suhyu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11
    • /
    • 2020
  • 18년 물관리일원화 이후 인프라와 사람 중심으로부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위한 환경·생태계의 자연성 회복으로의 물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규모 국책사업이후의 하천 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이수, 치수, 환경이라는 단순한 기능적 구분을 벗어나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국민 서비스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ICBAM 등으로 정의되는 4차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접목이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하천 및 수자원 관리분야에서의 기술은 근대 엔지니어링의 기초가 되는 수로 건설 등으로부터 시발되어 사실상 가장 앞선 과학적 진보의 토대를 갖추었으나 최근의 기술적 트렌드를 잘 추종하지 못하는 것처럼 비추어 지는 것이 사실이다. 주된 이유로서 기후변화라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입력요소를 가진 하천관리 시스템의 특성상 불확실성의 추정 및 즉각적인 응답이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부분은 하천의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도가 낮은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유역으로부터 댐-다기능보-하천으로 이어지는 의사결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체계(거버넌스의 문제이자 기술적/재정적 한계)가 확립되지 않은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하천의 유량 예측 등을 위해 필요한 수자원 기초데이터의 근원적인 수집 및 관리상의 문제점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ARIMA, Kalman Filtering, MA 및 복합기법을 통한 자료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상황에 맞게 오차 및 불확실성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하천 관리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워터시티 개념에서의 바람직한 하천관리 기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관련하여 근자에 개발한 하천의 물리적 해석 도구들에 대해서 적용 사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기반의 하천관리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기계학습을 통한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부가하여 전문가와 시스템이 상호작용을 통해서 AI를 학습시켜 결정한 사항을 전문가의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MCRDR기법의 적용의 적용 가능성과 도입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curity Threat Response in Smart Integrated Platforms (스마트 통합플랫폼 보안위협과 대응방안 연구)

  • Seung Jae Yo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2 no.1
    • /
    • pp.129-134
    • /
    • 2022
  • A smart platform is defined as an evolved platform that realizes physical and virtual space into a hyper-connected environment by combining the existing platform and advanced IT technology. The hyper-connection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or space and service, enables the realization and provision of high-quality services that significantly change the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 of users. In addition, it is providing everyone with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ocial safety net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level by implementing smart government and smart healthcare. A lot of information produced and consumed in these processes can act as a factor threatening the basic rights of the public and individuals by the informations themselves or through big data analysis. In particular, as the smart platform as a core function that forms the ecosystem of a smart city is naturally and continuously expanded, it faces a huge security burden in data processing and network operation. In this paper, platform components as core functions of smart city and appropriate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are studied.

A Study on the Detection of Marine Debris in Collection Blind Spots using Drones and a Method for Matching Latitude and Longitude (드론을 활용한 수거사각지대 해양쓰레기 탐지 및 위경도 매칭 방법에 관한 연구)

  • Sang-Hyun Ha;Eun-Sung Choi;Ji Yeon Kim;Sung-Hoon Oh;Seok Chan Jeo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8 no.1
    • /
    • pp.73-82
    • /
    • 2023
  • Marine debris not only affects the survival of marine life, water pollution, and scenery but also has secondary effects on economic loss and human health. While research on underwater and surface debris is actively ongoing, solutions to marine debris in hard-to-reach blind spots are being developed slowly. To address this problem, we utilize drones to detect and track marine debris in blind spots such as tetrapods. The detected debris is then visualized by calculating its location coordinates using the drone's GPS, altitude, and heading values. The proposed method of using drones for detecting marine debris and matching it with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provides an effective solution to the problem of marine debris in blind spots.

Development of a regressive prediction method of solute transport in rivers based on relation between breakthrough curve and travel distance (하천에서 농도곡선-유하거리 상관성 기반 회귀적 물질혼합 예측 기법)

  • Kim, Byunguk;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45
    • /
    • 2022
  • 산업화에 따른 화학물질 사용량의 증가는 담수로의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사고는 하천수 수질과 수환경 생태계에 심각한 위해와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수질사고 발생시 신속 대응을 위해, 하천에 유입된 물질의 거동을 신속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경우 1차원 추적모형이 주로 사용된다. 1차원 물질혼합 모형은 하천을 하나의 유선으로 보며, 복잡한 하천흐름의 시스템을 현상학적으로 해석하고, 오염물질의 이송 및 혼합 메카니즘을 모델 매개변수에 반영하여 모형화한다.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우며, 이론에 기반한 매개변수 산정 기법이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추적자 실험을 실시하여 유한한 하천구간에서 추적자의 시간-농도곡선(Breakthrough curve, BTC)을 취득하고, 이를 통하여 대상 구간의 매개변수를 역산하는 최적화 기법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하천구간에 대하여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최적화 기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흐름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미계측 하천구간에서 BTC를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하천에서 수행한 4회의 추적자 실험으로부터 취득한 28개 구간 케이스의 데이터에 대하여 농도곡선 전처리를 수행하고 14개의 통계적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계측된 흐름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 구간에서의 BTC의 변화가 추적자의 유하거리에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하류의 지점에서의 BTC를 예측하였으며, 1차원 이송-분산 방정식과 하천저장대모형을 활용한 예측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BTC의 변화특성을 활용한 회귀적 예측이 하천 지형 및 흐름의 변동성이 작은 구간에서 1차원 혼합모형들을 이용한 예측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장점은 장거리 예측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 PDF

Blockchain based SDN multicontroller framework for Secure Sat_IoT networks (안전한 위성-IoT 네트워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SDN 분산 컨트롤러 구현)

  • June Beom Park;Jong Sou Park
    • The Journal of Bigdata
    • /
    • v.8 no.2
    • /
    • pp.141-148
    • /
    • 2023
  • Recent advancements in the integration of satellite technology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a sophisticated network eco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utilizing vast amounts of big data across various sectors. However, this integrated network faces significant security challenges, primarily due to constraints like limited latency, low power requirements, and the incorporation of diverse heterogeneous devices. Addressing these security concerns, this paper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a satellite-IoT network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While SDN offers numerous benefits, it also inherits certain inherent security vulnerabilities. To mitigate these issues,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hat incorporates blockchain technology within the SDN framework. This blockchain-based SDN environment enhances security through a distributed controller system, which also facilitates the authentication of IoT terminals and nodes. Our paper details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is system and discusses its validation through a series of tests. Looking forward, we aim to expand our research to include the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satellite-IoT devices, exploring new avenues for leveraging the potential of big data in this context.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Vorticity Interactions of Floating Breakwaters (부유식방파제의 수리특성 및 와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n, Jae Seo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5-55
    • /
    • 2011
  • 연안 및 해안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부유식방파제의 기능적 효율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흔히 사용되어오던 착저식방파제는 설치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환경 및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설치 예정지의 수리학적 특성 등의 여건에 많은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부유식방파제는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용이 잦아지고 있는 방파제로서 수면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친환경방파제이다. 또한 기존에 시공된 중력식방파제와는 달리 수심에 제한을 덜 받고, 공사기간이 짧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실제 시공사례로는 2007년 마산 원전항에 완공된 부유식방파제가 대표적이며, 지금까지도 부유식방파제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방파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처럼 국토의 면적이 작은 지역에서 증가하는 해상물동량을 소화하기 위해서 부유식방파제 등을 이용한 항만의 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유식방파제의 분석적인 측면에 있어서 수치해석은 파랑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부유식방파제 단면형상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으므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부유식방파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한 유동장 해명이 가능해 졌으며,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및 LDV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LDV시스템은 측정하려는 한 지점에 대하여 레이저 빔을 단면(Cross-section)으로 만들고 입자의 산란광을 후방산란(Back scatter)으로 받아서 도플러 효과를 이용, 속도에 대한 주파수를 획득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로 매우 높은 정확도와 비접촉식 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IV 시스템에 비하여 측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활용할 만큼 높은 정확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단독형, 2열형 및 3열형 부유식방파제의 형상, 흘수 및 거리를 변화시키며 유동장을 수집하였으며, 방파성능에 따른 와의 생성 및 소멸시점에서의 파랑변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파제의 형상과 흘수를 달리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와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직 2차원 Navier-Stokes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치모형실험 결과와 수리모형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후방방파제에서 발생되는 파랑은 입사파의 주기가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커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흘수심이 깊어질수록 전방방파제 입사 면에서 자유 수면이 높게 관측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비교적 장주기파랑에 해당하는 입사파랑의 경우 전달파고비 산정에 있어서 설계기준인 0.5를 대다수 초과하는 반면, 3열형 구조에서는 대부분이 0.5이하로 상당히 높은 방파성능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Policy Recommendation for New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방향에 대한 정책제언)

  • Lee, Daesh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193-200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e face of the weak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under the global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 that regional industrial policy as a new national growth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ggestion of new regional industrial policy framework under new policy environ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propose a new industrial policy framework that simultaneously pursues equality between regions and efficiency within the region at the same time. As a core policy recommendation, we suggest first, establishing the region-centered industrial policy governance, second, strengthening planning func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ed national government consulting, and the third, constructing lifestyle industry-ecosystem based on cultural asset and identity of region, fourth, utilizing Smart City, as a platform for participatory innovation, entrepreneurial and capital attraction, and cultivating new industry based on public procurement and data. Main suggestions of this study would be a new guideline coping with the decli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the Fouth Industrial Revolution. Details would be necessary.

An Exploratory Study on Academic Librarians' Perception of Predatory Journals (대학도서관 사서의 부실 의심 학술지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Myoung-A Hong;Wonsik Sh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3
    • /
    • pp.33-61
    • /
    • 2024
  • The emergence of Open Access (OA) and other changes to the academic publishing ecosystem have made the prevalence of predatory journals a significant concern. Academic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academic environment that protects researchers and takes action against predatory journals. Nonetheless, there isn't many research that looks into how academic librarians view and handle predatory journals. This study aims to give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overall perceptions of predatory journals among university librarians in South Kore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cademic librarians between April 10 and May 1, 2024, and 78 respondents' answe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opinions among South Korean academic librarians on predatory journals are not all uniform. Based on their readiness and willingness to supply services, the respondents could be rough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study affirms that training librarians and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libraries and researchers are critical prerequisites for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imed at predatory publications.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hich is the first of its type to explore how academic librarians in South Korea see predatory journals,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for university libraries as they plan and offer services related to predatory journals in the future.

Exa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Expansion of Virtual Consumption in the Game Virtual World: Analysis of Differ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irtual Product Type Groups (게임 가상세계에서의 가상소비 확산 영향요인 고찰: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가상상품 유형 그룹별 차이점 분석)

  • Ae Ri Lee;Han-Tao Chen;Kyung Kyu Kim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5 no.3
    • /
    • pp.279-299
    • /
    • 2024
  • The socio-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users in virtual worlds are increasing, and virtual consumption of purchasing virtual products is expanding. The future growth potential of this virtual consumption market is very high and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existing traditional consumption ecosystem.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the phenomenon of virtual consumption in the most rapidly growing gaming virtual world, and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s theory and the concept of self-improvement, major factors promoting virtual consumption in the gaming virtual world were derived. Then, the influence of factors on intention to continue virtual consumption was verified.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whether the influence of factors varies depending on demographic groups (age group and gender) and types of virtual products mainly consume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users who actually experienced virtual consumption in the game virtual world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factors promoting virtual consumption and differences by group. Accordingly,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knowledge management in terms of establishing a service development strategy in response to the virtual consumption phenomenon in virtual worlds, which will expand further in the future, and revitalizing the convergence economic ecosystem between the virtual and reality economy.

Temporal variation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een tide forming macroalgae(Chlorophyta; genus Ulva) on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based on DNA barcoding (DNA 바코드를 이용한 제주도 연안 파래대발생(green tide)을 형성하는 갈파래(genus Ulva) 군집구조 및 주요 종 구성의 시간적 변이)

  • Hye Jin Park;Seo Yeon Byeon;Sang Rul Park;Hyuk Je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4
    • /
    • pp.464-476
    • /
    • 2022
  • In recent years, macroalgal bloom occurs frequently in coastal oceans worldwide. It might be attributed to accelerating climate change. "Green tide" events caused by proliferation of green macroalgae (Ulva spp.) not only damage the local economy, but also harm coastal environments. These nuisance events have become common across several coastal regions of continents. In Korea, green tide incidences are readily seen throughout the year along the coastlines of Jeju Island, particularly the northeastern coast, since the 2000s. Ulva species are notorious to be difficult for morphology-based species identification due to their high degrees of phenotypic plasticit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emporal variation in Ulva community structure on Jeju Island between 2015 and 2020, chloroplast barcode tufA gene was sequenced and phylogenetically analyzed for 152 specimens from 24 sites. We found that Ulva ohnoi and Ulva pertusa known to be originated from subtropical regions were the most predominant all year round, suggesting that these two species contributed the most to local green tides in this region. While U. pertusa was relatively stable in frequency during 2015 to 2020, U. ohnoi increased 16% in frequency in 2020 (36.84%),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ris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which U. ohnoi could benefit. Two species (Ulva flexuosa, Ulva procera) of origins of Europ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molecular genetic data of genus Ulva occurring in southern coasts of Korea, which will help mitigate negative influences of green tide events on Korea co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