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더우인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2초

틱톡(TikTok) 서비스에 대한 품질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업성 인식의 효과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of TikTok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Role of Commercial Viability)

  • 정용국;위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77-89
    • /
    • 2020
  • 본 연구는 쇼트 클립 제작 및 공유 플랫폼인 틱톡(TikTok)의 품질에 대한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틱톡의 품질을 서비스 품질,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로 구분하고 각 품질 요인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 그리고 이용자 만족을 통해서 미치는 간접 효과를 동시에 고찰하였다. 추가적으로 틱톡 이용 과정에서 점차 증가하는 상업적 요소들에 대한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틱톡 서비스(중국 서비스명 '더우인')의 중국 이용자 23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품질 인식과 시스템 품질 인식은 이용자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정보 품질 인식은 지속 사용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용자 만족은 시스템 품질 인식과 지속 사용 의도를 완전 매개하며, 정보 품질 인식과 지속 사용 의도를 부분 매개한다. 넷째,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둘 간의 관계에서 상업적 인식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상 성인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applied to Sitting Position in Healthy Adult on Grip Power)

  • 김창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5-482
    • /
    • 2020
  • 허리 안정화 근육들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복부 드로우인 기법(ADIM)은 복부내압을 상승시켜 배가로근(TrA)과 배속빗근(IO)을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는 운동법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세인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했을 때 파악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하도록 한 후 실시하지 않은 상태와 실시한 상태에서 각각 파악력을 측정하여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파악력에 미친 영향과 가장 많은 영향을 발휘하는 근육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측정에 동원된 근육은 RA, EO, IO/TrA, 그리고 ES로 ADIM 적용 시 가장 활성화된다고 알려진 허리 안정화 근육들이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실시하지 않은 자세 보다 모든 근육들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파악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측정된 각 근육의 차이값을 비교해 어떤 근육이 파악력에 더 큰 영향을 알아보았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근육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특정 근육이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복부내압의 증가가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앉아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에 파악력 증가와 허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치료적 중재방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할 수 있겠다.

의학 논문 이미지 검색을 위한 분류 메트릭 선정 및 분석 (The classification metrics selection and analysis for Medical research paper image search)

  • 장우인;박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92-894
    • /
    • 2014
  • 논문을 검색할 때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논문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는 논문의 내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검색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은 점이 있다. 특히, 이미지 검색은 의학 논문을 검색할 경우에 키워드를 대신할 수 있는 유용한 검색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미지 검색이 쓰였던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고 의학 논문 사이트를 대표하는 펍메드와 코리아메드를 비교 분석한다. 더 나아가 빠르고 정확한 이미지 검색을 위한 이미지 분류 기준을 설정하여 본다.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Effect of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Sitting Position)

  • 김선칠;김신균;김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4
    • /
    • 2017
  • 몸통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허리에 통증이 발생된다. 허리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몸통안정화운동 방법 중 하나인 복부드로우인기법(ADIM)은 복부안정화근육 중 선행적자세조절과 관련된 배가로근에 대한 선택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법이다. ADIM은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에서 허리 밑에 압력생체되먹임장치(PBU)을 적용하여 시각적되먹임을 한 상태에서 실시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앉은자세에 비해 기능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누운자세와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ADI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무선 근전도를 이용해 배곧은근(RA), 배바깥빗근(EO), 배가로근/배속빗근(TrA/IO), 그리고 척추세움근(ES)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RA와 EO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rA/IO와 ES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RA에 비해 TrA/IO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ADIM로 인한 몸통안정화는 두 자세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TrA/IO와 ES는 앉은 자세에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앉은 자세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앉은 자세의 ADIM은 허리안정성 향상에 유용할 것이다.

중국 소비자의 틱톡 라이브 커머스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계획적 행동이론 해체모델(DTPB)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n TikTok Live Commerce: Applying the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DTPB))

  • 장적;한이신;정용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39-251
    • /
    • 2022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 해체모델을 적용하여 틱톡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의 구매 행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매 의도의 선행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 구조를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에 맞춰 다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한국의 라이브 커머스에 비해 성숙기에 다다른 중국의 라이브 커머스 환경을 고려하여, 중국 내 틱톡(더우인) 라이브 커머스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 이용자 512명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틱톡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적 통제는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에 미치는 신념 요인의 영향은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유용성, 상호작용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는 주관적 규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행동 통제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촉진 조건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이 인삼엑기스의 화학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Extraction Procedur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Ginseng Extract)

  • 우인희;양차범;성현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36-44
    • /
    • 1986
  • 추출조건이 인삼엑기스의 일반성분 및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삼과 백삼을 시료로 추출용매, 용매농도, 온도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조사 비교한 결과 수삼의 경우 $70^{\circ}C$$100^{\circ}C$구가 다른구에 비하여 가용성물질의 용출량이 5배이상 컸으며 사포닌의 용출율은 $70^{\circ}C$-$H_2O$구가 가장 높았고, $100^{\circ}C$구는 거의 1/2이 감소되었다. 압착에 의한 방법으로 사포닌의 52%가 추출되었고 triol계가 diol계 사포닌보다 더 잘 추출되었다. 전당, 환원당, 조단백 및 총 아미노산의 용출율도 $H_2O$구가 ethanol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회분은 압착구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멀티 플랫폼 기반의 네트워크 패킷 스캐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twork Packet Scanner based on Multi-Platform)

  • 이우인;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01-112
    • /
    • 2010
  • 최근의 해킹 추세는 기업의 이윤과 관계되는 모든 IT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공격이 비서비스 포트를 통한 서비스 인프라로의 접근을 시도했다면, 현재는 기업이윤 창출의 원천인 서비스 자체를 공격하고 있다. 즉,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보안 솔루션이나 체계로는 방어하기가 어렵고 동시에 이용자 보호, 지속 가능한 경영 자체를 위협하며 금전을 요구하는 협박의 형태로 점점 더 많은 기업에 위해를 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래픽량을 기준으로 정상, 비정상을 판단하는 예외처리기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을 대상으로 멀티 플렛폼 기반의 네트워크 패킷 스캐너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Linux나 unix 환경에는 ngrep, snort, TCPdump와 같은 여러 가지 네트워크 침입탐지와 패킷 관리 도구들이 있지만 대부분 문자 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CUI : Character based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구현되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함이 따른다. 제안된 시스템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사용이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기반으로 구현하였고, 모든 운영체제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Qt(C++)언어를 사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처음 보는 단어의 역문헌빈도 기반 단어 임베딩 기법 (Inverse Document Frequency-Based Word Embedding of Unseen Words for Question Answering Systems)

  • 이우인;송광호;심규석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8호
    • /
    • pp.902-909
    • /
    • 2016
  • 질의응답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주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검색엔진이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관련된 문서의 링크만을 찾아주는 반면 질문에 대한 최종적인 답을 찾아준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질문을 처리해주는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에 필요한 연구들이 최근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데이터 마이닝 등 학계의 다양한 분야들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관련 연구에서는 학습 데이터에는 없었던 단어들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과 유사한 오답을 구별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처음 보는 단어들을 모두 단일 토큰으로 치환해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맥 정보를 통해 이러한 모르는 단어에 대한 벡터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역문헌빈도 가중치를 활용하여 문맥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풍부한 실험을 통해 질의응답 시스템의 모델 학습 속도 및 정확성이 기존 연구에 비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 Dying of Nurses)

  • 현우인;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628-639
    • /
    • 2022
  • 본 연구는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최상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가 인식하는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WIN 27.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4.04±0.82점으로 최상의 임종간호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수준을 나타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3.63±1.14점으로 평화롭게 죽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최상의 임종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t=-.97, p=.013) 30대 간호사군이 20대 간호사군에 비해 최상의 임종간호에 더 높은 동의수준을 나타냈다.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이 낮은 젊은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야담 문학에 나타난 조선 배우의 삶 (Various Life Conditions of Actors of Joseon Periods in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 최낙용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281-312
    • /
    • 2011
  • 기록을 보면, 연산군 11년(1505년) 12월 29일조에는 공길(孔吉)이라는 배우가 늙은 선비 놀이(老儒戱)를 하며, 임금에게 간하다가 매질을 당하고 유배된 사건이 있고, 중종 22년 12월에는 관나(觀羅)시에 정재인으로 하여금 민간(民間) 질고(疾苦)와 구황절차(救荒節次)를 놀이로써 연출케 한 사실이 보인다. 이렇듯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각종 역사서에는 배우들에 관한 기사가 몇몇 엿보이나 역사 서술이 그러하듯 '관찰되고, 보고된 객관적 기술'이 중심이므로, 그들의 인간적인 실상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야사(野史), 야록(野錄), 잡록(雜錄), 패설(稗說) 등등으로도 불리는 야담(野談)의 내용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얽힌 이야기(일화)가 주요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민중 사이에서 만들어져 구전되다가 어느 시기엔가 식자층이 수집해 문자로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야담에는 피지배계급인 민중과 사대부가 중심을 이룬 지배계급의 다양한 생활과 의식이 사실적으로 반영된 데다 문학적(허구적) 상상력이 가미되고, 전설이나 민담이 시대 상황에 맞게 개작되거나 섞이는 양상마저 보여 명실상부한 문학의 한 갈래로 취급받기도 한다. 이후로 야담은 18~19세기 산문정신에 힘입어 소설의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 훌륭한 단편소설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광대와 서인은 주로 주질(줄타기), 농령(방울받기), 근두(땅재주) 등 규식이 있는 연희를 담당했고, 수척과 승광대는 웃고 희학하는 연희, 악공은 음악을 담당했다. 광대가 담당한 연희는 전문적인 연희자들만이 연행할 수 있는 기예에 해당되는 것으로 삼국시대 중국에서 들어 온 산악백희계통의 것이고, 수척과 승광대가 담당한 웃고 희학하는 연희는 고려시대의 우희와 통하는 연희로서, 중국 산악백희의 골계희인 우희와 같은 성격의 연희이다. 말하자면, 우희는 '수척과 승광대가 행하는 우습고 해학적인 놀이'이며, 모두 임금을 풍간하거나, 부패한 관원을 풍자하는 시사적인 내용, 흉내 내기 등이었으며, 임금도 상연목록을 알고 있을 만큼 당대의 유명 연희였다. 야담은 자유로운 산문 정신에 입각해 당대의 일상을 묘사한 글이기 때문에 박진성(迫眞性, verisimilitude)이 있다. 야담문학에 수집된 배우들의 면모는 이러한 '우습고 해학적인 놀이'를 담당했던 사람들의 모습이 주를 이룬다. 야담집의 저자 혹은 편자들이 사대부들이었음을 생각해보면, 그들이 천대시하던 기예 중심의 광대보다는 내용과 스토리, 시사적 비판성을 갖춘 풍자극을 올린 재담 광대들이 그들의 구미에 맞았기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여러 양상들을 야담집에 수록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배우의 구체적인 면모를 충분히 엿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당대의 성리학자들은 문학과 예술을 관도론(貫道論)과 재도론(載道論)적 입장에서 보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단순히 즐거움만 주는 광대의 기예가 아닌, 세교(世敎)적인 배우의 풍자극을 당연히 선호할 수밖에 없었다. 앙리 베르그송도 골계와 해학(익살)에 교훈이 있음을 지적한다. 이는 동서양을 막론한 중세철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본고는 야담문학 가운데 배우 관련 이야기가 담긴 『용재총화(慵齋叢話)』에 그려진 흉내 내기 달인 3인, 『패관잡기(稗官雜記)』의 <무세포(巫稅布) 놀이>와 <정평(定平) 부사(府使)의 말안장 사는 놀이>, 『어우야담』의 <귀석(貴石)의 진상(進上) 놀이>와 <귀석(貴石)의 시예종실(試藝宗室) 놀이>, <우인(優人)>, 재승(材僧) 동윤(洞允)의 <탐화봉접 놀이>, 그리고 『고금소총』의 <배우(俳優)>와 <정희(呈戲)> 등 9편을 다뤘다. 이 가운데 『패관잡기(稗官雜記)』의 <정평(定平) 부사(府使)의 말안장 사는 놀이>와 『어우야담』의 <귀석(貴石)의 진상(進上) 놀이> 등 2편은 임금 앞에서 부패한 관리들을 고발한 내용의 풍자극이었고, 『어우야담』의<귀석(貴石)의 시예종실(試藝宗室) 놀이>는 종실인 상전의 벼슬을 임금께 청원하는 내용의 풍자극이었으며, 『패관잡기(稗官雜記)』의 <무세포(巫稅布) 놀이>와 『고금소총』의 <정희(呈戲)> 등 2편은 무당과 배우 자신들의 고단한 처지 호소하는 내용을 풍자하는 극이었다. 그리고 『용재총화(慵齋叢話)』에 그려진 흉내 내기 달인 3인과 『어우야담』의 재승(材僧) 동윤(洞允)의 <탐화봉접 놀이> 등 2편은 흉내를 잘 내는 광대들과 재승을 다룬 내용이었고, 『어우야담』의 <우인(優人)>은 당대 배우의 처절한 삶을, 『고금소총』의 <배우(俳優)>는 배우들의 재치와 해학을 각각 다뤘다. 이렇듯 조선시대의 배우들은 나례가 폐지되는 영조 35년(1759년)까지 임금 앞에서 탐관오리를 규탄하고, 공박하는 풍자극을 올려 그것을 교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했을 뿐만아니라 그들이 올린 우희의 내용 또한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우희는 골계의 여러 양상인 기지와 풍자, 해학 혹은 익살 등을 때때로 변화무쌍하게 전환(transition)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심리적인 해방감을 안겨 주었다. 학계에서는 현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앞으로도 더 많은 역사서를 비롯한 각종 고전이 번역될 것이리라 전망된다. 거기엔 아직 알려지지 않은 한국 전통 공연 예술과 관련된 많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을 것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우리의 전통 공연 예술의 그 풍부함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