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화 현상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Korean Spontaneous Speech Characteristics for Spoken Dialogue Recognition (대화체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한국어 대화음성 특성 분석)

  • 박영희;정민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3
    • /
    • pp.330-338
    • /
    • 2002
  • Spontaneous speech is ungrammatical as well as serious phonological variations, which make recognition extremely difficult, compared with read speech. In this pap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e analyze the transcriptions of the real conversational speech, and then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peech in the speech recognition aspect. Reflecting these features, we obtain the baseline system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The classification consists of long duration of silence, disfluencies and phonological variations; each of them is classified with similar features.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first, we update silence model and append a filled pause model, a garbage model; second, we append multiple phonetic transcriptions to lexicon for most frequent phonological variations. In our experiments, our baseline morpheme error rate (WER) is 31.65%; we obtain MER reductions such as 2.08% for silence and garbage model, 0.73% for filled pause model, and 0.73% for phonological variations. Finally, we obtain 27.92% M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hich will be used as a baseline for further study.

Representation Structure of Korean Dialogue (한국어 대화의 표상구조)

  • 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96-498
    • /
    • 2002
  • 한국어 대화에서는 상황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가 대화 속의 발화문에서 완전히 생략되기도 하고, 존대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존대대명사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적인 언어현상이 일어나는 한국어 대화를 처리하고 그것의 표상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화참석자에 관한 정보, 발화문의 화형에 관한 정보, 대화에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상대적 순위에 관한 정보,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문 사이의 정보흐름에 관한 정보 등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또한 이러한 상황정보를 한국어대화표상구조에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대화표상구조의 구축은 담화표상이론(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과 분할담화표상이론(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을 수정, 확대하여 이루어진다.

  • PDF

"A Descriptive Review on Korean Case Markers and their Deletion in On-Going Dialogues" ("대화체 이해 시스템에서의 격조사 생략현상에 대한 한 기술적 고찰")

  • Hong, Min-Py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60-166
    • /
    • 1997
  • 본고는 우리말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축약 및 생략 현상을 언어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를 위해 실제 대화체에서 나타나는 격조사 생략현상에 대한 관찰결과를 기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대화체 이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생략된 격조사 복원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를 위해 녹취한 약 한시간 분량의 2인 흑은 3인의 자연스런 라디오 대담 프로그램 전화대화들을 전사한 자료를 중심으로, 실제 대화에서 실현되거나 생략된 격조사들을 유형별로 분석한 격과를 보고하고, 기존의 연구 및 관찰에 경험적 타당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의 분석을 대화이해 시스템에 구현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나아가 격조사가 생략된 명사구들이 나타나는 환경을 통사 및 담화적 특성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대화이해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격조사 생략현상 연구 및 이를 토대로 한 명사구와 용언 사이의 문법적 의미적 관계 규명을 위한 향후 연구에서 어휘 부의 확장 필요성을 논한다.

  • PDF

Processing of Dialogue and Construction of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the Case of Korean Dialogue (대화의 처리와 표상구조의 구축: 한국어대화의 경우)

  • Lee,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523-526
    • /
    • 2002
  • 본 논문은 한국어대화에는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구성요소의 빈번한 생략, 존대현상, 존대대명사의 사용 등의 특이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지적하고, 이러한 한국어대화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화참석자에 관한 정보, 발화문의 화행에 관한 정보, 대화에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상대적 순위에 관한 정보 등의 상황정보와 정보의 흐름을 이용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정보를 전산적으로 어떻게 표기해서 입력하고 한국어대화의 표상구조를 어떠한 형태로 구축하는 것이 타당한지도 자세히 보여 준다.

  • PDF

Memory Attention-based Breakdown Detection for Natural Conversation in Dialogue System (대화 시스템에서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위한 Memory Attention기반 Breakdown Detection)

  • Lee, Seolhwa;Park, Kinam;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1-34
    • /
    • 2018
  • 대화 시스템에서 사람과 기계와의 모든 발화에서 발생하는 상황들을 모두 규칙화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대화가 단절되는 breakdown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에서는 다양한 도메인이 등장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커버할 수 있는 리소스가 부족하며, 둘째, 대화 데이터에서 학습을 위한 annotation되어 있는 많은 양의 코퍼스를 보유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모델에 모든 대화 흐름의 히스토리를 반영하기 어렵다. 이런 한계점이 존재함에도 breakdown detection은 자연스러운 대화 시스템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능이다. 본 논문은 이런 이슈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memory attention기반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대화내에 발화에 대해 memory attention을 이용하여 과거 히스토리가 반영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대화흐름을 잘 detection할 수 있으며, 기존 모델과의 성능비교에서 state-of-the art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Using Plan Recognition and a Discourse Stack for Efficient Response Generation in a Dialogue System (대화시스템을 위한 계획인식과 담화스택을 이용한 효과적인 응답 생성)

  • Kang, Sang-Woo;Ko, Young-Joong;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177-182
    • /
    • 2006
  • 대화 시스템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화 현상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동작하는 실용적인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 전자의 연구를 위해서 계획기반모델(plan-based model)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복잡한 대화 구조를 모델링(modeling)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현상에서의 사용자 목적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계획기반모델은 초기 설계가 어려우며 실용적인 대화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시스템 응답을 생성하기 위한 상호작용 모델로의 확장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계획 기반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고 실용적인 대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시스템 응답을 위한 확인 대화 전략과 담화스택(discourse stack)을 계획기반 대화 모델링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Zero Pronoun Resolution for Korean-English Spoken Language MT (한국어-영어 대화체 번역시스템을 위한 영형 대명사 해소)

  • Park, Arum;Ji, Eun-Byul;Hong, Munpy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98-101
    • /
    • 2011
  • 이 논문은 한-영 대화체 번역 시스템에서 영형 대명사 해소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영형 대명사는 문맥, 상황, 세상 지식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문장에서 생략된 요소이다. 이 논문은 특히 주어-대명사 생략 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그 이유는 드라마 대본이나 인스턴트 메신저 채팅과 같은 한국어 대화체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많은 양의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 간단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우리의 방법은 0.79의 F-measure 스코어를 달성하였고, 전체번역률의 측면에서는 약 4.1% 정도의 향상효과가 있었다.

  • PDF

Computational Processing of Korean Dialogue and the Construction of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Based on Situational Information (상황정보에 기반한 한국어대화의 전산적 처리와 표상구조의 구축)

  • Lee, Dong-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6
    • /
    • pp.817-826
    • /
    • 2002
  • In Korean dialogue honorification phenomenon may occur, an honorific pronoun may be used, and a subject or an object may be completely omitted when it can be recovered based on context. This paper proposes that in order to process Korean dialogue in which such distinct linguistic phenomena occur and to construct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we mark and use the following information explicitly, not implicitly : information about dialogue participants, information about the speech act of an utteranc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order of social status for the people involved in dialogue, and information flow among utterances of dialogue.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marking and using such situational information and an appropriate representation structure of Korean dialogue. In this paper we set up Korean dialogue representation structure by modifying and extending DRT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and SDRT (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Futhermore, this paper shows how to process Korean dialogue computationally and construct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by using Prolog programming language, and then applies such representation structure to spontaneous Korean dialogue to know its validity.

Using Plan Recognition and a Discourse Stack for Effective Response Generation in a Dialogue System (대화 시스템을 위한 계획 인식과 담화 스택을 이용한 효과적인 응답 생성)

  • Kang, Sang-Woo;Ko, Young-Joong;Seo, Jung-Yu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2
    • /
    • pp.107-123
    • /
    • 2008
  • The existing studies of a dialogue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parts. One is a study for a practical system, and the other is a study to understand a principal of dialogue phenomena. The former focuses on robustness in real environment for dialogue systems. However, it cannot guarantee its performance in complicated dialogue environment. The latter has studied as the plan-based model typically. It has strong points that it can reflect complex dialogue phenomena and can infer user's intention in various situations. However, an initial design of this model is so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for this model to be extended to the interaction model for response generation in a practical dialogue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new dialogue modeling using plan recognition and a discourse stark to effectively generate response in a practical dialogue system.

  • PDF

A Korean to English Dialogue Machine Translation System ($\Rightarrow$영 대화체 기계번역 시스템)

  • 서정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65-70
    • /
    • 1994
  • 대화체는 문어체와는 달리 생략과 대용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문장의 표면적 의미외에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화체 번역은 언어적 분석에 의한 단순한 번역이 아닌, 이해에 기반한 번역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의 상황을 모델링한 대화모델을 이용하여 이해에 기반한 대화체 기계번역을 시도하였다. 또한 대화체 기계번역이 자동통역 등에 응용된다고 할 때, 실시간 번역과 불완전한 입력과 같은 예외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식기반 모델과 확률 기반 모델을 결합한 해석, 생성 시스템을 구현하여 효율성과 견고성을 갖춘 이해에 기반한 대화체 기계번역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통신으로부터 지원을 받아서 수행하고 있는 과제로써 현재 3000단어 수준의 실제 대화를 대상으로 한->영 대화 번역에 대해 실험을 하고 있으며,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한 지식 베이스-사전, 문법 등-를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