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모선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발전소 전동기 모선절환의 적용 방안(1)

  • 이경재
    • 전기기술인
    • /
    • 제207권11호
    • /
    • pp.36-42
    • /
    • 1999
  • 발전소에서나 큰 산업공장에서는 대형전동기가 다수 가동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기가 불의에 정전되면 안전한 프랜트 운용을 위하여 자동 절환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발생되는 전동기의 충격감소와 자동절환 수행상 문제점을 소개하였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 선석길이 산정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Berth-Length Calculation of Container Terminal)

  • 송용석;남기찬;연정흠;김정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9-184
    • /
    • 2003
  • 부산항의 시설 능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중인 부산 신항만은 8,000 TEU급 대형선박의 입항이 가능한 환적항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항만의 경우 간선 항로를 운항하는 모선과 지선 항로를 운항하는 피더선이 동시에 입항하며, 터미널 설계 시 이러 한 상황을 반영하여 하역 능력, 운영계획, 장비 사양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산 신항만은 선석당 30만 TEU를 기준으로 터미널이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 주요 항만에 입항하는 다양한 규모의 선박을 고려하여 하역 능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 접안 능력의 관점에서 실제 두개의 터미널에 접안하는 선박의 규모별 적ㆍ양하량, 선박 길이 등을 반영해서 선석길이 및 선석 수를 산정하고 기존 터미널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고압계통의 보호계전방식

  • 신대승
    • 전기의세계
    • /
    • 제25권1호
    • /
    • pp.45-48
    • /
    • 1976
  • 전력수요의 증대에 따라 송전전압이 점차 높아지는 것은 세계적 경향이며 우리 계통도 전력수요의 계속적 성장과 발전기단위용량의 대형화로 지역간 격통전력은 증가추세에 있어서 현재 154KV보다 높은 345KV대용량 송전전압을 채택하게 되었다. 이 345KV계통은 전력계통의 골격을 이루고 있으므로 공급신뢰도가 높아야겠으며 만일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제법의 지연이나 실패를 할 경우, 그 영향이 전계통에 파급하여 대정전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계통구성의 강화와 더불어 보호계전장치도 종래보다 한층 높은 성능과 동작신뢰도를 확보해야 한다. 또 345KV변전소는 3/2CB모선이나 다단권변압기등 종래의 계통에는 없는 새로운 설비와 회로구성을 채용하기 때문에 보호계전방식도 이들과 조화된 방식으로 해야 한다.

  • PDF

터그보트를 이용한 선박접안제어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Constrained Control Allocation for Ship Berthing by Using Autonomous Tugboats)

  • 배헌민;부이반퍽;이동석;김영복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6-101
    • /
    • 2010
  • 접안을 위해 선박이 안벽으로 접근할 때나, 좁은 항내에서 선박을 조종할 때는 항해 중에서보다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것은 대형 선박일수도 분 관성력으로 인해 효과적인 제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터그보트를 수동적으로 제어하여 선박을 접안시키는 것이 현재로선 가장 일반적이 접안기술이라 할 수 있다. 지능적인 제어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접안을 시도하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auto-pilot 기술에 지나지 않으며 어느 것 하나 안정적인 접안을 위한 접안기술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터그보트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면, 보다 효과적인 터그보트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한 접안지원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터그보트의 원격제어를 통해 모선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접안하는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즉, 터그보트로 조종되는 선박조종시스템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터그보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모선을 제어하는 새로운 접안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하버 선박의 계류안정화시스템의 개념 설계

  • 정태권;이윤석;김세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1-212
    • /
    • 2010
  • 하역장치가 장착된 모바일하버 선박은 새로운 해상운송시스템 개념으로, 임시정박지에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계류하여 해상상태 3 이하 조건에서 선박간 해상계류 상태에서 신속하면서 효율적인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하버와 관련한 주요 연구로는 고속하역시스템, 부유체 구조 설계, 안벽하역시스템 해석 및 작업크레인 설계 둥의 원천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하버 선박의 하역작업 중 동척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류안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외 계류장치에 대한 현황 분석을 기초로 현재 선박에 탑재되어 있는 의장장치인 윈치시스템에 계류안정화 기능을 추가시킨 포지셔녕 윈치를 개발하여 모선과의 상대운동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 설계를 제안한다.

  • PDF

한국형 EMS용 모선별 부하분포계수(BLF)산정 프로그램 개발 - 가관측성을 고려한 상태추정에서의 응용 - (Bus Load Distribution Factor Program Development in K-EMS)

  • 정치훈;최영진;민경일;문영현;김홍래;이욱화;윤상윤;김선구;허성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58-260
    • /
    • 2008
  • 전력계통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용과 양질의 전력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사용, 에너지 시스템 운용에 있어 안정적, 효과적 제어를 기하고 있다. 그러나 전력감시제어설비(SCADA)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 누락, 또는 측정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상의 가관측성이 확보되지 않게 되어 상태추정이 불가능 할 수 있다. 이에 상태추정의 가관측성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 한국형 EMS (K-EMS : Korea Energy Management System)의 응용프로그램 중 하나인 BLF(Bus Load distribution Factor)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중에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BLF 산정 프로그램을 통한 가관측성 확보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한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하버 선박의 계류안정화시스템 및 의장장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for Mooring Stability System and Equipments of Mobile Harbor)

  • 이윤석;정태권;정창현;김세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1-317
    • /
    • 2010
  • 하역장치가 장착된 모바일하버 선박은 새로운 해상운송시스템 개념으로, 특정 정박지에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계류하여 해상상태 3 이하 조건에서 신속하면서 효율적인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하버와 관련한 주요 연구로는 고속하역시스템, 부유체 구조 설계, 안벽하역시스템 해석 및 작업크레인 설계 등의 원천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하버 선박의 하역작업 중 동적안정성 확보를 위한 계류안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외 계류장치에 대한 현황 분석을 기초로 현재 선박에 탑재되어 있는 의장장치인 윈치시스템에 계류안정화 기능을 추가시킨 포지셔닝윈치를 개발하여 모선과의 상대운동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설계를 제안한다.

항만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 인천항을 중심으로 -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New Port : Focused on Incheon Port)

  • 유홍성;김연성;신진;정벤윤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0-258
    • /
    • 2010
  •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천신항 I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단지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및 취업 유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06부터 2015년까지 3조 4,397억원이 투입되는 인천신항 I단계 개발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 취업유발인원 72,424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생산 40조3,985억원의 15.0%,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부가가치 36조5,080억원의 7.7%, 취업유발인원은 72,424명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취업자수 808,248명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 결과 인천신항 I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물류단지의 개발이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천신항의 개발은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적기에 추진되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항만의 기능은 과거 수송, 보관, 하역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단순한 국제운송에서 공급사슬의 중심 연결고리로서 산업 물류 비지니스 공간인 동시에 물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종합물류거점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항만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대형선의 등장과 장비의 대형화에 따라 대형 모선이 기항할 수 있는 종합물류중심의 거점항만으로 육성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