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건강 서비스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국외 병원도서관에서의 환자이용자를 위한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for Patient Users in Overseas Hospital Librarie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5-221
    • /
    • 2019
  • 본 연구는 국외 병원도서관 환자대상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총 89개의 국외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종합병원, 전문병원, 여성병원, 어린이병원, 재향군인병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89개 병원도서관에서 일반적이면서 공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으며 다음으로 차별화된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국외에서는 병원도서관의 설치와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서, 건강정보전문가, 의학전문사서, 사회복지사, 임상사서, 건강교육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의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셋째, 인쇄자료뿐 만 아니라 전자자료, 웹사이트, 팸플릿, 브로우셔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로도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건강(정보활용)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병원, 지역공공도서관, 지역공동체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통한 국내 병원도서관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병원도서관 설치 및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둘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협회의 지원과 계속교육의 필요성, 셋째, 병원도서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의무화 및 다양화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

병원도서관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환자서비스 유형 및 현황 (Types and Status of Patient Services based on Hospital Library Guideline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9-11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도서관의 존재 및 역할의 중요성으로 인해 관련 가이드라인 및 기준을 토대로 실제적으로 환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조사해 보고자 함이 목적으로 조사대상은 국외 병원도서관이다. 검색엔진 Google로부터 관련 검색어 결과 국외 병원도서관 사이트 90개를 선정하여 가이드라인 및 기준을 토대로 작성된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기본서비스'와 '건강정보자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으며 '건강정보자원서비스'의 경우, '교육'보다는 '제공 전달'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정신적 심적 치유서비스'는 전체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한 제언으로는 첫째, 환자만을 특화시킨 도서관 명칭이 필요하며 둘째, 정신적 심적 치유서비스인 문화 오락 재활 프로그램 제공, 특히 병원도서관 서비스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독서치료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며 셋째, 사서를 기본으로 한 건강사서, 자원봉사자의 인적자원 배치가 필요하다.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의 해외(싱가포르, 미국, 호주)와 한국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Focusing on Singapore, the U.S., and Australia)

  • 이주용;이은진;백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89-8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국내외 학교 중심 정신건강 서비스 사례를 비교하여 국내 상황에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외와 국내 서비스 주관 기관의 온·오프라인 공적 자료 및 학술 논문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배경, 목적 및 운영방식을 확인하였다. 국외 사례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수립계획, 사업 수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주도적 정책 수행기관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고,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심각도에 따른 다단계적 개입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정신건강 욕구에 반응하고 있었다. 국내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은 여전히 도입 단계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 간의 협조체계, 효과적인 운영체계마련과 학생, 보호자, 교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근로자의 건강증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참여적 실행연구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The Health Promotion for Worker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황원주;하지선;조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59-466
    • /
    • 2018
  • 본 연구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 PAR, CBPR을 중심으로 국내 외 문헌을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검토된 10개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보건전문가, 지역사회 네트워크, 근로자, 대학 연구자가 포함된 연구가 80%였고, 적용된 실행연구 기반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안전 건강관리인식, 금연, 당뇨관리,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증진, 심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정신 건강 등 다양했다.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공동 작업을 통해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차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협력하며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을 때 지속가능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 CBPR은 개인과 조직, 지역사회, 제도적 차원의 범위를 조정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다양한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일부지역 여대생의 치과의료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n Dental Care Satisfaction in College Women of Some Areas)

  • 이재라;한옥성;김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1-307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3월 14일부터 4월 21일까지 일부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실시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한 412부(91.6%)를 분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여대생의 치과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치과진료 및 치과서비스 만족도는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3.54{\pm}0.59$점) 치과진료의 만족도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구강보건인식에 따른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학년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의 상태가 건강할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구강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여대생이 인지하는 치과진료기관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만족도와 병원시설 만족도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707, p<0.01), 치과의료 서비스 만족도에는 치과치료 만족도와 병원시설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세심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는 환자들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인성 및 친절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이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Based on PHR.)

  • 심재성;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68-5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과 만성질환 및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식당, 커피숍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기능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환자 맞춤형 모바일 건강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patient-specific mobile health care system)

  • 윤성열;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1-11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환자 맞춤형 모바일 건강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의료정보 표준과 XML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병원과 연계되는 시스템을 고려하여 서비스 흐름도 도출 및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특히, 병원에서 질환관련, 식이관련, 운동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EMR 통합 Gateway를 통해 환자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개인건강정보 관리 모듈 과 임상정보 관리 모듈을 통해 HL7표준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XML 형태로 교환 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유연하게 접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타원곡선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암·복호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Personal Health Records Encryption and Decryption System Using Elliptic Curve Cryptography Algorithm)

  • 심재성;윤성열;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58-96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PHR(PHR : Personal Health Record) 서비스를 제공 할 때 발생 가능한 개인정보변조 및 유출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PHR과 ECC(ECC : Elliptic Curve Cryptosystem)에 대한 연구 및 안전한 개인정보 전송을 위한 XML 형식의 PHR 서비스 메시지 구조설계와 ECC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한 PHR 암 복호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포커스그룹을 이용한 한국 장애인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 분석: 장애인 건강주치의 2차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lated to unmet healthcare needs for the disabled in Korea using focus groups: Focused on the 2nd Pilot project for primary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미소;최경화;김정애;박진아;정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43-451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9일부터 2월 17일까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장애인이 인식하는 미충족 의료와, 장애인 건강주치의 2차 시범사업 관련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시범사업에 등록하였으며 의사표현이 가능한 장애인 5인(그룹 1)과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장애인의 보호자 5인(그룹 2)으로 구성되는 두 그룹에 대해 실시하였고, 각 그룹 당 약 100분의 면담을 1회 진행하였다.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된 요인은 의료서비스 이용자, 의료서비스 공급자, 제도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도출되었고, 이 중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를 통해 충족된 요인과 충족되지 않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를 해결하기 위해 방문서비스 확대 적용, 다양한 진료과로 주치의 범위를 확대, 물리치료사나 작업치료사 등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 서비스 단절 최소화를 위해 병원간 연계 활성화, 장애인 당사자 의견수렴을 통한 서비스 개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본사업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겠다.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 - 서울대학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Mhealth apps: The current status of usage and the factors of continuous use)

  • 서효정;홍현석;김민정;윤원정;이태훈;정지윤;황신하;조영태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27
    • /
    • 2015
  • 모바일 헬스(m-health) 시장은 특히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강 컨텐츠를 활용하는 양상으로 발전하면서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젊은 층의 건강 어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기전을 보다 파악하여 앞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모바일 헬스를 활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지속적 사용여부에 따른 앱 이용 성향의 차이를 분석하고, 건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Knowledge), 태도(Attitude), 믿음(Belief), 실천(Practice) 수준을 비교하였다. 지속적으로 건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집단은 전체의 28%로, 이들의 건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 태도, 믿음, 실천(KABP)에 대한 정도가 건강 어플리케이션 사용중단자에 비하여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마케팅 차원의 서비스 만족도 및 수용도 분석에서 더 나아가, 보건학적 관점에서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 욕구를 폭넓게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