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health apps: The current status of usage and the factors of continuous use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 - 서울대학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서효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홍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김민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윤원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이태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정지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황신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조영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Received : 2014.11.18
  • Accepted : 2015.02.12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As the mobile content industry is growing, mobile health (m-health) market is expanding based on various contents. It has developed in the way of utilizing health contents through mobile device such as smart phone among young peop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m-health application and factors of continuous usage among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m-health. The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application usage tendency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continuous usage, and compared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belief, and practice (KABP) of mobile health application. 28% of the total sample population uses the application continuously, and their KABP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users that stopped using. This study goes beyond the previous studies of servic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analysis on the marketing level,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nalyzed the m-health application usage from the public health point of view.

모바일 헬스(m-health) 시장은 특히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강 컨텐츠를 활용하는 양상으로 발전하면서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젊은 층의 건강 어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기전을 보다 파악하여 앞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모바일 헬스를 활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지속적 사용여부에 따른 앱 이용 성향의 차이를 분석하고, 건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Knowledge), 태도(Attitude), 믿음(Belief), 실천(Practice) 수준을 비교하였다. 지속적으로 건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집단은 전체의 28%로, 이들의 건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 태도, 믿음, 실천(KABP)에 대한 정도가 건강 어플리케이션 사용중단자에 비하여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마케팅 차원의 서비스 만족도 및 수용도 분석에서 더 나아가, 보건학적 관점에서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 욕구를 폭넓게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용찬. 스마트세대 20대의 미디어 이용 행태. KISDI STAT Report 201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p.1-8. 2013.
  2. 김영복. 대학생의 건강특성 및 대학건강증진을 위한 체계적 접근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5).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pp. 1-16. 2011.
  3. 조재희. 건강관련 앱의 지속적 이용에 대한 인지적 사회적 요인: 사회적 영향을 포함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TAM II)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8(1). 한국PR학회. pp. 212-241. 2014.
  4. 하은비, 임채민, 최준호.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 결정 요인. HCI2014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HCI학회. pp. 645-650. 2014.
  5. 왕보람, 박지윤, 최인영. 스마트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한국콘텐츠학회. pp. 396-40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