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의 기능

검색결과 1,865건 처리시간 0.033초

기능대학 설립법안 의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0권6호통권97호
    • /
    • pp.14-17
    • /
    • 1977
  • 과학기술처가 마련한 기능대학 법안 전문30조와 설립계획안이 6월2일 경제장관회의에서 의결되었다. 고급기능 관리자인 기능장의 의성을 위해 세워질 기능대학과 대학부설 기능대학은 수업년한 2년이며 기능대학은 창원기계공단등 정부가 지정하는 곳에 설치되며 대학부설 기능대학은 국공립 대학이나 사립대학에 설치할 수 있다. 과기처는 우선 창원기계공업 기지내에 기능대학 1개를 설립하기로 하고 서독차관140만달러 포함 내외자 36억원을 들여 시범교를 운영하기 위해 추경예산에 부지조성비로서 4억8천만원을 요청 연말까지는 정식발족시키기로 하였다. 과기처는 건물과 시설을 79년까지 갖추고 기계, 금속, 전기전자등 주로 중화학공업분야 과목 신입생을 모집 이수자에게는 기능자아 자격을 수여하게 된다. 다음은 기능대학 설립 추진 경위와 설치 계획 전모이다.

  • PDF

대학박물관의 기능과 역할 (Functions and Roles of University Museums)

  • 김홍남
    • 고문화
    • /
    • 57호
    • /
    • pp.289-299
    • /
    • 2001
  • 대학박물관은 기능적인 면에서 일반박물관과 크게 다른 점은 없다. 즉 대학 박물관도 유물과 유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하고 조사$\cdot$연구하여 전시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담당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이라고 하는 특수한 교육환경속에 존립하고 그 주 대상이 대학인이므로 인해서 그 역할면에서는 일반박물관과는 다소 다른 차원의 교육기능을 수행해야하고 또 그 수집$\cdot$연구$\cdot$전시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일반박물관과는 범위와 방법, 그리고 성격을 다소 달리할 수 있다고 본다. 대학박물관은 대학인이나 일반인이 일반박물관에서 맛볼 수 없는 경험을 줄 수도 있고, 궁극적으로는 일반대중의 문화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본다. 즉 대학이 운영관리하고 대학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해방 대학의 학생$\cdot$교수$\cdot$직원들이 주 대상이긴 하나, 일반인에게도 열려있어 한 지역의 훌륭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을 수도 있어야 한다고 본다.

  • PDF

대학 조직의 이념

  • 신재철
    • 대학교육
    • /
    • 통권77호
    • /
    • pp.67-75
    • /
    • 1995
  • 대학 조직에서 자율성은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그것은 대학 조직에 있어서 하나의 이념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대학 조직에서 자율성은 왜 필요한가? 첫째, 교육의 본질이 학생의 자율성을 신장시키는 데 있기 때문이다. 둘째, 대학의 교육기능 자체가 전문성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다. 셋째, 자율성은 대학의 전통적 기능인 연구와 교육의 기능을 창조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현대와 같이 복잡한 사회에서 다양성과 창의성이 존중되고 환경과 여건의 변화에 신축성 있게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데 필수적인 이념이기 때문이다. 넷째, 국가의 가장 기본법인 헌법에서부터 대학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 PDF

대학도서관과 아카이브즈에 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University Library and Archives)

  • 신동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3-108
    • /
    • 200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과 아카이브즈의 자료, 기능, 조직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두 조직 간의 유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아카이브즈의 수집대상자료는 대학도서관의 자료의 범주에 포함되며, 아카이브즈의 기능은 도서관의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조직체계는 설립초기로서 대부분 박물관에 소속되어 있고 그 외 행정부서, 도서관 등에 소속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 아카이브즈는 봉사대상, 수집자료, 기능이 대학도서관과 일치하거나 포함되므로 대학도서관의 자원(인력, 시설, 장비, 기술정보 등)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Adop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영미;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71-488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별 차세대 OPAC 기능 수용 현황을 파악하고, 기능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 OPAC 기능 27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191개 대학도서관 중 접속 가능한 181개 대학도서관의 OPAC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수용은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운영주체, 설치지역, 총예산, 장서량, 이용대상자수, 그리고 도서관자동화시스템 등의 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기능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학의 운영주체 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차세대 OPAC 기능의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대학 학과기록의 디지털 리포지터리 플랫폼 구축 (Building a Digital Repository Platform for Academic Department Records)

  • 조용훈;서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9-233
    • /
    • 2016
  • 대학의 학과기록은 대학기록관 부재로 인하여 또는 대학기록관이 있다 할지라도 관리영역 밖으로 인지되어 체계적인 수집 및 보존이 안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학과기록을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보존하며 이러한 학과기록에 개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에서의 학과기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소속 70명의 학과조교와 32개 대학의 대학기록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학과기록의 생산과 보유 현황, 학과기록의 기술요소, 학과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과기록 관리를 위한 26개 기술항목을 선정하였고 OAK 리포지터리 환경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기능설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로그인 관리 기능, 파일등록 기능, 검색 기능, 브라우징 기능을 갖춘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인 'DRRU(Department Records Repository in the University)'를 구축하였다. 제안된 'DRRU'는 실험데이터 검증을 통하여 각 구성된 기능 및 인터페이스가 적합하게 구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록물관리법 시행에 따른 대학기록물 보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University Records by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 정미봉;홍현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83
    • /
    • 2005
  •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법 시행과 함께 대학자료관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료관의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고, 규모 및 기능 등을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학자료관 설치를 통한 효율적인 대학기록물 보존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발전계획의 수립과 유사기능을 갖는 도서관 및 박물관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기록물 및 보존환경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여러 곳에서 기록물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관리의 측면에서는 이들 모두 대학 기록물로서의 일부를 이루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대학의 경우 현실적인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관 내 유사기능 기관들과 또는 지역 내 대학간 협력을 통해 기록물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수행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 PDF

전략적 기획을 통한 대학의 교육 및 연구 기능 강화 방안

  • 박진규
    • 대학교육
    • /
    • 통권80호
    • /
    • pp.90-102
    • /
    • 1996
  • 대학을 행정과 경영의 대상으로 삼아 자체의 조직과 위치해 있는 사회적 환경요인을 체제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전략적 기획'은 1960년대 이후 대학조직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략적 기획의 관점에서 볼 때, 대학의 전통적 기능인 교육과 연구활동의 활성화 문제는 교수 개개인 혹은 대학내 특정 집단이 독자적으로 감당할 것이 아니라 대학이 변화하는 사회 환경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후, 그 결과에 기초하여 기관적 차원에서 대처해나가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 PDF

대학부설연구소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박준식
    • 대학교육
    • /
    • 통권74호
    • /
    • pp.74-86
    • /
    • 1995
  • 우리나라 대학부설연구소는 적어도 양적인 면에서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연구소가 운영되는 양상을 내부적으로 살펴보면 상당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연구소의 난립화, 윳겅정책의 미흡, 재정 취약, 활동 미약, 평자체제의 미비, 전임연구원의 부족, 연구소장에 대한 동기부텨 미흡 등이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여 연구소가 경쟁력을 갖추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첫째, 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차별적 지원과 통합의 기준으로 삼는다. 둘째, 연구소를 주제와 지역적 관점 등에서 특성화하고 기능적 관점에서 개성화시킨다. 셋째, 목적과 기능이 중복되거나 성과가 미미한 연구소는 평가결과에 따라 통합한다. 넷째, 정부와 대학 당국의 재정 지원 강화와 관리 감독 기능을 강화한다. 다섯째, 개별 연구소들의 지구적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