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수학교육

Search Result 55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공학교육에서의 수학에 관하여

  • Lee, Chu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23-234
    • /
    • 2003
  • 공학에서의 수학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부제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점차 많은 대학의 공과대학에서는 수학없이 공학교육을 하려하고 있다. 외국의 시장개방 압력에 따라 공학인증제의 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이때에 공학인증제에 따른 공학에서의 수학교육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수학사 및 수리철학 강좌 운영

  • Sin, Hyeon-Yong;Seo, Bong-G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7
    • /
    • 2003
  • 수학사 및 수리철학에 관한 연구는 교사양성 대학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 자연대의 수학과는 수학 그 자체가 중요하겠지만, 교사양성 대학에서는 수학 내용자체 뿐만 아니라, 수학의 역사적인 측면과 수학에 관한 인식론적인 측면이 함께 요구되어 진다.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온 수학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은 수학교육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등으로 인해 수학에서의 논리체계는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숱한 오류들의 극복을 통해 발전해 온 수학사적인 측면과 그로 인하여 수학에 관한 인식론적 변화를 수학에서의 큰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유클리드 기하에서 비유클리드 기하의 발견, 칸토어의 무한한 역설의 발생, 역설을 극복하기 위한 수학기토론의 탄생,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로 이어지는 과정들을 살펴보고, 그로 인해 도출되어지는 수학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해 보며, 이르르 바탕으로 교사양성 대학에서의 수학사 및 수리철학 강좌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 PDF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rly 20th century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 Lee, Sang-Gu;Ham, Yoon-Me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2 no.3
    • /
    • pp.207-254
    • /
    • 2009
  • We would like to give an introduction about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the early 20th centuryan Ttails like, when tertiary mathematics was introduced in Korea, who adiated it, and how it appeared in curriculum for college education were presen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royal circle of the dynasty, officers, socd. Felites, intellectu. sculum in tand many foreatn my mionaries, who entered Korea, began to establish educational ulstitutions begulnearlfrom the nt80s. Kearl GoJongtannounced thescript for general education icentur. Most of the new schoo scadiated western mathematics as tcompulsory course in their curriculumiese introduced tertiary mathematics in most of the curriculumurse end curriculum in, lfrom nt85 to 1960. Since then, tertiary mathematics was tautit at most of the new private and public schools of each level and in colleges. We have investigated the history of Korean tertiary mathematics with its curriculum from 1895 to 1960.

  • PDF

A study on the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에 대한 고찰)

  • Cho, Seongmin;Kim, Jaehong;Choi, Jiseon;Choi, In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2
    • /
    • pp.195-217
    • /
    • 2014
  •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s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examin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SAT is a high-stakes test because of powerful social forces whic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has in Korea. This examination has changed many times through not only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ut also various external factors including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mitigating the burden of students, etc. This study analysis the changes of assessment contents of the Mathematics of the CSAT due to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sis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some foreign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will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Mathematics of the CSAT.

대학수학에서, 글쓰기를 통한 호의적인 태도변화 모색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411-422
    • /
    • 2001
  • 대학수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수학전반에 대한 학습진단, 느낌, 대책, 자기경험등 여러가지를 발표토록하여 바람직한 수학관을 갖고 수학학습태도를 기르도록 도움을 줄 기회를 갖게 하며, 수학이 중요하고 필요함을 깨우쳐 수학이 그들 인생의 동반자가 되도록 한다.

  • PDF

대학수학에서 문제해결지도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07-214
    • /
    • 2003
  •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하여 습득하여할 중요한 주제는 수학 지식과 수학을 다루는 인지적 조작 기술일 것이다. 특히 수학지식과 지식의 활용은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에서 의미 있게 학생에게 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수학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수학의 가치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대학수준의 수학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은 중요한 수학교육의 중심 수단으로서 목적으로서 선언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잘 다루고 있지 못하다. 문제해결 지도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1950년대의 문제해결전략을 다룬 Polya, 1990년대의 메타인지적 접근을 강조한 Schoenfeld 및 최근의 여러 연구자들의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대학 수준의 문제해결 수업의 접근 방법을 소개함으로 문제해결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특히 Schoenfeld의 문제해결 수업 모델은 수학 교육의 교실 수업으로의 구현 측면에서 갖는 다양한 함의를 제시한다.

  • PDF

Korea-U.S. Cross-National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College Entrance Exams : the 7~th Pilot Test and the S.A.T. (한미 대학 입학 시험(수학)의 비교 연구 : 7차 실험 평가와 S.A.T.를 중심으로)

  • Kwon Oh Nam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2 no.3
    • /
    • pp.244-255
    • /
    • 1993
  • 본 연구를 수행하게된 동기는 1994년부터 미국에서 S.A.T.를 개정하고, 한국에서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라는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는 것에 있다. 대학 학업 적성 평가 제도로서 미국의 S.A.T. 제도에 대한 유효성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과 S.A.T.는 각각 한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학업 적성을 측정한다는 면에서 그 목적이 같다.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유효성을 연구하기에는 아직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너무 이르다고 본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 확립이 실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와 S.A.T.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선발된 집단으로서 광주시의 3개교 6학급의 고등학교 3학년 283명이 참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연구되었다. 1.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남녀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2.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자연계 인문계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3.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의 상관 관계.

  • PDF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5 College Entrance System : Critical Considerations for the Recent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과 개선방향 -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

  • 장경윤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27-42
    • /
    • 2003
  • The current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d been developed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begun to apply to high school since 2002. This paper discusses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pplication into high school.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grades 11 and 12 was developed primarily as a learner-centered one to provide five elective courses according to the needs of students based on their future occupation and attitudes. Discussion starts with the differences of the five elective courses: the three of them have dependent and sequential structure and the two are totally different with regards to their levels of difficulty and the content they span. It is claimed that the frameworks of the 2005 National Ability Test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the minimal enrollment requirements of several influential colleges' admission policy make the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very rigid, unflexible, and anti-educational. Several suggestions to recover and imp-rove the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spirit of the 7th curriculum are presented.

  • PDF

교사 양성기관에서의 기하교육

  • Park, Hye-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7-22
    • /
    • 2003
  • 현재 각 대학의 사범대학에서는 저마다의 교과과정에 의하여 기하교육을 하고 있다. 해석학이나 대수학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기하학 강좌 내용에 대하여 우선 몇 군데 대학에서의 기하학개론 및 미분기하학 강좌 내용을 비교하고, 교사 양성기관에서의 기하학 개론과 미분기하학 강좌에서 다루어야 할 필수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through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in Engineering Freshmen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 Lee, Jung 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513-532
    • /
    • 2015
  •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for freshmen in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we analyse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between 2011 year and 2015 year freshmen who took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hich are based on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7th and 7th revision, respectively. In A university, 2011 year and 2015 year engineering freshmen were taken basic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given the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iddle level engineering freshmen were poor at basic mathematical ability.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appeared in the level of mathematics ability and the effort for college mathematics class. Moreover middle level engineering freshmen recognize college mathematics as a basic subject for engineering and hope teacher-directed learning in college mathematics class. For the success of college mathematics in engineering college, this study suggests basic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the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We also suggest that college mathematics class must be focused on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