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도서관서비스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도서관의 가치 기반 서비스 마케팅 강화 전략 (On Value-driven Market Orientation Strategies in Academic Libraries)

  • 심원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1-334
    • /
    • 2007
  • 영리 기관들에 사용되었던 마케팅 기법이 도서관 운영과 서비스 전달에 활용된 지 오래다. 최근에는 소비자, 이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의 가치가 극대화 되도록 하는 pull 접근법이 정보기술의 발달, 점점 까다로워지는 소비자, 경쟁 심화 환경에서 더 설득력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보다 고객가치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산업으로서의 도서관을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전체의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도서관 서비스 가치에 대한 Saracevic과 Kantor의 Reasons- Interaction-Results(R-I-R)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도서관이 이용자 서비스의 가치를 증대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방안으로 경영전략 분야에서 개발된 시장지향 접근법에 대해 소개하고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학도서관은 마케팅 활동 지향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필요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직 내외부로 전달하여 조직 전체적인 대응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가치 창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대학도서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in Academ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11-231
    • /
    • 2005
  •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의 성공적인 결합체인 인터넷의 확산으로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에 동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증가되는 비용과 감소되는 예산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도서관 개발 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학도서관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사례의 제시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개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친구 커뮤니티 조직의 생성을 지원하고 기금조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료 정보서비스 방안을 검토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 할 수 있도록 대학도서관 개발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A를 이용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Evaluation Efficiency of University libraries th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7-16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다양한 활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보서비스의 생산 및 이용의 과정 속에서 2년(1999-2000) 동안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평가에 있어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이 가진 환경적 요소는 외생변수로 고려되었다. 실증분석은 서비스의 생산과 이용의 두 측면에서 독립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도서관의 효율성 정도는 평가 년도에 따라, 평가 영역에 따라 그리고 도서관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주제화된 도서관이라 할 수 있는 CADSIT 대학도서관이 일반대학도서관에 비해 서비스의 이용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효율적인 도서관의 비효율성은 투입량의 비효율적 사용보다는 산출량의 생산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시대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Academic Library Online Services in the Pandemic Era)

  • 이지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59-185
    • /
    • 2021
  • 팬데믹 이후 대학의 비대면 원격 학습 전환으로 도서관의 정보 이용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변화에 따른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 및 교육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이후에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와 이에 대한 원격 학습자들의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1) 국내외 대학도서관 60곳이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그리고 2) 원격 학습을 하는 대학생들의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이후 국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하고 있었으며, 이용자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 서비스와 온라인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높은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발생 후에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및 대학생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팬데믹 위기 속에서 원격 학습으로 전환된 대학의 교육과 도서관의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동향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모델의 설정 (Modeling of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Analysis of Trends of American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노진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3-395
    • /
    • 2001
  • 본 연구는 이용자가 선호하는 인터넷 정보환경에서 생존하고 타당성 있는 조직으로 존재하기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효과적인 수행하기 위한 정보서비스의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66개의 미국의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하이브리드 정보서비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관 웹 포털의 구축이다 이것은 전자적 자원의 발굴과 제공, 연구의 지원, 도서관 연구의 지원 수업의 지원 등을 포함한다 둘째, 하이브리드 기능의 길 프론트 엔드의 제공이다. 셋째, 정보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원이다. 이를 위해 정보의 탐색, 조직, 평가 능력의 함양과 정보기술의 지원 및 도서관 이용 교육의 확산(계층별, 주제별, 상호작용적)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공유의 확대이다. 자원공유의 확대를 위해서는 지역 네트워크를 통한 자원의 공유 도모, 도서관 상호대타의 활성화, 저작권 관련 정의의 제공 접근성의 향상(캠퍼스 밖에서의 도서관 정보자원에 대한 원격접근의 제공, 정보서비스를 위한 각종 양식의 온라인 제공과 접수) 도서관 정보의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User Needs and Uses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30
    • /
    • 2013
  • 대학도서관은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도서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모바일 서비스의 양적 증가만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경험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재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도서관 이용빈도 및 목적, 이용/비이용 요인, 접근 경로,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만족도, 불만족요인,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서비스 개선과 이용률 제고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 가상현실(VR)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Virtual Reality Service at a University Library)

  • 이기영;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3-1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VR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됨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 중 V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평가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VR 서비스의 종류와 현황을 분석한 후, VR 서비스 이용자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이용자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용자 의견과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대학도서관에서의 VR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 분석: A와 B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 of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Focused on A and B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7-19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현안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에 소재하는 A와 B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도서관으로부터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이용통계를 수집하였으며 전자책 담당사서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자책 도입현황, 예산 및 수서, 접근 및 목록, 이용, 홍보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의 어려움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전자책 이용률이 낮았으며 특히 최근에 이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책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간도서 미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책 수서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현안은 2015년에 제정된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평가기준이 현재 전자책 수서 및 관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 및 사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etaverse Utiliz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nd Librarian Perceptions)

  • 오재령;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59-180
    • /
    • 2022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과 사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외 도서관의 메타버스 사례와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운영 경험이 있는 대학도서관 사서 9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과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메타버스의 운영에서 겪었던 어려움,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성화 방안으로 메타버스 서비스의 차별화, 전문인력의 확보, 교육의 활성화, 자료 열람 기능의 확대, 서비스에 따른 플랫폼 선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도서관에서 메타버스를 운영하거나 계획할 때 있어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n An.0, pproach to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이병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443-464
    • /
    • 1998
  • 21세기를 맞이하여 대학도서관은 정보기술의 도입, 업무내용의 변화, 이용자의 요구변화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새로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다양한 조직이론들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기초해서 도서관조직을 활성화시키기위한 개념적인 조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거의 10년동안 법적인 제약과 조직내외의 환경적인 한계 등으로 인해 전산화시스템의 도입, 도서관부관장의 임명, 그리고 도서관과 컴퓨터 센터와의 통합시도와 같은 약간의 변화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형적인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수서, 기술서비스, 열람과 참고봉사 부문으로 조직되었다. 여기서 수서 기능을 기술서비스의 부문으로 간주한다면,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도서관 114개관 중 95개관(82.5%)이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형태인 기술서비스와 공공서비스 부문으로 조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문제점들을 급복할 수 있는 21세기의 개념적인 대학도서관 조직모델로서, 네가지 부문 - 서비스 부문, 서비스지원 부문, 기술지원 부문, 그리고 통합·조정부문-을 대학도서관의 개념적인 기본 구성요소로써 제안하였다. 그러나 모든 도서관의 서비스나 업무과정에 대해 적합한 잉상적인 조직구조는 없으며, 조직의 재조직과정은 도서관의 형태와 목적, 업무과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도서관의 재조직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과정이 될 것이며, 도서관조직의 성공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과 조직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하겠다.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