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85 seconds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CP scenarios at Korea (RCP 시나리오별 한반도 가뭄특성 분석)

  • Kim, Jungho;Kim, Sangdan;Joo, Jing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4
    • /
    • pp.293-303
    • /
    • 2016
  • This study implemented a comparison of SPI characteristics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spatial analysis depending on four RCP scenario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drought using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resulted from daily precipitation data reflecting future green gas concentration scenarios, and spatial distribution field of seasonal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and its dur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drought trends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As a result, we found that SPI time series wa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lower than 0.08.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spatial distribution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in drought severity, frequency, and duration. The biggest reason of the difference is daily precipitation data based on the different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but we could not find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extent on drought occurrence proje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drought analysis results using single RCP scenario may have considerable uncertainty.

The Variation of Surface Runoff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표유출량 변화)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6-356
    • /
    • 2018
  • 기후변화는 자연적 요인보다는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상승하고 있으며, 강수량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미래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변화는 나아가 수문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 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순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 수문 프로그램의 대상 유역 중 하나로 장기간의 강우-유출 자료가 구축되어있는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 유출량 변화를 살펴본다. 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 가스 농도를 정의하는 시나리오인 대표농도경로(Reper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적용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여러 RCP 시나리오 중 기후변화가 현재의 추세를 쫓아 상승 형태를 나타내는 RCP 8.5 시나리오와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어 형태가 안정된 RCP 4.5 시나리오 두 개를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근본적으로 불확실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정 기후변화를 가정하기 보다는 특성이 대비되는 두 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의 발달 정도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장기간의 수문 순환 특성을 모의하기 위하여 준 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인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을 이용하며, SWAT에서 요구되는 방대한 양의 매개변수들은 매개변수의 최적값 산정 프로그램인 SWAT Calibration and Uncerntianty Programs (SWAT-CUP)을 통해 얻는다. 과거의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구축된 SWAT 모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표유출량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구축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한 결과, 두 개 시나리오 모두에서 청미천 유역의 지표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4.5 시나리오보다 RCP 8.5 시나리오에서 더 많은 유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출량의 증가와 함께 총 부유사량 또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RCP 8.5 시나리오에서 더 많은 유출이 계산된다. 이러한 유출량의 증가는 강수량, 기온, 일사량, 풍속, 습도와 같은 기후 특성의 변화가 고려된 결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총 유사량의 증가는 범용토양 유실공식에서 강우 에너지의 증가로 인해 유출량과 동일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Adult Emergence Time and Generation Number of Overwintered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According to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애멸구 월동 개체군의 성충 발생시기 및 연간 세대수 변화 예측)

  • Jung, Myung-Pyo;Park, Hong-Hyun;Lee, Sang-Guei;Kim, Kwang-Ho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2 no.4
    • /
    • pp.427-430
    • /
    • 2013
  • Recently,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substituted by the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 fo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Using the RCP scenario,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produced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Further,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of Korea produced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emergence time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and the number of generations a year were estimated during climatic normal year (1981-2010)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y were predicted during 2050s (2045-2054) and 2090s (2085-2094) by means of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In comparison with $176.0{\pm}0.97$ Julian data in the climatic normal year, the emergence time of overwintering SBPH was predicted to be $13.2{\pm}0.18$ days ($162.8{\pm}0.91$ Julian date) earlier in 2050s and $32.1{\pm}0.61$ days ($143.9{\pm}1.08$ Julian date) earlier in 2090s. The SBPH was expected to produce an additional $2.0{\pm}0.02$ generations in 2050s and $5.2{\pm}0.06$ generations in 2090s.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Future Precipitation from RCP Scenarios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강수량의 지역빈도해석)

  • Kim, Duck Hwan;Hong, Seung Jin;Choi, Chang Hyun;Han, Dae Gun;Lee, So Jong;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1
    • /
    • pp.80-90
    • /
    • 2015
  •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pattern and intensity are increasing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induce increasing impervious area and the climate change. Therefore, more severe urban inundation and flood damage will be occurred by localized heavy precipitation event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future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under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The observed precipitation data from 58 stations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re collected and the data period is more than 30 years. Then the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the observed data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re estimated. In order to remove the bias from the simulated precipitation by RCP scenarios, the quantile mapping method and outlier test are used.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L-moment method(Hosking and Wallis, 1997) is performed and the future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80, 100, and 200 years of return period are estimated. As a result, future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will be increased by 25 to 27 percent. Especially the result for Jeju Island shows that the increasing rate will be higher than other areas. Severe heavy precipitation could be more and more frequently occurred in the future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runoff characteristics will be also changed by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climate change. Therefore, we need prepare flood prevention measures for our flood safety in the future.

A Study on Runoff Prediction according to Land Use Change Considering Uncetainty based on AR5 Scenario in Doam Dam Watershed (AR5 시나리오기반 불확실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암댐 유역의 유출전망)

  • Kim, Jung Min;Moon, Soo Jin;Kim, Ji Hoon;kang, Boosi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1-421
    • /
    • 2015
  • 2007년 IPCC 4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 이후, 최근 제 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표준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로 새롭게 선정하여 발간되었다. 이러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수자원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후변화 모델을 제공하는 기관이 많고 전지구적인 스케일로 제공되고 있어 모델의 선택여부와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케일 불일치 등 다양한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지역인 도암댐 유역은 상류에 고랭지 밭이 다수 위치해 있으며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는 평창에 속해있어 2011년 이후로 급격한 개발이 이루어졌고 지속적으로 토지 이용변화가 일어나는 유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CP 4.5와 8.5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총 20개의 기후변화 모델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역오차보정을 통해 지역적인 스케일의 불일치를 개선하고 미래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비정상성을 고려한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통해 미래 시나리오의 정확성을 높였다. 과거 토지이용변화추세를 반영하여 5가지의 미래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유역모형인 SWAT모형에 적용하여 미래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도암댐 유역에서의 유출을 전망하였다.

  • PDF

Performance of a RBSN under RCP Scenarios in Korea

  • Kwon, You 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4-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거 강우자료 (1971-2000)와 대표농도경로 RCP 4.5와 8.5 (2071-2100)를 사용하여 RBSN(Rain Barrel sharing Network)의 효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IPCC 5차 평가 보고서에 의하면 앞으로의 기후변화에 있어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에 관계없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활용가능한 수자원이 늘어나지만, 장마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할 수도 있는 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미래 기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RBSN을 적용하여 과거 강우자료와 온실가스 시나리오 하에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RBSN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신뢰성, 복원탄력성, 취약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RBSN 적용 시 네트워크의 증가에 따른 신뢰성과 취약성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하에서 각각 3.44%, 49.18% 향상되었고, 복원 탄력성이 16.7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orecasting of Sea-Level Rise using a Semi-Empirical Method (반경험식법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 예측)

  • Kim, Tae-Yun;Cho,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1
    • /
    • pp.1-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dicted sea-level rise for RCP 4scenarios(RCP 2.6, RCP 4.5, RCP 6.0, RCP 8.5). To calculate sea-level rise, a semi-empirical method was used and it needs atmospheric temperature rise for each scenario.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a-level has been rising steadily in all scenarios. By 2050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between the scenarios was within 0.08 m, but its difference was showed more than 0.5 m in 2100. The values of sea-level rise for RCP 2.6, RCP 4.5, RCP 6.0, RCP 8.5 scenarios are 0.87 m, 1.21 m, 1.02 m, 1.36 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CP 8.5, the slope of atmospheric temperature rise since 2060 was very steep compared to the other scenarios so that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between the scenarios will be much larger after 2100. Estimated by a simple approximation,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can be more than 1.2 m in 2120.

Estimation of groundwater content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

  • Choi, Gwang Bok;Park, Ki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3-273
    • /
    • 2021
  • 기후변화는 미래세대의 문제뿐만 아니라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매우 심각한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OECD 환경전망 2050 보고서를 비롯한 많은 연구에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경고하고 있다. 평균기온 상승은 강우패턴의 변화를 일으켜 극한기후상황인 가뭄, 폭염, 홍수 등의 증가로 이어지며,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981년~2010년 1.2℃ 상승 했으며, RCP8.5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경 4.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열대야일수, 폭염일수, 여름일수와 같은 극한지수가 증가하고 강수량 변동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며, 가뭄관련 최대무강수 지속기간도 길어지며, 극심한 물부족이 예상된다. 따라서 가뭄 재해를 대비하고, 지하수의 활용에 대한 계획 수립에 바탕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기간 동안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예측은 IPCC 대표농도경로 RCP2.6, RCP4.5, RCP6.0, RCP8.5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청의 미래 기후전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주지역의 2021년~2100년 까지의 평균기온, 강수량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유역의 도시개발계획을 조사하고 장래 토지피복도를 추정하여 SWAT모형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보정 및 모델링을 실시하여 장래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 PDF

The ETCCDI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RCP Scenarios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

  • Kim, Duck Hwan;Kim, Yon Soo;Hong, Seung Jin;Ly, Sidoeun;Jung, Younghu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95-607
    • /
    • 2013
  • In this study we estimated ETCCDI and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using observed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from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scenarios for 58 weather stations which have the recorded data more than 30 years. We tried to eliminate the bias by Quantile Mapping and tested for outliers of simulated dat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Then we estimated ETCCDI related to precipitation and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the future. In addition to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the future target periods. According to the result, dry days will be increased in Korean Peninsula in the 2090s. Also it showed that the number of heavy precipitation day more than 80mm/day tends to be increased in 3~7% in the future. The precipitation of 24-hour duration under climate change will be increased by 17.7% for 80-year frequency, 18.2% for 100-year frequency and 19.6% for 200-year frequency in 2090s. In the 21st centur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s expected to be increased due to increase of precipitation and the change of runoff characteristics under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proposed ETCCDI and precipitation frequency under climate change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future natural disaster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