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칭적 변형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ymmetric Shape Deformation Considering Facial Features and Attractiveness Improvement (얼굴 특징을 고려한 대칭적인 형상 변형과 호감도 향상)

  • Kim, Jeong-Sik;Shin, Il-Kyu;Choi, Soo-Mi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6 no.2
    • /
    • pp.29-37
    • /
    • 201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deformation method for alleviating the asymmetry of a scanned 3D face considering facial features. To handle detailed areas of the face, we developed a new local 3D shape descriptor based on facial features and surface curvatures. Our shape descriptor can improve the accuracy when deforming a 3D face toward a symmetric configuration, because it provides accurate point pairing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symmetry. In addition, we use point-based representation over all stages of symmetrization, which makes it much easier to support discrete processes. Finally, we performed a statistical analysis to assess subjects' preference for the symmetrized faces by our approach.

비대칭압연된 Cu-Fe-P합금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 Lee, Seong-Hui;Im, Jeong-Yun;Eo, Gwang-Jun;Han, Seung-J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53.1-53.1
    • /
    • 2010
  • 비대칭압연의 일종인 이주속압연은 기존의 압연에서 도입되는 대칭적 변형과 매우 다른 변형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금속 소재의 제조 공정 프로세스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주속압연을 행하게 되면 중립점(neutral point)이 상부롤과 하부롤에서 다른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로 인해 일반 동속 압연과 달리 두께 표면부위에서만 도입되는 전단 변형을 내부까지 도입시킬 수 있으므로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변형을 부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료 전체에 큰 상당 변형량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석출상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팀은 지난 연구에서 무산소동에 이주속압연을 실시하여 균일변형을 위한 최적 이주속압연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합금 설계한 Cu-Fe-P 동합금에 이주속 압연을 실시하여 압연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주속압연이 동속압연에 비해 세 종류의 동합금 모두에서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전단변형을 도입할 수 있었으며, macrostructure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불균일성은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장특성은 이주속압연과 동속압연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동속압연재와 달리 이주속압연재의 집합조직은 상부롤, 중심부, 하부롤 모두에서 압연집합조직이 발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속압연된 동합급에 $100^{\circ}C-800^{\circ}C$까지 여러 온도에서 30분간 Annealing을 실시하여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 PDF

비축대칭 소재에서 내부가 원형인 튜브의후방압출 해석

  • 양동열;배원병;김동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74-78
    • /
    • 1992
  • 외부가 비축대칭인 튜브의 수방압출은 자동차와 항공기등의 복잡한 부품을 만드는데 많이 사용된다. 이런 후방압출 제품의 변형 상태는 저자들의 논문에서 이미 밝힌 바와 같이 복잡하다. 그래서, 외부가 비출대칭인 튜브형상의 후방압출은 근래에 와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의 논문 에서 제시된 동적가용속도장을 수정하여 비축대칭인 소재에서 내부가 원형인 튜브의 후방압출의 최종 단계를 해석하 고자 한다. 해석의 적용예로서는 정다각형 소재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rounded rectangle)소재를 택하였다 제시된 속도장으로부터 단면 감소율과 형상비(aspect ratio)에 대하여 압출 하중과 압출된 소재의 평균 높이가 결정된다. 이론적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퓰림처리된 AIST-2024 알루미늄 소재로 실험하였다.

Creation of Fractal Images with Rotational Symmetry Based on Julia Set (Julia Set을 이용한 회전 대칭 프랙탈 이미지 생성)

  • Han, Yeong-Deo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6
    • /
    • pp.109-118
    • /
    • 2014
  • We studied the creation of fractal images with polygonal rotation symmetry. As in Loocke's method[13] we start with IFS of affine functions that create polygonal fractals and extends the IFS by adding functions that create Julia sets instead of adding square root functions. The resulting images are rotationally symmetric and Julia set shaped. Also we can improve fractal images by modifying probabilistic IFS algorithm, and we suggest a method of deforming Julia set by changing exponent value.

외연적 강소성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박판 성형 공정의 해석

  • 안동규;정동원;양동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57-62
    • /
    • 1992
  • 박판 성형 공정에서는 복잡한 실제 차체판넬을 금형설계단계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평면 변형 문제로 취급할 수 있는 많은 국부 단면들에 대해 단면 해석방법이 쓰이고 있다. 최근에 박박이론 및 굽힘 에너지가 보강된 박막 요소에 근거한 내연적 강소성 유한 요소 해석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박판 성형 공정의 단면 해석을 위해 외연적 강소성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였고, 접촉처리는 직접적 시행착오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적합성을 보이기 위해 평면 변형을 가정한 실린더형 펀치 스트레칭과 트렁크 리드 대칭 단면을 해석하였다.

Fabrication of symmetrical thin film diodes using flexible electrodes (연성 전극을 이용한 대칭형 박막 다이오드 제작)

  • Lee, Chan-Jae;Hong, Sung-Jei;Moon, Dae-Gyu;Han, J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b
    • /
    • pp.128-131
    • /
    • 2002
  • 연성 AI 전극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기판 위에 대칭성 박막 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다이오드의 구조는 $Al/Ta_{2}O_{5}/Al$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AI 전극 제작시 하부 AI 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無)식각 공정을 개발, 적용하였다. AI 전극을 사용한 결과 단단한 Ta 전각에서 나타난 변형 빛 균열 문제가 해결되었다. 또한 상부 빛 하부의 대칭성 전극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I-V 곡선이 완벽한 대칭형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Propagation of electromagnetic and gravitational waves in braneworld (전자기파와 고차원 중력파 전달 고찰)

  • Lee, Tae H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385-388
    • /
    • 2019
  • Considering spherically symmetric spacetimes embedded in a 5-dimensional static Lorentzian manifold, within the large distance limit of DGP model, we study null geodesic equations. We discuss possible relations of particles following the geodesics with the gravitational waves detected recently, in comparison with the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ing in these brane spacetimes.

Orientation States of Ferroelectric Domains and {111} Twins in $BaTiO_3$ ($BaTiO_3$의 {111}쌍정계면과 강유전 분역의 배향성)

  • 박봉모;정수진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3 no.2
    • /
    • pp.228-234
    • /
    • 1996
  •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omain structures of ferroelectric BaTiO3 in the poling process. Especially because {111} twinning is frequently observed in most BaTiO3 ceramics it is required to know the relations between the ferroelectric domains and the structural twin. In this study the domain structures of a {111} twinned crystal sample were observed under a polarizing microscop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111} twin and the domain configurat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V'-shape and linear shape penetrating perpendicular to the twin boundary. Domain formation obeys the symmetry of the {111} twining when a new domain structure is developed by heat treatment and surface deformation due to domain formation is also occured symmetrically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111} twin boundary. This symmetrical behavior of the domains could be interpreted with the "head-to-tall" orientation of the domains across the {111} twin boundary.

  • PDF

Confinement Range of Transverse Reinforcements for T-shaped Reinforced Concrete Walls (철근콘크리트 T형 벽체의 콘크리트 구속을 위한 횡철근의 배근범위)

  • 하상수;오영훈;최창식;이리형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6
    • /
    • pp.1001-100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ange of confinement (or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walls with the T-shaped cross section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s. The range of confinement for transverse reinforcement is related to the location of neutral axis and determined by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compressive strain. The compressive strain depends on the ratio of wall cross sectional area to the floor-plan area, the aspect ratio, configuration, the axial load, and the reinforcement ratios. By affection of flange, the neutral axis appears different depending on positive and negative forces and because of this reason, when web and flange are subjected to compressive stress, the range of confinement for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of T-shaped walls would shows different result. Therefore this experimental research focu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shaped walls and suggested the neutral axis depth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sectional analysis.

Modified AES having same structure in encryption and decryption (암호와 복호가 동일한 변형 AES)

  • Cho, Gyeong-Yeon;Song, Hong-B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2
    • /
    • pp.1-9
    • /
    • 2010
  • Feistel and SPN are the two main structures in a block cipher. Feistel is a symmetric structure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in encryption and decryption, but SPN is not a symmetric 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N which has a symmetric structure in encryption and decryption. The whole operations of proposed algorithm are composed of the even numbers of N rounds where the first half of them, 1 to N/2 round, applies a right function and the last half of them, (N+1)/2 to N round, employs an inverse function. And a symmetry layer is located in between the right function layer and the inverse function layer. In this paper, AES encryption and decryption function are selected for the right function and the inverse function, respectively. The symmetric layer is composed with simple matrix and round key addition. Due to the simplicity of the symmetric SPN structure in hardware implementation, the proposed modified AES is believed to construct a safe and efficient cipher in Smart Card and RFID environments where electronic chips are built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