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처

Search Result 6,52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Yang, Sim-Young;Rhee, Ji-Young;Lee, Ju-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810-822
    • /
    • 2012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regard of the impa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nutshell,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coping sty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whil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depression, the more passive and active stress-coping sty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less their depression, behavior disorder, loss of interest, self-abasement and physical symptoms. Third, high levels of teachers'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coping styles and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finding implie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perceive high levels of peer support, cope with stress better and thus reduce depression.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학생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대처의 관계)

  • Kim, Jeong-M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2
    • /
    • pp.397-4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46 student athletes in Seoul and Incheon who were registered in Korean Olympic Committee before they participated the 2010 National Athletic Meet. Athlete Self-Management Questionnaires and Athlete's Sports Coping Scale Questionnaires as The investigation tool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by using SPSS 17.0, was analysed with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class over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Second, a difference in sports career existed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Third, self-management affecte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The medicating Effect of Senior Citizens' Sexual Desire-Coping Behavior on Sexual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성태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성 욕구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 Kim, Bo Mi;Lee, Eun 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
    • /
    • pp.575-585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sexual attitudes and coping behavior of elderly peopl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xual coping behavior on the sexual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5 elderly people at home living. As a result, in relation to the sexual attitudes of elderly people, it was shown that the 'rational sexual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the 'liberal sexual attitude' was higher than the 'traditional sexual attitude'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xual attitude, sexual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sexual coping behavior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liberal sexual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at home.

The Verification of Two Dimensional Model Applicability for Establishing EAP from Dam Failure (댐 붕괴에 따른 EAP 수립을 위한 2차원 모형의 적용성 검증)

  • Park, Jun Hyung;Lee, Jae Yeong;Keum, Ho J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6-66
    • /
    • 2016
  •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댐과 저수지 등의 붕괴위험이 증가되고 있으며, 실제로 붕괴가 일어나 크고 작은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담수의 목적을 가진 댐과 저수지가 붕괴될 경우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인명 및 재산에 대한 피해가 막대하다. 따라서 국가 및 각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댐과 저수지는 안전성 평가 및 비상대처계획 등을 수립하여 만약의 상황에 대해 대비를 하고 있다. 특히 비상대처계획의 경우 댐 붕괴시 상황을 예상하여 홍수파의 전파와 대피로 등을 설정하는 것으로 댐 붕괴상황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하류부 홍수파 해석은 1차원 모형을 활용하여 범람지역의 산정 및 홍수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1차원 모형의 경우 빠른 계산시간과 해석을 위한 절차가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건물 및 제내지의 정확한 지형을 반영하지 못하며, 제내지에서의 홍수파 전파양상 등을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형의 반영과 제내지에서의 상세한 홍수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모형을 이용하여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적용성을 검토해보았다. 실제 붕괴사례인 경주 산대저수지 붕괴를 통해 2차원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국내 A저수지에 적용하여 비상대처계획도를 작성하였다. 대상저수지의 경우 댐 직하류부에 주거지역 및 홍수파가 넓게 퍼질 수 있는 지형을 가지고 있어 2차원 모형의 장점을 잘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대상 저수지로 선정하였다. 1차원 모형인 DAMBRK 모형과 2차원 모형인 FLO-2D 모형을 사용하여 1 2차원 모형의 댐 붕괴홍수파 해석 결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이용한 비상대처계획도를 작성을 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활용되던 비상대처계획도의 단점을 보완하여 정확한 침수범위 및 홍수파 전파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비상대처계획도 작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확한 지형의 반영이 필요하거나 댐 및 저수지 하류부에 도심지가 위치한 경우 제내지에서의 상세한 홍수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비상대처계획도 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1D and 2D Hydraulic Analysis Model for Emergency Action Plan (비상대처계획 활용을 위한 1차원 및 2차원 수리해석모형의 비교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Ji Sung;Lee, Young Go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0-350
    • /
    • 2016
  • 댐 및 저수지 시설물의 붕괴에 대비하기 위한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은 대규모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비구조적 대책중의 하나이다. 특히 대규모 댐붕괴로 인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댐 시설물의 관리주체 및 유관기관은 발생가능한 비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조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한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댐 붕괴 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댐 하류부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일이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시 작성되는 홍수범람 지도는 댐 붕괴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민대피계획 및 위험지역 교통통제, 응급의료활동 및 생필품 공급 등,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1차원 또는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전체적인 비상대처 계획도 작성을 위해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 해석이 가능한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지만, 홍수파가 전파되는 하류부의 지형학적 특성상 2차원 해석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시 동시에 활용되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과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가상 댐 붕괴사상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각 모형의 장단점과 적용성에 대한 비교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유역내 위치한 다목적댐에 대해 1차원 및 2차원 붕괴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해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 각각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두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 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의 장점을 각각 반영할 수 있도록 홍수범람지도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with Stress and Smart Devices Overdependence in the COVID-19 Pandemic :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와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관계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Goo, Hye K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591-597
    • /
    • 2021
  • Recently, as education on the use of smart devices increases, there are many side effects such as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ddiction, and decline of learning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tress coping to understand why dependence on smart devices occu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stress coping. Second, the higher the active coping, the lower the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the higher the passive coping, the higher the depend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ccording to mindful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ess between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Defense Mechanism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

  • Kim, Seon-Hee;Kim, Jin-Seon;Ko, S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8
    • /
    • pp.524-53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ress that middle-aged women experience and their coping methods and to present intervening variables to promote active cop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0 middle-aged women from 35 to 59 years old living in S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stress, self-defense mechanism, and stress-coping method shows as follows: the role stres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mature defense mechanism, self-restraint defense mechanism and conflict-avoiding defense mechanism. Among stress-coping methods, the problem-centered coping method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stress and daily stress. the immature defense mechanism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problem-centered coping, but shows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emotion-centered coping and the wishful thinking. Among the self-defense mechanism types not effective in the social-support coping method.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Coping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 Lee,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
    • /
    • pp.55-65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on the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47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Nursing students who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had a higher level of life stress, as well as a higher frequency of avoidance coping. Conversely, those who ha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lower level of life stress, as well as a lower frequency of avoidance coping.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coping. The results showed that avoidance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offer stress management programs to reduce avoidance coping,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of lif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to prevent depression and impro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Control to Stress-Coping Styl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 통제력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 Jung, Eun-Ju;Youn, Hye-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3 no.3
    • /
    • pp.238-2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trol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ir stress and stress-coping sty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three different colleges. After data were gathered, the answer sheets from 56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the level of self-control,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3.22. As to self-control by grade, the juniors got the highest scores of 3.27 (p<0.05), and those who were under heavier stress were poorer at self-control (p<0.05). 2. In regard to stress-coping style, they got a mean of 3.28 and 3.34 in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respectively. Passive coping was more prevailing, and the students whose economic status was higher made more use of active coping styles (p<0.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coping styles according to stress level (p<0.01) and the effect of stress on health (p<0.05). 3. Better self-control led to more frequent use of active coping style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mply that self-control is one of factors to affect stress coping.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is required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self-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