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책공법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pplication Evaluation of Countermeasure Method using Analysis of Failure Causes for Reinforced Slope (보강된 비탈면의 파괴원인 분석 및 대책공법의 적용성 평가)

  • Han, Jung-Geun;Hong, Ki-Kwon;Lee, Jong-Young;Jung, Sun-Ku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0 no.1
    • /
    • pp.9-18
    • /
    • 2011
  • This paper described that the failure causes of reinforced slope are analyzed based on the effect of geological and rainfall. Th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the rainfall has effects on the stability of reinforced slope. Therefore, it was applied to the dewatering method using collector well for slope stabilized, and then the analysis of seepage and slope stability were conducted on slope with the applied method. The results of seepage analysis are corresponded with failure cause by rainfall and the results of slope stability, which is applied to dewatering method, are satisfied with safety factor criterion. Therefore, it confirmed that the dewatering method using collector could be possible to apply in field and reasonable method for slope stabilized during heavy rainfall.

Liquefaction of Embankments on Sandy Soils and the Optimum Countermeasure against the Liquefaction (사질토 지반 위에 축조된 제방의 액상화 및 최적 대책 공법)

  • Park, Young-Ho;Kim, Sung-Ryul;Kim, Sung-Hwan;Kim, Myoung-M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3
    • /
    • pp.15-21
    • /
    • 2000
  • 액상화되기 쉬운 모래지반 위에 축조된 제방의 지진시 거동을 조사하고 액상화 경감을 위한 대책공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2가지 경우에 대해 진돈대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는 널말뚝, 자갈배수재, 모래다짐 말뚝과 강관말뚝 등의 대책공법이 적용되었다. 진동대 시험에 사용된 투명토조의 길이는 194cm이고 폭은 44cm 그리고 높이는 60cm이다. 기초지반은 포화된 모래이며 수중침강법을 적용하여 상대밀도 약 30%로 조성되었다. 이 포화된 느슨한 모래지만 위에 15cm 높이의 제방이 경사 1:1.5로 축조되었다. 진동대 시험시 제방과 기초지반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간극수압계 12개, 가속도계 4개 및 LVDT 2개가 시험모델에 설치되었다. 진동대의 크기는 2m$\times$2m이며, 진동시의 입력가속도는 0.1g에서 시작하여 최고 0.4g까지 증가시켰다. 본 모델에 적용된 공법 모두가 일반적인 진동법위에서 액상화 발생을 억제시키는데 유용한 것으로 증명이 되었으며, 그 중에서 모래다짐말뚝이 액상화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대책공법에 대한 최적 배치안의 본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 PDF

Slope Stability due to Additional Embankment (제방 추가성토에 따른 사면안정)

  • Lee, Seung-Hyun;Jang, In-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232-3236
    • /
    • 2012
  • Consolidation and remedies for slope stability were considered for the slope with additional embankment. Transferred stresses due to additional embankment were assessed by the derived formula based on elasticity theory. Available remedies for slope stability with additional embankment including JSP method, stone column method and EPS method were studied. Caution needed for using JSP method is high pressure which can result in heaving of adjacent soils. Shortages of used case and noise of construction of stone column method are also considered for the safe remedy for slope stability.

퍼지이론을 이용한 위험절개면 평가법 및 대척공법 결정기법 개발 연구

  • Baek, Yong;Koo, Ho-Bon;Jang, H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10a
    • /
    • pp.83-90
    • /
    • 2001
  •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와 더불어 낙석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와 대책 마련은 도로의 신설과 유지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절개면의 안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위험등급을 분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는 절개면 안정도 평가시 조사인자의 선정에서 전문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법 개발을 위하여 절개면의 조사인자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자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한 퍼지 이론으로 안정도를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정량화 값만으로 평가된 절개면 안정도에 따른 대책공법의 설정은 현장성과 적용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여건을 최대한으로 고려하여 도로 관리자뿐만 아니라 지반 전문가가 대책공법을 선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법과 시스템은 효율적인 정보관리화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시스템화 되어 있으며 도로절개면 유지관리시스템에 병합하여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Blasting Noise at Home and Abroad (국내외 발파소음 규제에 대한 연구)

  • Oh, K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89-90
    • /
    • 2023
  • 대단위 건축물 및 구조물 철거작업시 철거사업 참여 주체인 발주자, 감리자, 시공자 및 근로자등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전 위험성평가 및 안전대책 수립, 수립된 안전대책 이행에 대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건축물 및 구조물 철거작업 공법은 인력철거공법 및 장비철거공법, 발파철거공법으로 구분되며 발파철거공법 적용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계측하여 환경규제 기준내로 준수해야 한다. 본 연구는 발파공업에 의한 철거작업시 국내·외 소음 규제치 비교를 통해 국내의 발파공법에 의한 소음 규제치를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건축물 및 구조물의 철거작업시 발파공업의 채택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iff the Mutural Relation between Sinkhole and 'Permanent under Draingage System' as A Measure of Non Floating (씽크홀(SINKHOLE)과 부력방지 대책인 '영구배수 공법'과의 상관관계)

  • Kwon, Hoi k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57-259
    • /
    • 2017
  • 최근에 국내에서 입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지하안전영향평가 등에서 지하매설물 및 굴착공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하를 개발함에 있어 지반의 안전과 관련된 사항은 미흡한 실정으로 도심지 지반침하( Sinkhole) 현상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지반침하(Sinkhole)는 발생이 될 경우 인명피해는 물론 도로나 주변 건물들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소지가 충분한 대상으로 사료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을 건설현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어느 곳에서도 감지되지 않는다. 다만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에서 국회차원의 지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이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와 조사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지반침하 사고의 주요 원인을 조사해본 결과 상하수도관 손상과 무리한 인접굴착공사 및 대부분의 대형건축공사 현장에 채택되고 있는 부력방지 대책의 일환인 영구배수공법의 무분별한 적용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중 비용과 난이도를 고려현장에서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인 영구배수공법을 선정하여 영구배수공법의 이론적 고찰과 공학적 타당성(구조체 부상방지 안전성 검토기준)을 연구하여 무분별한 영구배수공법 적용으로 지반침하(Sinkhole)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 인명피해와 도로나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영구배수공법 적용으로 항구적 발생하는 천문학적인 유지관리비의 절감이 목적이다.

  • PDF

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Tunnel Portal Failure Slope - in Suanbo Hot Springs 1 and 2 Tunnel Failure Site (터널 갱구부 붕괴 사면의 안정성 해석 및 보강공법에 관한 연구 - 수안보 온천 1, 2터널 붕괴 현장을 중심으로)

  • Baek, Yong;Koo, Ho-Bon;Yoo, Ki-Je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4
    • /
    • pp.367-378
    • /
    • 2002
  • Recently, the number of tunnels on national roads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trend that construction of the large-scaled cut slopes is limited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the slope failures of tunnel portal have often occurred. The tunnel portal in use has limitations on selection of the countermeasure and construction against slope failure. In the cases of Suanbo hot springs 1 and 2 tunnel portals, seedding was chosen and constructed as the countermeasureof slope failure when the tunnel was first built but collapsed in April, 2002. In this study, the failure sites were examined accurately through the site investigation and an efficient countermeasure according to stability analysis is presented. It is shown that it is very efficient to use resloping for Suanbo hot springs 1 tunnel and concrete buttress, rock anchor to reinforcement countermeasure, and attached rockfall prevention net by dividing the site into 3 sections for Suanbo hot springs 2 tu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