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중매체

Search Result 53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소비자사회화 영향요인이 합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 Jin;Yu, Nan Soo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4
    • /
    • pp.115-1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on rational consumption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nnam, and Gwangju and a total of 412 copies were analyz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Chronbach's α, t-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was 3.18 and self-esteem was 3.54 on a 5-Likert scale. As for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parents was the highest at 3.13, followed by school 2.83, mass media 2.78 and peers 2.73. Second, the average comparison of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by gender show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but in the case of consumer socialization, girls were higher than boys. Third, examining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money, mass media, and peers showed an negative effect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while self-esteem and paren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In this regard,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have more self-esteem and guide their peers so that their influence can be positive in the home economics class in order to become consumers with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alysis of dieting practices in 2016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통한 2016년의 다이어트 실태 분석)

  • Jung, Eun-Jin;Chang, Un-Jae;Jo, Kyunga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2
    • /
    • pp.176-181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eting practices and tendencies in 2016 using big data. The keywords related to diet were collected from the portal site Naver and analyzed through simple frequency, N-gram, keyword network, and analysis of seas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exercise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simple frequency analysis. However, diet menu appeared most frequently in N-gram analysis. In addition, analysis of seasonality showed that the interest of subjects in diet increased steadily from February to July and peaked in October 2016. The monthly frequency of the keyword highfat diet was highest in October, because that showed the 'Low Carbohydrate High Fat' TV program. Although diet showed a certain pattern on a yearly basis, the emergence of new trendy diets in mass media also affects the pattern of die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and analysis of diet is needed rather than periodic monitoring.

3D 콘텐츠의 미래와 스토리텔링

  • Jeon, Hye-J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3
    • /
    • pp.17-22
    • /
    • 2010
  • 최근 들어 3D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기술적인 이슈는 물론 3D 콘텐츠의 제작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흔히들 3D 콘텐츠라고 부르는 것은 현재로선 어떤 특정한 장르나 엄정한 정의를 가진 용어라기보다는 일종의 새로운 매체기술을 위한, 매체 기준적인 콘텐츠의 분류 형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3D 콘텐츠라는 용어를 새로이 썼다고 해서 좋은 콘텐츠가 지녀야 할 근본적인 요소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매체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대중들의 가치관, 예술적 시대적 패러다임, 근본적인 인간의 생활방식까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는 회화 문화에서 사진의 등장으로, 사진에서 동영상으로, 영화에서 TV와 비디오로, 그리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중심 이동이 인간의 삶에 얼마나 큰 변화를 초래했는지만 상기해봐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3D기술이 가진 파급효과와 영향력이 어디까지인지 쉽게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언급했듯이 어떤 콘텐츠라도 결국엔 인간이 향유하리란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는 3D 콘텐츠의 제작 방향에 대해서 지나치게 매체 중심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역사적으로 언제나 인간에게 매력적이었던 콘텐츠의 기본은 변함이 없었다. 변하는 것은 오히려 매체나 기술, 하드웨어 쪽이었다. 따라서 콘텐츠를 매체에 이식하는 가변적인 내용물쯤으로 이해하는 기술중심의 사고에서, 인간이 근본적으로 원하는 이야기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가 변해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하는 콘텐츠 중심 사고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과거 많은 매체들의 역사를 통해 새로운 매체 기반에서의 콘텐츠의 모습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되짚어 보려고 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 3D 콘텐츠의 향방을 유추해 볼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Study on the Media Phenomenon and Social & Political Discourse in 2000s Korean Public Movie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 KIM, Min-Soo;Han, Hwa-Sung;Kim, Ge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2
    • /
    • pp.125-150
    • /
    • 2016
  • In the 2000s, Korean cinema maintained the industrial growth on the strength of 10 million audiences and the successful Korean blockbuster. A variety of film materials such as history, politics, social issues, and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deology were addressed in the movies, and one of the movies based on a true story was popular. Accordingly, external size of the film industry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Korean public movies have a firm position in the film market, and a diversity of discussion is made as the movies spontaneously get attention. Also,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nd media which recognized far-reaching powers of public films causes a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ut it also provokes ideology controversy.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first to discuss factors and initiating causes that Korean movies have firmly settled as public movies since late 1990s. Secondly, this study considers relation among media, social media. and Korean public film that aroused more arguments on politics, society, and history in 2000s. The powerful influence of films on society not only leads political change but also affects awareness change of audience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bout Internet Addiction For Juvenile And On The Direction To Solve The Suggested Problem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의 현황과 이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Lee Se-Hee;Lee Jeo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51-125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우리사회에 심각하게 퍼져 있는 인터넷 게임중독을 청소년 환경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우리 사회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제기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의 해결책의 일환으로 가정환경, 학교환경, 교우관계를 고려한 개선방법을 제시하였고 더불어 지역사회와 대중매체에서 행해져야 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 PDF

Roles of Mass-media and its Application Strategies for IE & C Activities on AIDS (AIDS홍보를 위한 대중매체의 역할과 활용전략)

  • 강신구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5 no.1
    • /
    • pp.17-20
    • /
    • 1988
  • $\ulcorner$20세기의 페스트$\lrcorner$로 불리우는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이 지난 81년 처음보고된 이후 세계곳곳에서 무서운 속도로 퍼져 인류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집계에 따르면 올 3월말 현재 AIDS환자는 전세계적으로 8만5천여 명에 이르렀고 항체양성자는 수백만명선으로 잡고 있어 이들중 상당수에서 병적증상이 나타날 경우 이 전염병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에도 지난 85년 주한미국인에서 첫 AIDS환자가 발견된 후 내국인에서도 항체양성자들이 잇달아 발견 모두 18명에 이르고 있다.

  • PDF

Weaning Practices for Infants and the Trust toward advertisements of the baby foods among Women in Chungbuk Area (청주시 영유아의 이유 실태와 이유식 광고에 대한 신뢰도 조사)

  • 김기남;고선미;권현정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2-102
    • /
    • 2003
  • 영아기의 영양상태는 일생동안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나, 영아의 어머니들은 이유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주로 1976∼1985년 사이에 활발하게 이루어 졌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주시 영유아의 이유실태와 더불어 최근 대중매체에 광고되고 있는 이유식 광고 문구 중 일부를 발췌하여 그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략)

  • PDF

Content Analysis of Food Advertisements in Women′s magazines(Focused on the Advertisement of Infant Foods by Manufacturers), (여성잡지에 실린 식품광고의 내용 분석 및 평가 -영유아식품 광고의 제조회사별 영양정보를 중심으로-)

  • 김기남;조진숙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3-103
    • /
    • 2003
  • 현대사회에 있어 대중매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한 바, 여성잡지에 게재된 식품광고 역시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구매력과 홍보효과는 대단히 크다고 하겠다. 또한 식품광고는 그 시대 소비자들의 식품에 관한 관심의 방향과 식품선호도를 나타내주는 동시에 유행을 창조하는 기능도 가진다고 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광고내용은 소비자들을 위한 좋은 영양교육 자료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내용이 부정확하거나 과장된 경우, 소비자들은 그릇된 정보로 인하여 피해를 볼 수가 있다. (중략)

  • PDF

The Study on the Trend of Pop-Music Consumers' Behavior (대중음악 소비자들의 이용패턴 변화에 대한 연구)

  • Oh, Han-Se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7-129
    • /
    • 2012
  • 대중음악산업에서 이용매체의 변화는 음악 소비자들의 이용패턴의 변화로 나타나며, 여기에 TV 등 매크컴의 복합적인 영향이 음악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소유에서 소비로 이미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국내 음악 소비자들의 이용패턴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추세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