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6.42.125

Study on the Media Phenomenon and Social & Political Discourse in 2000s Korean Public Movie  

KIM, Min-Soo (중부대학교 방송영상학과)
Han, Hwa-Sun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영화예술과)
Kim, Geon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6 , pp. 125-1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2000s, Korean cinema maintained the industrial growth on the strength of 10 million audiences and the successful Korean blockbuster. A variety of film materials such as history, politics, social issues, and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deology were addressed in the movies, and one of the movies based on a true story was popular. Accordingly, external size of the film industry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Korean public movies have a firm position in the film market, and a diversity of discussion is made as the movies spontaneously get attention. Also,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nd media which recognized far-reaching powers of public films causes a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ut it also provokes ideology controversy.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first to discuss factors and initiating causes that Korean movies have firmly settled as public movies since late 1990s. Secondly, this study considers relation among media, social media. and Korean public film that aroused more arguments on politics, society, and history in 2000s. The powerful influence of films on society not only leads political change but also affects awareness change of audience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Keywords
Public Movie; 10-million-viewer film; Film & Society; Political Film & Media; Social Med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주리, 영화와 선거의 함수관계, 야당 부러진 화살 띄우기, 관훈저널, 122호, 2012, p.103.
2 김규한, <실미도> 천만 관객시대를 열다, 맥스무비, 2004년 02월 19일.
3 김대호 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p.1.
4 김병철,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빛과 그늘: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학술정보, 2005.
5 김성훈, 이 영화의 변호인은 관객이다, 씨네21, 2013년 12월 17일.
6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3. p.24.
7 박수진, 영화가 아니라 당신들 '정신 승리'가 토 나와, 한계례, 2014년 12월 29일.
8 박종성, 정치와 영화, 인간사랑, 1999, p.11.
9 박주연, 영화 '실미도' 어디까지 진짜야, 주간경향, 2004년 01월 29일.
10 송현경, 범여권에 '화려한 휴가'가 있다면 이명박에겐 '브라보 마이라이프' 있다?, 내일신문, 2007년 09월 07일.
11 원미란, "영상물등급제도 및 기구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석사학위논문(2011), p.21.
12 유재혁, <태극기 휘날리며> : 제작비 170억. 총440곳, 한국경제, 2004년 02월 05일.
13 이성욱.목혜정. 진실과 거짓 사이에서 이야기하기 : 영화 <부러진 화살>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상반기 종합학술대회자료집. 2012. pp.145-156.
14 이희승, 블록버스터 드라마의 식민주의적 욕망, 영상기술연구, 2010, pp.65-90.
15 임범, '그때 그 사람들' 3장면 삭제결정, 다큐 가위질, 한계례, 2005년 01월 31일.
16 조광형, 문재인은 울보? '광해'보고 울고, '국제시장'보고 또 울고..., 뉴데일리, 2015년 01월 30일.
17 존 스토리, 박만준 역,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경문사, 2002, pp.4-5.
18 최봉현 외,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 파급효과, 영화진흥위원회, 2005, p.83.
19 최승현, 국제시장 헐뜯는 左派, 프리미엄 조선, 2015년 01월 03일.
20 최승현.김경화, 흥행영화 인기에 슬쩍 올라타려는 與野, 프리미엄조선, 2014년 02월 15일.
21 프란체스코 카세티, 김길훈/김덕수/김건 역, 현대영화이론 : 1945-1995년의 영화이론, 한국문화사, 2012, p.152.
22 피에르 솔랭, 정진혁 역, 유럽영화와 유럽사회 : 1939-1990, 도서출판 씨앗가게, 2000, pp.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