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중교통 노선배정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y on Multi-modal Transit Network Assignment with Dial Algorithm (다이알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수단 대중교통 노선배정기법에 관한 연구)

  • 이재섭;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2
    • /
    • pp.53-60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중교통 노선배정 시에 여러 수단간의 환승을 고려함으로써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수단선택과 노선선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확률적인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형의 하나인 다이알 알고리즘을 응용할 것을 제시하고 그 알고리즘의 속성을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있다 승용차의 확률적 통행배분모형으로 잘 알려져 있는 Dial 알고리즘은 로짓모형에 기초한 것이므로 다수단간의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노선선택과 같은 선택 행태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모형적 특성을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중교통 노선선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정적 대중교 통 노선배정 모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은 기종점간 최단경로에 교통량을 전랑배분(All-or-Nothing)하여 통행자들의 행태적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환승을 포함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선택을 효용극대화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 최소비용노선에 전량배분하는 모형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의 단점을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의실험으로 Sioux Falls 형태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탄력성을 갖고 있는 수정된 대중교통 다이알 알고리즘이 현실적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기존 모형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다수단 대중교통망이 형성된 대도시의 대중교통 정책분석에 적합한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 PDF

대중교통 노선배정에 관한 EMME/2 알고리즘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인희;이성모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66-466
    • /
    • 1998
  • 도로 교통의 혼잡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도로의 무제한적 건설은 정보의 예산절약, 필요한 도로용지 확보의 어려움,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의 혼잡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승용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를 대량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 이용수요로 전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서비스수준 제고 및 운영 관리 체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전략적 및 운영적 측면에서의 대중교통계획은 미래 대중교통수요의 정확한 예측을 전제로 하여 수립되며, 이러한 수요의 예측은 필수적으로 현실을 보다 더 정확하게 묘사해 줄 수 있는 통행배정모형을 필요로 한다. 대중교통 통행배정은 규칙적인 배차시간과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고정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한 링크 상에서도 여러 개의 운행노선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승용차 통행배정과는 독립적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통예측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MME/2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중교통수요 통행배정 모형인 최적전략모형(Optimal Strategy Mod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최적전략모형은 수요 배정시, 최적전략에 속하는 경로들에 대해 단순히 운행횟수에 비례하여 수요를 배정함으로 인해서, 예를 들면 운행횟수는 많지만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를 많이 배정하는 것과 같은 비현실적인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노선배정에 우선되는 최적경로 탐색시 환승노드에서의 환승에 대한 벌점을 그 노선의 운행회수에 줌으로써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의 배정이 적게 되도록 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수요의 배정시 운행횟수가 아닌 목적지까지의 통행시간과 대시시간에 따른 확률적 배분을 통해 기존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 PDF

Development of Transit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an Integrated Distance-Based Fare System and In-Vehicle Congestion (통합거리비례요금제와 차내혼잡을 반영하는 통합대중교통망 통행배정 모형 구축)

  • Park, Jun-Hwan;Sin, Seong-Il;Im, Yong-Taek;Im, Ga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2 s.95
    • /
    • pp.133-143
    • /
    • 2007
  • Previous studies on the transit assignment hardly show its achievement in research but have many limitations not only in theory but also in practice.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transit assignment model taking into account cost functions of multiple modes, such as auto, bus and subway, which represent an integrated network. An integrated transit network including cost functions and in-vehicle congestion need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a link fare calculation model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model to calculate path travel costs. Based on these sub-models, a path-based traffic assignment model, which considers in-vehicle congestion and an integrated distance-based fare system in the integrated traffic network, is developed.

A Transit Assignment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 이신해;최인준;이승재;임강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1
    • /
    • pp.65-75
    • /
    • 2003
  • In these days, public transportation has become important because of serious traffic congestion.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in public transportation compared with researches in auto. Accordingly, the purpose of paper is development of transit assignment model, which considers features of public transportation, time table, transfer capacity of vehicle, common line, etc. The transit assignment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s. One part is search for optimum path, the other part is network loading. A Genetic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earch for alternative shortest path set. After the shortest paths have been obtained in the genetic algorithm, Logit-base stochastic loading model has been used to obtain the assigned volumes.

A Stocha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based on Mixed Transit Modes (복합수단을 고려한 확률적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 Park, Gyeong-Cheol;Mun, Jeong-Jun;Lee, Seong-Mo;Park, Ch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3
    • /
    • pp.111-121
    • /
    • 2007
  • A transit assignment model can forecast the behaviors of transit users.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evaluation of transit policies. Most existing transit assignment models are based on the models for passenger cars; therefore they cannot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ransit modes.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models are based on a single transit mode (bus or rail), and they cannot forecast the behaviors of transit users in a changing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the exiting models and to develop a more realistic model. The newly developed model is based on mixed transit modes and is a stochastic model that can reflect the different preferences of each transit user for travel time and transfering. Data gather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smart card are used to calibrate this mod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olicies and to attribute the development of transit revitalization strategies.

A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Under Capacity Restraint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윤혁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1.02a
    • /
    • pp.3-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고려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반영하였던 차량과 노선의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통행배정에서 수요와 공급의 관계는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용량 초과는 통행자들의 경로선택 및 수단선택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량초과에 의한 혼잡을 반영하기 위해 용량제약식을 포함한 모형을 개발하고 실용운행회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들이 실제적인 현상을 정확히 모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이 내재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최대로 현실 여건을 반영하는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동일한 기종점 사이를 운행하는 경쟁노선이 많은 대도시에서 통근·통학을 위한 통행자들이 많은 오전, 오후 첨두시 대중교통 수요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의 운행관리체계 개선 및 투자계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수요예측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의 결과가 현재나 장래의 잠재적인 수요(demand)를 예측하는 방법인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 정립된 모형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통행하고 있는 수요(flow)를 예측함으로써 교통 계획가나 대중교통 운영자의 계획 및 운영정책수립에 합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대중교통 시스템 하에서의 통행배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용량과 운행특성을 가진 교통 수단이나 노선이 도입되었을 때 공급이 제한적인 경우의 수요 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에 대한 규제가 초국가적 차원으로 발전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담배규제협약안의 세부사안들에 대한 합의과정에서 각 국별로 상당한 이견과 반발이 예상되고 있지만, 협약안의 전체 회원국 투표에서 승인될 경우 각 국가들뿐만 아니라 담배산업과 담배기업들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국제협약들이 그러하듯이, 담배규제협약도 그 적용 범위와 수준이 어느 정도로 결정되는지에 따라 각 국가와 기업별 이해관계가 크게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

  • PDF

A Determini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for Intercity Rail Network (지역간 철도의 결정적 통행배정모형 구축 연구)

  • Kim, Kyoung-Tae;Rhee, Sung-Mo;Kwon, Y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6
    • /
    • pp.550-5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transit assignment model for intercity rail ne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ity rail are different from that of public transit in urban area. Line selection probability on route section is introduced to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ity rail into transit assignment model. Network expansion is more simplified by a assumption line selection probability is externally given. The generalized cost is used to decide the volume of each transit line in most of existing transit assignment models. But, many variables have influence on the volume of each line such as time schedule of transit lines, inter-station distance, passengers' income, seasonal variation of deman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can be considered to decide the volume of each line by introducing line selection probability on route section. The tests on a small scale network show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superior to existing models for predicting intercity rail demand. Proposed model is suitable to consider the complicated fare structure of intercity rail and to draw inter-station demand directly as a result of assignment procedure.

A Stocha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for Intercity Rail Network (지역간 철도의 확률적 통행배정모형 구측 연구)

  • Kwon, Yong-Seok;Kim, Kyoung-Tae;Lim, C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4
    • /
    • pp.488-498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ity rail network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ublic transit network in urban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transit assignment model which is generalized form of deterministic assignment model by introducing line selection probability on route section. This model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tercity rail and simplify network expansion for appling search algorithms developed in road assignment model. We showed the model availability by comparing with existing models using virtual networks. The tests on a small scale network show that this model is superior to existing models for predicting intercity rail demand.

Developing a Transit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Waiting Time Variation and Line Capacity (대기시간변동 및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 Kim, Jin Howan;Kim, Dong Sun;Kim, Ji 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525-1534
    • /
    • 2014
  • In recent years, the passengers are likely to decide their route on impul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 system, and real-time information system. Especially, public transport fare integ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04 makes them not to have resistance about changing the modes or routes and their route choice is most effected by the degree of congestion. Assignment model have limitations to describe route changes by conges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a link cost function used in road assignment and Effective frequency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passengers' behavior when the capacity of public transport is over and the waiting time variation. Two situations, new transit line operation and accident, are set up to validate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transit assignment by this model, the traffic on networks is not over the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reflect the various behaviors in transit assignments.

Suggesting a Demand Forecasting Technique Explicitly Considering Transfers In Light Rail Transit Protect Analysis (신교통수단 건설사업에 있어 환승을 반영한 교통수요 예측기법)

  • Kim, Ik-Gi;Han, Geun-Su;Bang, Hyeo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3 s.89
    • /
    • pp.197-205
    • /
    • 2006
  • The study suggested a demand forecasting method which explicitly reflects transfer between various transport modes especially related light rail transit project with multi-modal transit system. The suggested method classifies several groups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trips and applies different demand model for each group to explain travel pattern more realistically More specifically. the trips was classified by trips within the LRT route, trip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LRT route. and through trips via the LRT route. The study also suggested a evaluation measurement of time saving due to the LRT construction, which are consistent along with the do-case and the do-nothing-case even though some mode shift could be happen after introducing the LRT.